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인성 (야구인)
조인성(趙寅成, 1975년 5월 25일 ~ )은 전 KBO 리그 한화 이글스의 포수이자, 현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잔류군/재활군 코치이다.[1]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75년 5월 25일 | (49세)||||||||||||||||||||||||||||||||||||||
출신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신장 | 182 cm | ||||||||||||||||||||||||||||||||||||||
체중 | 110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수비 위치 | 포수, 지명타자 | ||||||||||||||||||||||||||||||||||||||
프로 입단 연도 | 1998년 | ||||||||||||||||||||||||||||||||||||||
드래프트 순위 | 1998년 1차 지명(LG 트윈스) | ||||||||||||||||||||||||||||||||||||||
첫 출장 | KBO / 1998년 4월 15일 청주 대 한화전 | ||||||||||||||||||||||||||||||||||||||
마지막 경기 | KBO / 2017년 5월 23일 대전 대 KIA전 | ||||||||||||||||||||||||||||||||||||||
획득 타이틀 |
| ||||||||||||||||||||||||||||||||||||||
계약금 | 4억 2,000만원 | ||||||||||||||||||||||||||||||||||||||
경력 | |||||||||||||||||||||||||||||||||||||||
선수 경력 코치 경력 | |||||||||||||||||||||||||||||||||||||||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 |||||||||||||||||||||||||||||||||||||||
올림픽 | 1996년 애틀랜타 | ||||||||||||||||||||||||||||||||||||||
WBC | 2006년 | ||||||||||||||||||||||||||||||||||||||
아시안게임 | 1998년 방콕 2006년 도하 | ||||||||||||||||||||||||||||||||||||||
아시아선수권 | 1997년 타이베이 2003년 삿포로 | ||||||||||||||||||||||||||||||||||||||
유니버시아드 | 1995년 히로시마 | ||||||||||||||||||||||||||||||||||||||
메달 기록
|
선수 시절
편집아마추어 시절
편집연세대 체육교육학과 4학년 때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돼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 참가했다.
1998년에 1차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강한 어깨를 바탕으로 한 뛰어난 도루 저지 능력을 보여 팀을 대표하는 프랜차이즈 스타 포수로 자리매김했다. 데뷔 첫 시즌 후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 참가해서 금메달을 획득해 병역을 해결했다. 2007년에 2할대 타율, 13홈런, 73타점의 성적을 기록했고, 최대 4년 34억원의 금액으로 FA 계약을 맺었으나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 박종훈이 감독으로 부임한 후 타격 능력이 향상됐다. 2010년 4월 24일 역대 56번째 통산 500타점을 기록했다. 2010년 7월 15일 KIA전에서 안영명을 상대로 3점 홈런을 치며 역대 62번째 통산 1500루타를 기록했다. 2010년 9월 1일 포수 최초 시즌 세 자릿수 타점을 기록했다. 이 해 3할대 타율, 28홈런, 107타점으로 개인 최고 기록을 세우며 박경완을 2표 차로 제치고[2] 데뷔 13년 만에 첫 골든 글러브를 받았다.[3]
2011년에 2번째 FA를 선언했으나 LG 트윈스와 이견이 커 결별했다. 2011년 11월 22일 3년간 최대 19억원에 FA 계약을 체결하고 이적했다. LG 트윈스에서는 그의 보상 선수로 투수 임정우를 받았다. 홍성흔처럼 포수가 아닌 지명타자로 보직을 옮긴다는 설이 있었으나 당시 감독이었던 이만수가 포수로 출장시킨다고 언급했다. 그리고 박경완, 정상호의 부상으로 2012년 개막전 선발 라인업에 포수로 이름을 올렸고, 박경완의 공백이 장기화돼 주전 포수로 자주 출장했다. 2002년 한국시리즈 후 10년 만에 포스트 시즌 및 한국시리즈에 복귀했다. 하지만 2012년 한국시리즈에 출장해 10년 전 2002년 한국시리즈 6차전 때처럼 이승엽에게 홈런을 허용했다.[4]
야구선수 은퇴 후
편집은퇴 후 김태형의 부름을 받아 2018년부터 두산 베어스의 배터리코치로 활동했다. 2021년부터 LG 트윈스의 2군 배터리코치로 활동했다.
별명
편집- '잉'여 + '금'강불괴를 합쳐서 '잉금님'이라고 불린다.
- 한화 이글스로 이적해 '칰금님'이라고 불린다.
- 바깥쪽으로 볼을 많이 요구해 '조바깥', '바깥 양반'이라고 불린다.
트리비아
편집- 강인한 어깨를 바탕으로 한 리그 정상급의 도루 저지 능력으로 '앉아 쏴'라는 특기를 가지고 있다.[5]
에피소드
편집수상
편집- 1998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등번호
편집선수 시절
편집- '44' (1998년~2017년)
코치 시절
편집- '75' (2018년~2023년)
통산 기록
편집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1998 | LG | 0.269 | 84 | 134 | 10 | 36 | 8 | 0 | 2 | 15 | 0 | 0 | 3 | 0 | 22 | 3 | 2 |
1999 | 0.254 | 56 | 142 | 23 | 36 | 6 | 0 | 5 | 22 | 0 | 0 | 6 | 1 | 27 | 4 | 1 | |
2000 | 0.225 | 108 | 227 | 19 | 51 | 5 | 1 | 5 | 33 | 2 | 1 | 16 | 4 | 59 | 6 | 8 | |
2001 | 0.253 | 82 | 186 | 19 | 47 | 10 | 0 | 5 | 26 | 1 | 2 | 12 | 4 | 27 | 4 | 3 | |
2002 | 0.268 | 124 | 362 | 36 | 97 | 21 | 2 | 9 | 48 | 3 | 0 | 14 | 5 | 82 | 11 | 9 | |
2003 | 0.257 | 132 | 428 | 43 | 110 | 20 | 2 | 19 | 58 | 0 | 1 | 15 | 8 | 67 | 17 | 8 | |
2004 | 0.254 | 129 | 386 | 40 | 98 | 16 | 0 | 8 | 49 | 2 | 5 | 36 | 3 | 63 | 9 | 6 | |
2005 | 0.224 | 85 | 201 | 22 | 45 | 11 | 0 | 6 | 34 | 0 | 0 | 14 | 4 | 34 | 2 | 2 | |
2006 | 0.245 | 112 | 326 | 37 | 80 | 18 | 0 | 10 | 38 | 0 | 1 | 28 | 0 | 30 | 11 | 5 | |
2007 | 0.282 | 124 | 419 | 44 | 118 | 24 | 0 | 13 | 73 | 1 | 1 | 30 | 4 | 61 | 8 | 7 | |
2008 | 0.227 | 102 | 330 | 25 | 75 | 18 | 1 | 10 | 49 | 0 | 0 | 17 | 1 | 76 | 6 | 4 | |
2009 | 0.214 | 95 | 266 | 35 | 57 | 10 | 1 | 14 | 36 | 0 | 2 | 28 | 1 | 53 | 10 | 7 | |
2010 | 0.317 | 133 | 457 | 69 | 145 | 24 | 1 | 28 | 107 | 2 | 0 | 41 | 3 | 83 | 19 | 3 | |
2011 | 0.267 | 117 | 390 | 46 | 104 | 14 | 2 | 15 | 59 | 2 | 1 | 44 | 3 | 70 | 10 | 5 | |
2012 | SK | 0.271 | 104 | 284 | 32 | 77 | 13 | 0 | 9 | 40 | 0 | 1 | 16 | 2 | 60 | 5 | 8 |
2013 | 0.213 | 88 | 207 | 16 | 44 | 10 | 0 | 7 | 29 | 0 | 1 | 7 | 2 | 65 | 4 | 2 | |
2014 | 한화 | 0.226 | 75 | 164 | 16 | 37 | 7 | 0 | 7 | 34 | 0 | 0 | 14 | 2 | 40 | 5 | 5 |
2015 | 0.232 | 106 | 276 | 33 | 64 | 11 | 0 | 11 | 44 | 0 | 0 | 16 | 6 | 89 | 5 | 6 | |
2016 | 0.168 | 76 | 137 | 10 | 23 | 2 | 0 | 3 | 7 | 0 | 0 | 2 | 1 | 38 | 2 | 4 | |
2017 | 0.138 | 16 | 29 | 1 | 4 | 0 | 0 | 0 | 0 | 0 | 0 | 0 | 0 | 9 | 1 | 2 | |
통산 | 20시즌 | 0.252 | 1948 | 5351 | 576 | 1348 | 248 | 10 | 186 | 801 | 13 | 16 | 359 | 54 | 1055 | 142 | 97 |
각주
편집- ↑ https://www.yna.co.kr/view/AKR20231212123000007
- ↑ 포수 GG 박경완, 역대 초박빙 타이 2표차 아쉬운 고배 《OSEN》, 2010년 12월 11일
- ↑ '데뷔 13년 만에 첫 골든 글러브 조인성 《한겨레》, 2010년 12월 24일
- ↑ '결승포' 이승엽, 조인성에 '10년 전 악몽' 재현 - 조이뉴스24
- ↑ [1]
- ↑ LG 심수창-조인성 말싸움 "이러니 7연패하지" - 스포츠경향
- ↑ LG 트윈스, 선수단 대폭 물갈이 - OSEN
- ↑ LG 내분 사태 일벌백계..."조인성-심수창 올 시즌 1군 복귀 없다" - 스포츠조선
외부 링크
편집- 조인성 - KBO 타자별 기록
- 조인성 - 스탯티즈
- "日 야쿠르트, LG 조인성 영입 착수" 日 언론 《Osen》, 2008년 10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