전환수

화학의 개념

전환수(轉換數, 영어: turnover number)라는 용어는 화학에서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효소학에서 전환수(kcat)는 두 개 이상의 활성 부위를 갖는 효소에 대해 주어진 효소 농도 [ET]에 대해 단일 활성 부위가 수행할 수 있는 초당 기질 분자의 화학적 전환의 한계 횟수로 정의된다.[1] 단일 활성 부위를 갖는 효소의 경우 kcat촉매 상수(觸媒常數, 영어: catalytic constant)라고 한다.[2] 최대 반응 속도 Vmax와 촉매 부위 농도 e0로부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미카엘리스-멘텐 반응속도론을 참조)

유기금속 촉매와 같은 다른 화학 분야에서는 전환수(TON)가 다른 의미를 갖는다. 다음과 같이 촉매 1이 비활성화되기 전에 전환할 수 있는 기질의 몰 수로 나타낼 수 있다.[3]

이런 의미에서 이상적인 촉매는 무한한 전환수를 가지야 하는데, 왜냐하면 결코 소모되지 않기 때문이다. 전환 빈도(轉換頻度, 영어: turnover frequency, TOF)라는 용어는 단위 시간당 전환율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효소학에서 전환수의 의미와 동일하다.

대부분의 관련 산업 응용 분야에서 전환 빈도는 10−2~102 s−1 (효소의 경우 103~107 s−1) 범위에 있다.[4] 효소인 카탈레이스는 가장 큰 전환 빈도를 가지고 있으며, 그 값은 최대 4×107 s−1까지 보고되었다.[5]

확산 제한 효소의 전환수

편집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는 104 s−1보다 큰 촉매 상수를 갖는 세린 가수분해효소이다. 이는 이 효소가 확산 제한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아세틸콜린과 반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6]

탄산무수화효소는 촉매 속도가 가장 빠른 효소 중 하나이며, 그 속도는 일반적으로 기질확산 속도에 의해 제한된다. 이 효소의 다양한 형태에 대한 일반적인 촉매 상수는 104 s−1~106 s−1 사이이다.[7]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Roskoski, Robert (2015). 〈Michaelis-Menten Kinetics〉. 《Reference Module in Biomedical Sciences》. doi:10.1016/b978-0-12-801238-3.05143-6. ISBN 978-0-12-801238-3. 
  2. Cornish-Bowden, Athel (2012). 《Fundamentals of Enzyme Kinetics》 4판. Wiley-Blackwell, Weinheim. 33쪽. ISBN 978-3-527-33074-4. 
  3. Bligaard, Thomas; Bullock, R. Morris; Campbell, Charles T.; Chen, Jingguang G.; Gates, Bruce C.; Gorte, Raymond J.; Jones, Christopher W.; Jones, William D.; Kitchin, John R.; Scott, Susannah L. (2016년 4월 1일). “Toward Benchmarking in Catalysis Science: Best Practice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CS Catalysis》 6 (4): 2590–2602. doi:10.1021/acscatal.6b00183. 
  4. “Introduction”, 《Industrial Catalysis》 (Weinheim, FRG: Wiley-VCH Verlag GmbH & Co. KGaA), 2006년 4월 20일, 7쪽, doi:10.1002/3527607684.ch1, ISBN 978-3-527-60768-6, 2022년 6월 3일에 확인함 
  5. Smejkal, Gary B.; Kakumanu, Srikanth (2019년 7월 3일). “Enzymes and their turnover numbers”. 《Expert Review of Proteomics》 (영어) 16 (7): 543–544. doi:10.1080/14789450.2019.1630275. ISSN 1478-9450. PMID 31220960. S2CID 195188786. 
  6. Bazelyansky, Michael; Robey, Ellen; Kirsch, Jack F. (1986년 1월 14일). “Fractional diffusion-limited component of reactions catalyzed by acetylcholinesterase”. 《Biochemistry》 25 (1): 125–130. doi:10.1021/bi00349a019. PMID 3954986. 
  7. Lindskog, Sven (January 1997).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rbonic anhydrase”. 《Pharmacology & Therapeutics》 74 (1): 1–20. doi:10.1016/s0163-7258(96)00198-2. PMID 9336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