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게폄근

집게손가락을 펴는 아래팔뒤칸 깊은층의 근육

집게폄근(extensor indicis [proprius]) 또는 검지손가락폄근, 시지신근(示指伸筋)은 아래팔뒤칸 깊은층에 위치한 좁고 긴 근육이다. 긴엄지폄근의 안쪽에 위치하면서 긴엄지폄근에 평행하게 주행한다. 집게손가락에 닿으면서 집게손가락을 펴는 작용을 한다.

집게폄근
노뼈자뼈 먼쪽 끝의 단면. 집게폄근은 그림 아래쪽 중간에 "Ext. indic. prop."으로 표시되어 있다.
아래팔뒤칸 깊은층 근육. 집게폄근은 보라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정보
이는곳자뼈 뒷면 먼쪽 13뼈사이막
닿는곳집게손가락 몸쪽손가락뼈 바닥 (폄근널힘줄)
동맥뒤뼈사이동맥
신경뒤뼈사이신경
작용집게손가락과 손목을 폄
식별자
라틴어musculus extensor indicis
영어extensor indicis proprius muscle
TA98A04.6.02.052
TA22515
FMA38524

구조

편집

집게폄근은 자뼈 몸통 뒷면의 먼쪽 13과 이웃한 아래팔의 뼈사이막에서 일어난다. 손가락폄근의 힘줄과 함께 넷째 힘줄칸을 통해 주행하여 집게손가락의 폄근널힘줄로 향한다.[1]

둘째손허리뼈 머리 반대편에서, 집게폄근의 힘줄은 집게손가락 쪽으로 온 손가락폄근 힘줄의 자쪽 측면에서 해당 힘줄과 합쳐진다.[2] 한편 집게폄근은 손등쪽에서 손가락폄근의 힘줄과 이어지는 건연결(juncturae tendinum)은 가지고 있지 않다.[3]

변이

편집

집게폄근은 변이를 많이 보이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단일 힘줄만 가진다.[4] 집게폄근의 힘줄이 두 개 존재하는 사례도 보고된 바 있다.[2][5][6]

보통 집게손가락에 닿을 때 집게폄근은 손가락폄근의 자쪽 측면에 위치한다.[7] 그러나 손가락폄근의 노쪽 측면에 집게폄근이 닿는 경우도 드물게 관찰되며, 이를 'extensor indicis radialis'라고 칭하기도 한다.[2] 한편 손가락폄근의 자쪽과 노쪽에 모두 닿는, 힘줄이 나누어지는 사례도 보고된 바 있다.[2]

중간폄근(extensor medii proprius)이나 집게중간공통폄근(extensor indicis et medii communis) 같은 비정상적인 손의 폄근이 집게폄근의 변이로 종종 간주되기도 한다.[2] 이는 이들이 유사한 특징과 발생학적 기원을 공유하기 때문이다.[8]

기능

편집

집게폄근은 집게손가락을 펴는 작용을 주로 하며, 손목손목뼈중간관절의 폄을 보조한다.[1]

집게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은 폄근이 따로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손가락과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더 쉽다.[3]

추가 이미지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456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Platzer, Werner (2004). 《Color Atlas of Human Anatomy, Vol. 1: Locomotor System》 5판. Thieme. ISBN 3-13-533305-1. 
  2. Komiyama, M.; Nwe, T. M.; Toyota, N.; Shimada, Y. (1999). “Variations of the Extensor Indicis Muscle and Tendon” (PDF). 《Journal of Hand Surgery, British Volume》 24 (5): 575–578. doi:10.1054/jhsb.1999.0239. PMID 10597935. S2CID 23240783. 2015년 6월 9일에 확인함. 
  3. Ross, Lawrence M.; Lamperti, Edward D., 편집. (2006). 《Thieme Atlas of Anatomy: General Anatomy and Musculoskeletal System》. Thieme. ISBN 978-1-58890-419-5. 
  4. Dass, Prameela; Prabhu, Latha V.; Pai, Mangala M.; Nayak, Varsha; Kumar, Ganesh; Janardhanan, Jiji P. (Nov–Dec 2011).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extensor tendons to the medial four digits of the hand”. 《Chang Gung Medical Journal》 34 (6): 612–619. ISSN 2309-835X. PMID 22196064. 
  5. “Double tendon of the Human Extensor Indicis Muscle provides "insight' into individual development -- Kumka 22 (1): 983.2 -- The FASEB Journal”. 《www.fasebj.org》. 2015년 6월 9일에 확인함. 
  6. Aziz, M. Ashraf; Dunlap, Samuel Strong (1986년 7월 1일). “The human extensor digitorum profundus muscle with comments on the evolution of the primate hand”. 《Primates》 27 (3): 293–319. doi:10.1007/BF02382073. ISSN 0032-8332. S2CID 39525970. 
  7. “Anatomy of the human body”. 《archive.org》. 2015년 6월 9일에 확인함. 
  8. Straus, W.I. (1941). “Phylogeny of human forearm extensors”. 《Ann Hum Biol》 (13): 203–238.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