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발산역

한국철도공사 일산선의 전철역 중 하나

정발산역(鼎鉢山驛, Jeongbalsan station)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에 있는 수도권 전철 3호선전철역이다. 부역명은 고양아람누리이며, 3번 출구 인근에 고양아람누리가 있고, 이름과 달리 실제로 장항동(1~2번 출구)과 마두1동(3~4번 출구)에 사이에 있다. 향후 급행열차 운행 일환으로 대피선 설치 계획이 있다.

정발산
(고양아람누리)
역명판
역명판
승강장
승강장
Map
개괄
관할 기관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대곡관리역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270
좌표 북위 37° 39′ 34.83″ 동경 126° 46′ 23.85″ / 북위 37.6596750° 동경 126.7732917°  / 37.6596750; 126.7732917
개업일 1996년 1월 30일
역 번호 311
종별 배치간이역
역 코드 AFC 코드 : 0884
승강장수 2면 2선(상대식)
거리표
수도권 전철 3호선 (일산선)
대화 기점 3.0 km
← 310 주엽
(1.6 km)
312 마두
(0.9 km)

역사

편집

역 구조

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대합실을 통과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 할 수 있기는 하지만, 두개의 출구 중 한 쪽만 횡단이 가능하다.

승강장
주엽
| |
마두
상행 수도권 전철 3호선 주엽 · 대화 방면
하행 지축 · 충무로 · 옥수 · 오금 방면

역 주변

편집
나가는 곳 방면
1 일산문화공원
CGV 일산점
일산호수공원
MBC드림센터
웨스턴돔
기업은행 일산MBC출장소
헌혈의집 일산센터
2 고양세무서
롯데백화점 일산점
일산우체국
일산소방서
고양고용지원센터
고양등기소
3 공사중
4 일산동구청
의정부지방노동사무소
일산동구보건소
국립암센터
정발고등학교
KT고양지사
국민연금공단 고양일산지사

역명 논란

편집

정발산역 공사 당시 역명은 마두역이었으나[1] 당시 장항동 주민들이 마두동에 어중간히 걸쳐있던 정발산역과 마두역의 명칭 제정에 이의를 제기하여[2] 현재의 역명으로 바꾸었다.[3]

이용객 변동

편집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3호선 승차 14,374 6,497 6,934 8,206 7,439 7,751 7,729 7,756 8,279 8,232 [4]
하차 11,063 6,027 7,319 7,432 7,381 8,114 8,232 8,328 8,783 8,744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호선 승차 8,326 8,655 8,994 9,406 9,594 9,513 9,349 9,285 9,086 8,936 6,001 6,183 6,901 7,377 [4]
하차 8,979 9,257 9,676 10,038 10,226 10,134 9,937 9,881 9,664 9,454 6,254 6,246 7,104 7,629

인접한 역

편집
일산선
310 주엽
대화 방면
수도권 전철 3호선 312 마두
오금 방면

각주

편집
  1. 현재의 마두역은 공사 당시 낙민역이었다.
  2. 네이버 디지털 뉴스 아카이브《매일경제》1994.10.11
  3. 장항동 주민들은 장항역을 원했지만 장항선 장항역과의 역명 중복 관계로 채택되지 않았다.
  4. 이동: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2022년 1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