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역
진해역(Jinhae station, 鎭海驛)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여좌동에 위치한 진해선의 철도역이다. 진해선의 마지막 역인 통해역은 일반인이 들어갈 수 없는 군사 보호 지역에 위치하여, 이 역이 진해선의 실질적인 종착역으로 취급된다. 역 건물은 2005년 9월 14일에 등록문화재 제192호로 지정되었다. 코레일과 창원시가 합의하면서 2015년 2월 1일부터 정기 여객 취급이 중단되어, 정기 여객 취급은 매년 4월에 진해군항제를 위한 관광열차만 운행되었고[1], 그 외에는 진해선 지선 행암선 화물열차만 운행된다.
진해
| |
---|---|
진해역 구내 | |
진해역에 정차중인 새마을호 | |
![]()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마산관리역 |
소재지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충장로 71 |
좌표 | 북위 35° 9′ 12.30″ 동경 128° 39′ 36.44″ / 북위 35.1534167° 동경 128.6601222° |
개업일 | 1926년 11월 11일 |
종별 | 무배치간이역 |
등급 | 3급 |
승강장수 | 1면 2선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거리표 | |
진해선 | |
창원 기점 19.5 km | |
|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 |
지정번호 | 등록문화재 제192호 |
소재지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여좌동 761 |
제작시기 | 1926년 11월 11일 |
비고 | 2005년 9월 14일 지정 |
연혁
편집- 1926년 11월 11일 : 진해선 개통으로 영업 개시[2]
- 1961년 11월 2일 : 해병대 전용선 개통
- 1966년 9월 16일 : 진해화학 전용선 개통
- 2002년 12월 30일 : 역사 보수
- 2005년 9월 14일 : 등록문화재 지정
- 2006년 11월 1일 : 통근열차 운행 중지, KTX 연계 대구행 새마을호 운행 개시
- 2010년 9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3]
- 2012년 7월 25일 : 대구행 새마을호가 동대구행으로 단축
- 2012년 11월 1일 : 동대구행 새마을호 운행 중지, 마산행 무궁화호 운행 재개
- 2013년 7월 15일 : 마산행 무궁화호 양 방향 1일 2회로 감축.
- 2015년 2월 1일 : 정기 여객열차 운행 중지[4]
- 2015년 7월 20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5]
- 일자불명 : 진해역사 임대
열차 운행
편집- 진해 군항제를 전후로 한 매년 4월 초중순에는 벚꽃관광열차가 전국 각지에서 통해역까지 운행한다. 특히 1980년대부터 경원선·경부선 : 동두천, 의정부, 서울(청량리, 영등포), 수원, 천안, 대전, 김천, 구미, 대구(동대구), 경의선 : 문산(이후 경부선), 호남선·경전선 : 목포, 광주(송정리), 영동선·경북선 : 강릉(정동진), 동해, 삼척, 영주, 예천(용궁), 문경, 상주(이후 경부선), 동해남부선 : 포항, 경주, 울산, 부산(해운대, 부전, 구포) 등지에서 오는 임시 장거리 관광열차가 투입되고 있다.
- 2006년까지 마산-진해를 오가는 정규 통근열차가 있어서 마산, 창원 등의 근거리 승객들이 이용하였다. 2006년 11월 대구와 진해를 오가는 KTX 환승형 새마을호 열차가 신설되면서 진해선 통근열차의 정기 운행이 폐지되었다. 이후 한국철도공사는 창원-진해 구간 사이 대부분의 역을 무정차하는 형태로 창원-진해 구간에 무궁화호를 개조한 통근형 디젤 동차를 투입하여 이용(운임: 성인 기준 2천 원)하게 하였다. 2012년 11월 1일 동대구행 진해선 새마을호가 폐지되면서 마산행 무궁화호 운행이 재개되었다. 그러나, 이용객 감소로 2015년 2월 1일 여객 취급을 중지하였다.
- 2015년 2월 1일부터는 3월 31일부터 4월 10일까지 하루 4번 11일 동안 마산역, 창원역행 운행이 된다.
이용 현황
편집- 마산-통해 통근열차는 2006년 10월 31일을 끝으로 더 이상 진해역에 운행하지 않는다. KTX와 연계하기 위해 2006년 11월 1일부터 대구-진해 새마을호가 운행을 시작하였고 2012년 7월 25일 동대구-진해로 단축하였다가 2012년 11월 1일에 폐지하였다. 이와 동시에 마산-진해 무궁화호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이용객이 저조해 2013년 7월 15일부터는 양 방향 1일 2회만 운행하는 것으로 대폭 감축되었다.
- 무궁화호 열차는 2000년 이후 2012년까지 진해역에 정규 운행을 한 적이 없으며, 하단에 나와있는 통계량은 모두 군항제 기간을 비롯한 특정 기간에 임시로 운행한 열차에 한해 집계된 것이다. 2007년의 통근열차의 승객 통계량도 동일한 사유로 집계된 것이다.
연도, 승하차통계[6] | 이용인원 | |||||
---|---|---|---|---|---|---|
경전선 |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근열차 | 합계 | |||
2000년 | 상행 | 승차 | - | 13,946 | 8,583 | 22,529 |
하차 | - | - | - | - | ||
하행 | 승차 | - | - | - | - | |
하차 | - | 13,143 | 11,268 | 24,411 | ||
2001년 | 상행 | 승차 | - | 14,059 | 9,287 | 23,346 |
하차 | - | - | - | - | ||
하행 | 승차 | - | - | - | - | |
하차 | - | 13,908 | 16,764 | 30,672 | ||
2002년 | 상행 | 승차 | - | 11,194 | 7,526 | 18,720 |
하차 | - | - | - | - | ||
하행 | 승차 | - | - | - | - | |
하차 | - | 8,009 | 12,047 | |||
2003년 | 상행 | 승차 | - | 6,475 | 7,772 | 14,247 |
하차 | - | - | - | - | ||
하행 | 승차 | - | - | - | - | |
하차 | - | 6,831 | 11,907 | 18,738 | ||
2004년 | 상행 | 승차 | - | 2,385 | 4,668 | |
하차 | - | - | - | - | ||
하행 | 승차 | - | - | - | - | |
하차 | - | 2,511 | 6,981 | 9,492 | ||
2005년 | 상행 | 승차 | - | 6,735 | 3,753 | 10,488 |
하차 | - | - | 6 | 6 | ||
하행 | 승차 | - | - | 9 | 9 | |
하차 | - | 4,664 | 4,717 | 9,381 | ||
2006년 | 상행 | 승차 | 4,226 | 6,748 | 4,253 | 15,227 |
하차 | - | - | 1 | 1 | ||
하행 | 승차 | - | - | 3 | 3 | |
하차 | 2,502 | 7,121 | 3,351 | 12,974 | ||
2007년 | 상행 | 승차 | 42,691 | 11,104 | 4,261 | 58,056 |
하차 | - | - | - | - | ||
하행 | 승차 | - | - | - | - | |
하차 | 34,582 | 11,104 | 4,845 | 50,531 | ||
2008년 | 상행 | 승차 | 62,872 | 18,535 | - | 81,407 |
하차 | - | - | - | - | ||
하행 | 승차 | - | - | - | - | |
하차 | 56,949 | 17,898 | - | 74,847 |
승강장
편집승강장은 2, 3번 승강장으로 구분되어 있다. 2번 홈은 정기 여객 취급 당시 마산방향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였고, 3번 홈은 진해군항제 기간 동안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전용선
편집제4비료선 또는 사비선은 구·진해화학의 전용 화물 철도로, 1950년대 이후 국가사업의 일환으로 진해역과 제4비료공장을 연결하기 위해 설치한 철도이다. 길이는 6.5km이며, 진해역에서 분기하는 부근의 경사가 꽤 심한 편이다. 진해화학을 인수한 한화L&C가 비료 사업 철수 선언과 함께 해체되어 현재는 비료공장이 철거되어 운행하지 않는다. 주로 황산이나 석회석 같은 화공용 원료들을 수송했다.
사비선의 지선으로는 행암선이 있다. 군수용품 물량을 수송하는 철로이다. 이 선로는 진해구 장천동 한화L&C 공장에서 진해구 행암동까지 이어지는 선로이다. 화물열차가 주 1회 운행을 한다. 길이는 3.5km이며 행암동 이후 군사보호구역에 들어간다. 끝의 부두에서는 선로가 두 갈래로 나뉘지만, 군사보호구역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외부인들은 종점에 출입을 할 수 없다.
사진
편집-
군항제 기간의 승강장
-
군항제 임시 열차
-
진해역 삼거리
각주
편집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