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 수렴 정리

해석학에서 지배 수렴 정리(支配收斂定理, 영어: dominated convergence theorem, 약자 DCT)는 르베그 적분과 함수열의 극한 연산을 서로 교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는 정리다.

정의

편집

확장 지배 수렴 정리

편집

측도 공간   위의 가측 함수의 열   ( ) 및 함수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가측 함수의 열   ( ) 및 가측 함수  가 존재한다고 하자.

  • 다음 세 조건 가운데 하나가 성립한다.
    • (점별 수렴)   로 점별 수렴하며,   로 점별 수렴한다.
    • (거의 어디서나 수렴)  가측 함수이며,   로 거의 어디서나 수렴하며,   로 거의 어디서나 수렴한다.
    • (측도 수렴)  가측 함수이며,   로 측도 수렴하며,   로 측도 수렴한다.
  • (적분 가능성)  
  • (적분 가능 함수열에 의한 지배) 모든  에 대하여, 거의 어디서나  

그렇다면, 확장 지배 수렴 정리(擴張支配收斂定理, 영어: extended dominated convergence theorem, 약자 EDCT)에 따르면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1]:57, §2.3, Theorem 2.3.11

  • (적분 가능성)  
  • (L1 수렴)  
  • (적분과 극한의 교환)  

사실, 이 경우 셰페 정리(영어: Scheffé's theorem)에 따라   역시  L1 수렴한다.

증명 (점별 수렴 또는 거의 어디서나 수렴):

가측 함수의 점별 극한이 존재한다면, 이는 가측 함수이다. 따라서 거의 어디서나 수렴의 경우를 증명하면 충분하다.

적분 가능성: 가정에 따라   가측 함수이며, 파투 보조정리에 따라

 

이다.

L1 수렴: 삼각 부등식에 의하여, 거의 어디서나

 

이므로,  는 거의 어디서나 음이 아닌 가측 함수이다. 이 함수에 파투 보조정리를 적용하면

 

를 얻는다.

적분과 극한의 교환: 삼각 부등식에 따라

 

이다.

증명 (측도 수렴):

측도 수렴 가정에 따라, 임의의 부분열   ( )에 대하여, 각각  ,  로 거의 어디서나 수렴하는 부분열  ,  가 존재한다. 거의 어디서나 수렴에 대한 확장 지배 수렴 정리에 따라

 

이다. 이에 따라

 

이다.

지배 수렴 정리

편집

측도 공간   위의 가측 함수의 열   ( ) 및 함수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가측 함수  가 존재한다고 하자.

  • 다음 세 조건 가운데 하나가 성립한다.
    • (점별 수렴)   로 점별 수렴한다.
    • (거의 어디서나 수렴)  가측 함수이며,   로 거의 어디서나 수렴한다.
    • (측도 수렴)  가측 함수이며,   로 측도 수렴한다.
  • (적분 가능성)  
  • (적분 가능 함수에 의한 지배) 모든  에 대하여, 거의 어디서나  

그렇다면, 지배 수렴 정리에 따르면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2]:26[1]:57, §2.3, Corollary 2.3.12

  • (적분 가능성)  
  • (L1 수렴)  
  • (적분과 극한의 교환)  

증명:

확장 지배 수렴 정리에서  를 취한다.

유계 수렴 정리

편집

유한 측도 공간   ( ) 위의 가측 함수의 열   ( ) 및 함수  가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다음 세 조건 가운데 하나가 성립한다.
    • (점별 수렴)   로 점별 수렴한다.
    • (거의 어디서나 수렴)  가측 함수이며,   로 거의 어디서나 수렴한다.
    • (측도 수렴)  가측 함수이며,   로 측도 수렴한다.
  •  

그렇다면, 유계 수렴 정리(有界收斂定理, 영어: bounded convergence theorem, 약자 BCT)에 따르면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1]:57, §2.3, Corollary 2.3.13

  • (적분 가능성)  
  • (L1 수렴)  
  • (적분과 극한의 교환)  

증명:

지배 수렴 정리에서

 

를 취한다.

역사

편집

역사적으로, 앙리 르베그르베그 적분을 공식화하고 이를 통해 지배 수렴 정리를 증명하였다. 르베그는 지배 수렴 정리를 사용하여, 해석학의 고전적인 문제였던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의 조건을 일반화하는 문제에 결정적인 해답을 제시하였다.[3]:313

구체적으로 말해, 지배 수렴 정리의 따름정리인 유계 수렴 정리를 사용하여, 르베그는 르베그 적분을 이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꼴의 미적분학의 기본정리가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3]:313

이는 f의 도함수가 유계라는 것 이외에 이 도함수에 아무런 조건도 걸지 않고 있다. 그러나 리만 적분을 이용한다면 f의 도함수가 연속 함수이라거나 리만 적분 가능 함수라는 조건 따위가 추가로 필요하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Athreya, Krishna B.; Lahiri, Soumendra N. (2006). 《Measure Theory and Probability Theory》. Springer Texts in Statistics (영어). New York, NY: Springer. doi:10.1007/978-0-387-35434-7. ISBN 978-0-387-32903-1. ISSN 1431-875X. Zbl 1125.60001. 
  2. Rudin, Walter (1987). 《Real and Complex Analysis》 (영어) 3판. McGraw-Hill. ISBN 978-0-07-054234-1. MR 0924157. Zbl 0925.00005.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6일에 확인함. 
  3. 던햄, 윌리엄 (2011). 《미적분학 갤러리》. 한승.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