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릉 (조선 환조)
조선 환조의 능
![](http://up.wiki.x.io/wikipedia/commons/thumb/4/4a/Disambig_grey.svg/23px-Disambig_grey.svg.png)
개요
편집태조 이성계의 아버지 환조의 능이다. 함경남도 함주군 동천면 경흥리에 있으며, 아내 의혜왕후의 화릉과 같은 언덕에 있다.[1][2] 환조는 1361년(공민왕 10년) 음력 4월 경술일에 죽었으며, 함흥부 신평부 귀주동에 장사를 지냈다.[3]
조선 개국 직후인 1392년(태조 원년) 음력 8월 8일 태조가 자신의 4대조를 추존하고, 아들 이방원을 보내 각 무덤에 치제를 하고 능호를 올렸다. 이때 환조의 무덤에는 정릉(定陵)의 능호가 올려졌다.[4] 또 이 해 음력 10월 28일에는 능지기 권무 2명과 수릉호를 몇 호 두고, 재궁도 세웠다.[5] 1393년(태조 2년)에는 정총과 권근이 정릉의 비문을 짓고,[6][7] 이해 음력 9월 성석린을 보내 정릉비를 세웠다.[8] 한편 정릉의 신도비문은 이색이 지었는데, 1417년(태종 17년) 이 신도비문은 모두 거두게 하였다.[9] 정릉에는 종9품의 참봉 1명을 두어 능을 관리하게 하였다.[10]
한편 2009년 6월 27일 대한민국에 있는 조선왕릉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정릉은 그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11]
기타
편집출처
편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정릉〉항목
- ↑ 네이버 용어해설 〈화릉〉항목
- ↑ 태조실록 1권, 총서 27번째기사
- ↑ 태조실록 1권, 태조 1년 8월 8일 정사 1번째기사
- ↑ 태조실록 2권, 태조 1년 10월 28일 병자 1번째기사
- ↑ 태조실록 3권, 태조 2년 1월 25일 신미 2번째기사
- ↑ 태조실록 12권, 태조 6년 12월 24일 임인 2번째기사
- ↑ 태조실록 4권, 태조 2년 9월 18일 경신 2번째기사
- ↑ 태종실록 34권, 태종 17년 11월 20일 신미 1번째기사
- ↑ 《관직명사전》〈정릉〉항목
- ↑ 노형석 (2009년 6월 27일). “‘조선왕릉’ 세계문화유산 등재”. 《한겨레》. 2017년 5월 4일에 확인함.
- ↑ 조수범 (2016년 8월 25일). “[조수범의 풍수로 본 2017년 대통령은? 2탄]조선의 도읍지와 태조 이성계의 제왕적 풍수[함수관계]”. 《스페셜경제》. 2017년 1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