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령로
죽령로(竹嶺路, Jungnyeong-ro)는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 가흥 교차로와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단양 나들목을 잇는 도로이다. 전 노선이 국도 제5호선과 국도 제36호선에 속해있으며, 영남 지방의 관문인 죽령을 통과한다.
일반 국도 경상북도 지방도 | |
---|---|
5 36 | |
죽령로 | |
국도 제5호선의 일부 국도 제36호선의 일부 | |
총연장 | 30.635km |
기점 |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동 |
주요 경유지 |
경상북도 영주시 충청북도 단양군 |
종점 |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
주요 교차도로 |
중앙고속도로 국도 제5호선 국도 제3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 지방도 제931호선 |
역사
편집- 1992년 1월 17일 :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160m 구간 개통[1]
- 2000년 1월 10일 : 영주시 안정면 내줄리 ~ 풍기읍 백리 7.0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6.05km 구간 폐지[2]
- 2005년 10월 31일 : 영주시 가흥동 ~ 안정면 신전리 5.4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
- 2005년 12월 21일 : 영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신전 ~ 가흥간 도로, 영주시 가흥동 ~ 안정면 신전리) 5.4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4.75km 구간 폐지[4]
- 2006년 11월 21일 : 단양IC ~ 단양간 도로(단양군 대강면 장림리 ~ 용부원리) 1.6km 구간 확장 개통[5]
- 2009년 7월 10일 :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죽령로를 고시[6]
- 2016년 12월 28일 : 풍기 ~ 도계간 도로(영주시 풍기읍 백신리 ~ 수철리) 5.1km 구간 확장 개통[7], 기존 2.0km 구간 폐지[8]
주요 경유지
편집노선
편집-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이름[9]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영주로와 직결 | ||||
가흥 교차로 | 국도 제5호선 국도 제36호선 (경북대로) |
영주시 | 가흥동 | 국도 제5, 36호선 구간 |
가흥육교 | ||||
내줄 교차로 | 장안로 | 안정면 | ||
내줄교 | ||||
신전 교차로 | 신재로 장안로 | |||
신전육교 | ||||
안정1교 봉현육교 |
봉현면 | |||
봉현 교차로 (봉현1육교) |
국가지원지방도 제28호선 (오현로) 지방도 제931호선 (소백로) | |||
오현1육교 오현2육교 두산육교 |
||||
풍기교 | ||||
풍기읍 | ||||
백리 교차로 | 기주로 | |||
백동 교차로 | 전구로 | |||
새터 교차로 | 죽령로1182번길 | |||
백수 교차로 | 국도 제5호선 국도 제36호선 (풍기 ~ 도계간 도로) | |||
(창락1리) | 옥동로 | |||
희방 교차로 | 국도 제5호선 국도 제36호선 (풍기 ~ 도계간 도로) 죽령로1513번길 |
국도 제5, 36호선 구간 | ||
희방삼거리 | 죽령로1720번길 | |||
소혼교 | ||||
죽령 | 국도 제5, 36호선 구간 해발 696m | |||
단양군 | 대강면 | |||
보국사교 기동교 |
국도 제5, 36호선 구간 | |||
죽령역입구 | 용부원2길 | |||
단양 나들목 (대강 교차로) |
55호선 중앙고속도로 | |||
단양로와 직결 |
주요 건물 및 시설
편집각주
편집- ↑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92-4호, 1992년 1월 17일.
-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314호, 2000년 1월 7일.
-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170호, 영주시공고 제2005-493호, 2005년 10월 31일.
-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211호, 제2005-212호, 2005년 12월 15일.
- ↑ 대전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6-163호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2006년 11월 24일.
- ↑ 행정안전부고시 제2009-30호, 2009년 7월 10일.
-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226호, 2016년 12월 19일.
- ↑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227호, 2016년 12월 19일.
- ↑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