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학에서 지배 수렴 정리(支配收斂定理, 영어: dominated convergence theorem, 약자 DCT)는 르베그 적분과 함수열의 극한 연산을 서로 교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는 정리다.
측도 공간 위의 가측 함수의 열 ( ) 및 함수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가측 함수의 열 ( ) 및 가측 함수 가 존재한다고 하자.
- 다음 세 조건 가운데 하나가 성립한다.
- (점별 수렴) 은 로 점별 수렴하며, 은 로 점별 수렴한다.
- (거의 어디서나 수렴) 는 가측 함수이며, 은 로 거의 어디서나 수렴하며, 은 로 거의 어디서나 수렴한다.
- (측도 수렴) 는 가측 함수이며, 은 로 측도 수렴하며, 은 로 측도 수렴한다.
- (적분 가능성)
- (적분 가능 함수열에 의한 지배) 모든 에 대하여, 거의 어디서나
그렇다면, 확장 지배 수렴 정리(擴張支配收斂定理, 영어: extended dominated convergence theorem, 약자 EDCT)에 따르면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1]:57, §2.3, Theorem 2.3.11
- (적분 가능성)
- (L1 수렴)
- (적분과 극한의 교환)
사실, 이 경우 셰페 정리(영어: Scheffé's theorem)에 따라 역시 로 L1 수렴한다.
증명 (점별 수렴 또는 거의 어디서나 수렴):
가측 함수의 점별 극한이 존재한다면, 이는 가측 함수이다. 따라서 거의 어디서나 수렴의 경우를 증명하면 충분하다.
적분 가능성: 가정에 따라 와 는 가측 함수이며, 파투 보조정리에 따라
-
이다.
L1 수렴: 삼각 부등식에 의하여, 거의 어디서나
-
이므로, 는 거의 어디서나 음이 아닌 가측 함수이다. 이 함수에 파투 보조정리를 적용하면
-
를 얻는다.
적분과 극한의 교환: 삼각 부등식에 따라
-
이다.
측도 공간 위의 가측 함수의 열 ( ) 및 함수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가측 함수 가 존재한다고 하자.
- 다음 세 조건 가운데 하나가 성립한다.
- (점별 수렴) 은 로 점별 수렴한다.
- (거의 어디서나 수렴) 는 가측 함수이며, 은 로 거의 어디서나 수렴한다.
- (측도 수렴) 는 가측 함수이며, 은 로 측도 수렴한다.
- (적분 가능성)
- (적분 가능 함수에 의한 지배) 모든 에 대하여, 거의 어디서나
그렇다면, 지배 수렴 정리에 따르면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2]:26[1]:57, §2.3, Corollary 2.3.12
- (적분 가능성)
- (L1 수렴)
- (적분과 극한의 교환)
확장 지배 수렴 정리에서 를 취한다.
유한 측도 공간 ( ) 위의 가측 함수의 열 ( ) 및 함수 가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다음 세 조건 가운데 하나가 성립한다.
- (점별 수렴) 은 로 점별 수렴한다.
- (거의 어디서나 수렴) 는 가측 함수이며, 은 로 거의 어디서나 수렴한다.
- (측도 수렴) 는 가측 함수이며, 은 로 측도 수렴한다.
-
그렇다면, 유계 수렴 정리(有界收斂定理, 영어: bounded convergence theorem, 약자 BCT)에 따르면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1]:57, §2.3, Corollary 2.3.13
- (적분 가능성)
- (L1 수렴)
- (적분과 극한의 교환)
지배 수렴 정리에서
-
를 취한다.
역사적으로, 앙리 르베그는 르베그 적분을 공식화하고 이를 통해 지배 수렴 정리를 증명하였다. 르베그는 지배 수렴 정리를 사용하여, 해석학의 고전적인 문제였던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의 조건을 일반화하는 문제에 결정적인 해답을 제시하였다.[3]:313
구체적으로 말해, 지배 수렴 정리의 따름정리인 유계 수렴 정리를 사용하여, 르베그는 르베그 적분을 이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꼴의 미적분학의 기본정리가 성립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3]:313
- 어떤 함수 f가 실수 상의 폐구간 [a, b]에서 미분가능하고 그 도함수가 유계라면,
이는 f의 도함수가 유계라는 것 이외에 이 도함수에 아무런 조건도 걸지 않고 있다. 그러나 리만 적분을 이용한다면 f의 도함수가 연속 함수이라거나 리만 적분 가능 함수라는 조건 따위가 추가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