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 달린 공간
(
X
,
O
X
)
{\displaystyle (X,{\mathcal {O}}_{X})}
위에서,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군층
F
{\displaystyle {\mathcal {F}}}
를 국소 단면 생성 가군층 (局所斷面生成加群層, 영어 : sheaf of modules locally generated by sections )이라고 한다.
임의의
x
∈
X
{\displaystyle x\in X}
에 대하여, 층의 완전열
O
X
⊕
λ
|
U
→
F
|
U
→
0
{\displaystyle {\mathcal {O}}_{X}^{\oplus \lambda }|_{U}\to {\mathcal {F}}|_{U}\to 0}
이 존재하게 되는 열린 근방
U
∋
x
{\displaystyle U\ni x}
와 기수
λ
{\displaystyle \lambda }
가 존재한다.
환 달린 공간
(
X
,
O
X
)
{\displaystyle (X,{\mathcal {O}}_{X})}
위에서,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군층
F
{\displaystyle {\mathcal {F}}}
를 준연접 가군층 (準連接加群層, 영어 : quasicoherent sheaf of modules , 프랑스어 : faisceau de modules quasi-cohérent ) 또는 단순히 준연접층 이라고 한다.[ 1] :45, (5.1.3)
임의의
x
∈
X
{\displaystyle x\in X}
에 대하여, 층의 완전열
O
X
⊕
κ
|
U
→
O
X
⊕
λ
|
U
→
F
|
U
→
0
{\displaystyle {\mathcal {O}}_{X}^{\oplus \kappa }|_{U}\to {\mathcal {O}}_{X}^{\oplus \lambda }|_{U}\to {\mathcal {F}}|_{U}\to 0}
이 존재하게 되는 열린 근방
U
∋
x
{\displaystyle U\ni x}
와 기수
κ
,
λ
{\displaystyle \kappa ,\lambda }
가 존재한다.
국소 단면 생성 가군층/준연접 가군층의 정의에서, 기수
κ
,
λ
{\displaystyle \kappa ,\lambda }
가 자연수 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추가하면 각각 유한 생성 가군층 /유한 표시 가군층 의 개념을 얻는다.
임의의 환 달린 공간 위에서,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연접층 ⊆[ 1] :47, (5.3.2) 유한 표시 가군층 ⊆[ 1] :46, (5.2.5) 준연접 가군층 ∩ 유한 생성 가군층
국소 자유 가군층 ⊆ 준연접 가군층[ 1] :48, (5.4.1)
국소 뇌터 스킴 위에서는 구조층이 연접층 이므로,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2]
유한 계수 국소 자유 가군층 ⊆[ 1] :48, (5.4.1) 연접층 = 유한 표시 가군층 = 준연접 가군층 ∩ 유한 생성 가군층
스킴
X
{\displaystyle X}
위의 가군층
F
{\displaystyle {\mathcal {F}}}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 이다.
F
{\displaystyle {\mathcal {F}}}
는 준연접 가군층이다.
임의의 아핀 열린 부분 스킴
Spec
R
⊆
X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R\subseteq X}
에 대하여,
F
|
Spec
R
{\displaystyle {\mathcal {F}}|_{\operatorname {Spec} R}}
는
O
Spec
R
{\displaystyle {\mathcal {O}}_{\operatorname {Spec} R}}
-가군층 으로서 어떤
R
{\displaystyle R}
-가군 으로부터 유도된
O
Spec
R
{\displaystyle {\mathcal {O}}_{\operatorname {Spec} R}}
-가군층 과 동형이다.
X
{\displaystyle X}
의 어떤 아핀 열린 덮개
{
Spec
R
i
}
i
∈
I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R_{i}\}_{i\in I}}
에 대하여,
F
|
Spec
R
i
{\displaystyle {\mathcal {F}}|_{\operatorname {Spec} R_{i}}}
는
O
Spec
R
i
{\displaystyle {\mathcal {O}}_{\operatorname {Spec} R_{i}}}
-가군층 으로서 어떤
R
i
{\displaystyle R_{i}}
-가군 으로부터 유도된
O
Spec
R
i
{\displaystyle {\mathcal {O}}_{\operatorname {Spec} R_{i}}}
-가군층 과 동형이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두 스킴
X
{\displaystyle X}
,
Y
{\displaystyle Y}
스킴 사상
f
:
X
→
Y
{\displaystyle f\colon X\to Y}
그렇다면,
Y
{\displaystyle Y}
위의 준연접층
F
{\displaystyle {\mathcal {F}}}
의 당김
f
∗
F
{\displaystyle f^{*}{\mathcal {F}}}
는
X
{\displaystyle X}
위의 준연접층이다. 반대로,
X
{\displaystyle X}
위의 준연접층
E
{\displaystyle {\mathcal {E}}}
가 주어졌으며,
f
{\displaystyle f}
가 준콤팩트 준분리 사상 이라면
E
{\displaystyle {\mathcal {E}}}
의 밂
f
∗
F
{\displaystyle f_{*}{\mathcal {F}}}
는
Y
{\displaystyle Y}
위의 연접층이다.
일반적 환 달린 공간 위의 준연접 가군층의 범주
QCoh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QCoh} (X)}
는 일반적으로 아벨 범주 가 아니다. 하지만, 만약
X
{\displaystyle X}
가 스킴 일 경우는 이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
그로텐디크 아벨 범주 이다. 특히, 이는 단사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완비 쌍대 완비 아벨 범주 이다.
포함 함자
I
:
QCoh
(
X
)
→
O
X
-Mod
{\displaystyle I\colon \operatorname {QCoh} (X)\to {\mathcal {O}}_{X}{\text{-Mod}}}
는 오른쪽 수반 함자
Q
:
O
X
-Mod
→
QCoh
(
X
)
{\displaystyle Q\colon {\mathcal {O}}_{X}{\text{-Mod}}\to \operatorname {QCoh} (X)}
를 가진다.
즉,
QCoh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QCoh} (X)}
에서의 쌍대 극한은 가군층으로서의 쌍대 극한과 같다.
QCoh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QCoh} (X)}
에서의 유한 극한은 가군층으로서의 극한과 같지만, 무한 극한은 가군층의 극한과 일반적으로 다르며, 가군층에서의 극한에
Q
{\displaystyle Q}
를 가한 것이다.
가환환
R
{\displaystyle R}
위의 다음과 같은 두 범주는 서로 동치 이다.
R
{\displaystyle R}
-가군 의 범주
Mod
R
{\displaystyle \operatorname {Mod} _{R}}
R
{\displaystyle R}
의 스펙트럼 위의 준연접 가군층의 범주
QCoh
(
Spec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QCoh} (\operatorname {Spec} R)}
구체적으로,
R
{\displaystyle R}
-가군
M
{\displaystyle M}
에 대응하는 준연접 가군층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가군층
M
~
{\displaystyle {\tilde {M}}}
이다.
임의의
r
∈
R
{\displaystyle r\in R}
에 대하여,
Γ
(
Spec
(
R
r
)
;
M
~
)
=
R
r
⊗
R
M
{\displaystyle \Gamma (\operatorname {Spec} (R_{r});{\tilde {M}})=R_{r}\otimes _{R}M}
여기서
R
r
=
(
{
1
,
r
,
r
2
,
…
}
)
−
1
R
{\displaystyle R_{r}=(\{1,r,r^{2},\dots \})^{-1}R}
는
r
{\displaystyle r}
로 생성되는 곱셈 모노이드 에서의 국소화 이며, 그 스펙트럼 은
Spec
R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R}
의 열린집합 을 정의한다.
반대로,
Spec
R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R}
위의 준연접 가군층
F
{\displaystyle {\mathcal {F}}}
에 대응하는
R
{\displaystyle R}
-가군 은
Γ
(
Spec
R
;
F
)
{\displaystyle \Gamma (\operatorname {Spec} R;{\mathcal {F}})}
이다.
스킴
X
{\displaystyle X}
의 닫힌 부분 스킴
Y
⊆
X
{\displaystyle Y\subseteq X}
에 대응하는 아이디얼 층 은 준연접 가군층이다. 특히,
X
{\displaystyle X}
전체에 대응하는 영 준연접층
0
{\displaystyle 0}
은 (자명하게) 준연접층이며, 공집합
∅
{\displaystyle \varnothing }
에 대응하는 구조층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역시 준연접층이다. (반면, 국소 뇌터 스킴 이 아닌 스킴의 경우 구조층이 연접층 이 아닐 수 있다.)
체
K
{\displaystyle K}
의 스펙트럼
Spec
K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K}
위에서는 준층과 층과 준연접층 의 개념이 일치하며, 이들은 모두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으로 주어진다. (이 가운데 연접층 은 유한 차원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이다.)
이산 값매김환 위의 준연접층과 준연접층이 아닌 가군층
편집
이산 값매김환
(
D
,
m
,
κ
=
D
/
m
)
{\displaystyle (D,{\mathfrak {m}},\kappa =D/{\mathfrak {m}})}
의 스펙트럼
Spec
D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D}
는 시에르핀스키 공간 이며, 이는 두 개의 점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닫힌점은 극대 아이디얼
m
{\displaystyle {\mathfrak {m}}}
에 대응하며, 이는 잉여류체
κ
{\displaystyle \kappa }
에 해당한다. 닫힌점이 아닌 점은 영 아이디얼
0
{\displaystyle 0}
에 대응하며, 이는 분수체
Frac
D
=
K
{\displaystyle \operatorname {Frac} D=K}
에 해당한다.
시에르핀스키 공간 위에서는 열린집합의 부분 순서 집합 이 (크기 3의) 전순서 집합 이며, 특히 두 열린집합 의 합집합 을 취하여 더 큰 열린집합 을 만들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모든 준층 이 층 을 이룬다.
Spec
D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D}
위의 임의의 가군 (준)층
F
{\displaystyle {\mathcal {F}}}
는 따라서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Γ
(
F
,
Spec
D
)
=
M
{\displaystyle \Gamma ({\mathcal {F}},\operatorname {Spec} D)=M}
. 이는
D
{\displaystyle D}
-가군 이다.
Γ
(
F
,
{
0
}
)
=
N
{\displaystyle \Gamma ({\mathcal {F}},\{0\})=N}
. 이는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이다.
Spec
D
→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D\to \{0\}}
의 제약 사상
ϕ
:
M
⊗
D
K
→
N
{\displaystyle \phi \colon M\otimes _{D}K\to N}
. 이는
K
{\displaystyle K}
-선형 변환 이다.
즉,
Spec
D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D}
위의 가군층은 위와 같은
(
M
,
N
,
ϕ
)
{\displaystyle (M,N,\phi )}
로 주어진다.
아핀 스킴
Spec
D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D}
위의 준연접 가군층은
D
{\displaystyle D}
-가군
M
{\displaystyle M}
만으로 주어진다. 이 경우,
{
0
}
{\displaystyle \{0\}}
의 단면은 (가군에 대응하는 준연접층의 정의에 따라)
M
⊗
A
K
{\displaystyle M\otimes _{A}K}
이다. 즉,
Spec
D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D}
-가군층
(
M
,
N
,
ϕ
)
{\displaystyle (M,N,\phi )}
가운데 준연접층인 것은
ϕ
{\displaystyle \phi }
가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의 동형 사상 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