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시외버스터미널

진해시외버스터미널경상남도 통합창원시 진해구 태평로34번길 17(인의동 24-3)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이다.

진해시외버스터미널
공식명칭진해시외버스정류장
종류터미널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주소경상남도 통합창원시 진해구
태평로34번길 17 (인의동)
개장2001년
운영기관동아여객
행선지표기진해
고속버스 운행운행
시외버스 운행운행
시내버스 운행운행

본래 이 자리에는 제일여객 본사가 있었으나, 제일여객이 부도난 후 2001년부터 동아여객이 운영을 시작하였다. 근처에 해군사관학교가 있다. 통합창원 지역의 버스 터미널 중 운행 노선이 가장 적은데, 이는 과거부터 진해시 주민들이 인근 도시인 (구)창원시, (구)마산시 지역과 같은 생활권이기 때문에 이 지역의 버스 터미널을 주로 이용했기 때문이다.

2010년 7월 옛 진해시가 (구)창원시, (구)마산시와 통합하여 통합 창원시로 출범하면서 내서고속버스터미널, 마산고속버스터미널, 마산시외버스터미널, 창원종합버스터미널 등과 함께 통합창원시 권역에 속하는 터미널이다.

역사

편집

과거에는 현재의 kt 진해전화국터에 터미널을 사용하였다. 이 당시 구포.부산.울산.진주 노선을 운영하였다. 제일여객이 부도난 후 2001년부터 동아여객이 터미널을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과거 진해시였던 시절에는 터미널 명칭이 진해시외버스터미널이었으나 창원시로 통합된 후 2010년 7월 1일부터 진해시외버스정류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2014년 12월 18일부터는 동대구 ~ 내서, 마산 고속버스 노선을 진해로 연장한 것을 시작으로 진해시외버스터미널은 고속버스 운행을 시작하게 되었다.

  • 2014년 12월 18일 : 기존 동대구 ~ 내서, 마산 고속버스 노선이 진해로 연장되었다.[2]
  • 2015년 10월 30일 : 김해행 시외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
  • 2016년 2월 1일 : 기존 광주 ~ 마산 고속버스 노선이 진해로 연장되었다.
  • 2016년 6월 13일 : 기존 동서울 ~ 마산 고속버스 노선이 진해로 연장되었다.
  • 2017년 3월 9일 : 진영(신도시)행 시외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

운행 노선

편집
운행
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
시간표
진해 ↔ 동서울[3] 동양고속 진해 동서울 마산, 선산휴게소 4회 09:35, 12:05, 16:05, 19:05
진해 ↔ 대구[4] 동양고속
천일고속
진해 동대구 마산[5], 내서, 서대구 40~60분 첫차:06:00(진해 기준)
막차:22:00(진해 기준)
진해 ↔ 광주[6] 금호고속 진해 광주 창원, 섬진강휴게소 3회 09:25, 13:20, 17:20
운행
노선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
시간표
진해 ↔ 고현 동아여객
경전고속
진해 거제(고현) 중앙시장(육대),경화시장,진해구청,웅동,용원사거리 3회 5:50

11:00 16:30

진해 ↔ 서울남부 고려여객
경전고속
천일여객
진해 서울남부 무정차 60~90분 첫차:06:00(진해 기준)
막차:23:00(진해 기준)
진해 ↔ 부산 경원여객 진해 부산 창원, 동래 3회 11:20, 13:10, 18:00
진해 ↔ 부산서부 동아여객 진해 부산서부 중앙시장(육대)태백사거리,경화시장,우성아파트,진해구청,웅천,STX아파트,용원(청안동), 하단역 배차간격:30분 첫차:06:00(진해 기준)
막차:21:30(진해 기준)
진해 ↔ 울산 경원여객 진해 울산 창원, 동래, 서창, 신복 2회 09:50, 15:50
진해 ↔ 김해[7] 동아여객 진해 김해 웅동, 용원, 장유 4회 06:40, 10:10, 13:30, 17:10

특이 사항

편집
  • 서울남부버스터미널행 시외버스 노선과 동대구행 고속버스 노선의 경우 심야차량을 운행한다.
  • 울산행 노선은 부산행 승객을 태우지 않는다.

외부 링크

편집

각주

편집
  1. 진해 시외버스 정류장, 디지털창원문화대전.
  2. 고속버스 신설노선 안내
  3. 2016년 6월 13일 신설.
  4. 2014년 12월 18일 신설.
  5. 동대구,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만 가는 것이 아니라 마산, 내서고속버스터미널에서도 하차를 할 수 있다.
  6. 2016년 2월 1일 신설
  7. 2015년 10월 30일 신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