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꼽동맥

배와 골반의 동맥
(제동맥에서 넘어옴)

배꼽동맥[1](umbilical artery), 제동맥(臍動脈) 또는 제대동맥(臍帯動脈)은 복부골반 부위에서 발견되는 태아태반을 연결하는 동맥이다. 태아에서는 탯줄의 내부에 있다.

배꼽동맥
태아 시기의 순환. 사진 왼쪽의 큰 빨간 혈관은 배꼽정맥이다. 배꼽동맥은 배꼽정맥 주위를 감고 있는 보라색의 혈관이다.
태반 순환의 그림.
정보
기원속엉덩동맥
가지위방광동맥
정관동맥
정맥배꼽정맥
식별자
라틴어arteria umbilicalis
영어umbilical artery
MeSHD014469
TA98A12.2.15.020
TA24316
TEE6.0.1.3.0.0.4
FMA18820

구조

편집

발생기 구조

편집

배꼽동맥은 태아로부터 태반으로 산소가 부족한 정맥혈을 운반한다. 산소가 부족한 정맥혈이지만 이 혈액은 태아 온몸순환의 동맥에서 나오는 혈액으로, 다른 태아 조직에 분배된 혈액과 같은 양의 산소와 영양분을 포함하고 있다. 탯줄에는 하나의 배꼽정맥과 두 개의 배꼽동맥이 함께 존재한다. 두 배꼽동맥은 방광을 둘러싸며 태아의 몸에서 산소가 부족한 혈액을 태반으로 운반한다. 태반 안에서 두 배꼽동맥은 대략 탯줄이 닿는 곳에서 5mm 정도 떨어지는 지점에서 연결된다.[2] 그 후 배꼽동맥은 융모막동맥(chorionic arteries 또는 intraplacental fetal arteries)으로 갈라진다.[3]

배꼽동맥은 속엉덩동맥 앞갈래의 가지이다.[4] 태아의 다리에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인체에서 산소가 부족한 혈액을 운반하는 두 종류의 동맥 중 하나로, 다른 하나는 허파동맥이다.

배꼽동맥의 혈압은 대략 50mmHg이다.[5] 발생이 진행되며 혈관은 넓어지고 혈류 저항은 감소한다.[6]

발생 이후

편집

출생 이후 배꼽동맥은 퇴화한다. 일부는 없어져 안쪽배꼽인대(요막관이 퇴화하고 남은 구조물인 정중배꼽인대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가 된다. 또 다른 일부는 속엉덩동맥의 앞갈래 가지로 남아 열린 상태로 존재하며, 골반에 위치하여 위방광동맥을 낸다. 남성의 경우 정관동맥도 낸다. 일부 사람들에서는 정관동맥에 아래방광동맥에서 나올 수 있다.

임상적 중요성

편집

심각하게 아픈 아기의 배꼽동맥 중 하나에 카테터를 삽입해 혈액 검사를 위한 정맥천자를 시행할 수 있다.[7] 이런 방식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흔히 시행되는 처치로, 배꼽동맥이 빠르게 쇠퇴하기 시작하는 출생 이후 2주 정도까지 종종 수행할 수 있다.[8] 약물을 주입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7][9]

각주

편집
  1.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kr/search.php?Search=umbilical+artery&EbookTerminology=YES&DictAll=YES&DictAbbreviationAll=YES&DictDefAll=YES&DictNownuri=YES&DictWordNet=YES
  2. Gordon, Z.; Elad, D.; Almog, R.; Hazan, Y.; Jaffa, A. J.; Eytan, O. (2007). “Anthropometry of fetal vasculature in the chorionic plate”. 《Journal of Anatomy》 211 (6): 698–706. doi:10.1111/j.1469-7580.2007.00819.x. PMC 2375851. PMID 17973911. 
  3. Hsieh, FJ; Kuo, PL; Ko, TM; Chang, FM; Chen, HY (1991). “Doppler velocimetry of intraplacental fetal arteries”. 《Obstetrics and Gynecology》 77 (3): 478–82. PMID 1992421. 
  4. Adamson, S. Lee; Myatt, Leslie; Byrne, Bridgette M. P. (2004년 1월 1일), Polin, Richard A.; Fox, William W.; Abman, Steven H., 편집., “Chapter 72 - Regulation of Umbilical Blood Flow”, 《Fetal and Neonatal Physiology (Third Edition)》 (영어) (W.B. Saunders), 748–758쪽, doi:10.1016/b978-0-7216-9654-6.50075-8, ISBN 978-0-7216-9654-6, 202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5. Fetal and maternal blood circulation systems Archived 2017년 7월 4일 - 웨이백 머신 From Online course in embryology for medicine students. Universities of Fribourg, Lausanne and Bern (Switzerland). Retrieved on 6 April 2009
  6. Geipel, Annegret; Gembruch, Ulrich (2009년 1월 1일), Wladimiroff, Juriy W; Eik-Nes, Sturla H, 편집., “Chapter 11 - Evaluation of fetal and uteroplacental blood flow”, 《Ultrasound in Obstetrics and Gynaecology》 (영어) (Edinburgh: Elsevier), 209–227쪽, doi:10.1016/b978-0-444-51829-3.00011-8, ISBN 978-0-444-51829-3, 202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7. Bell, Edward F. (2011년 1월 1일), Goldsmith, Jay P.; Karotkin, Edward H., 편집., “27 - Nutritional Support”, 《Assisted Ventilation of the Neonate (Fifth Edition)》 (영어) (Philadelphia: W.B. Saunders), 466–483쪽, doi:10.1016/b978-1-4160-5624-9.00027-5, ISBN 978-1-4160-5624-9, 202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8. Durand, DAVID J.; Phillips, BARRY; Boloker, JUDD (2003년 1월 1일), Goldsmith, Jay P.; Karotkin, Edward H.; Siede, Barbara L., 편집., “Chapter 17 - BLOOD GASES: Technical Aspects and Interpretation”, 《Assisted Ventilation of the Neonate (Fourth Edition)》 (영어) (W.B. Saunders), 279–292쪽, doi:10.1016/b978-0-7216-9296-8.50022-2, ISBN 978-0-7216-9296-8, 202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9. Wald, Samuel H.; Mendoza, Julianne; Mihm, Frederick G.; Coté, Charles J. (2019년 1월 1일), Coté, Charles J.; Lerman, Jerrold; Anderson, Brian J., 편집., “49 - Procedures for Vascular Access”, 《A Practice of Anesthesia for Infants and Children (Sixth Edition)》 (영어) (Philadelphia: Elsevier), 1129–1145.e5쪽, doi:10.1016/b978-0-323-42974-0.00049-5, ISBN 978-0-323-42974-0, 202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