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갑
찰갑(札甲, lamellar armour) 또는 미늘 갑옷은 작은 미늘 조각들을 이어붙여서 만든 갑옷으로, 판갑, 어린갑과 함께 가장 오래된 종류의 갑옷 중 하나이다. 한자 札은 "조각, 갑옷의 미늘"이라는 뜻이다. 영어로 lamella는 "얇은 판"을 의미한다. 영어나 중국어와 달리, 한국어에서는 비늘 갑옷이 어린갑뿐만 아니라, 찰갑을 의미할 때도 있다. 찰갑은 서유럽에서 일본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찰갑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작은 조각들을 "소찰(小札, lamellae)"이라 한다. 이 소찰들에 구멍을 뚫고 서로 꿰어서 한 벌의 갑옷을 만든다.
어린갑은 직물이나 가죽으로 만들어진 옷에 직접 비늘조각을 꿰어붙인다는 점에서 조각들끼리만 꿰어서 옷 위에 걸쳐입는 찰갑과 구분된다.
소찰은 금속이나 열처리한 가죽 뿐 아니라 뿔, 돌, 뼈 등 기타 여러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금속 소찰은 부식 방지 또는 장식의 용도로 칠을 하기도 했다. 어린갑이 직물이나 가죽옷 위에 비늘을 꿰어붙인 것과 달리 찰갑은 비늘로만 꿰어 옷 위에 걸쳐 입었다. 찰갑은 어린갑에 비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정도가 덜했기에 오리엔트 지방에서 어린갑을 누르고 널리 유행했다.[1]
찰갑은 다른 갑옷 위에 걸쳐 입는 용도로도 사용되었는데, 특히 루스인, 몽골인, 튀르크인, 아바르인을 비롯한 스텝 유목민들이 찰갑을 애용했다.
찰갑은 기원전 17세기 고대 이집트에서도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2] 수메르와 고대 이집트의 부조 조각들에서 군인들, 특히 전차병들이 입고 있는 갑옷이 찰갑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찰갑의 고고학적 증거로 간주할 수 있는 유물이 발견되기 시작하는 것은 아시리아(기원전 900-기원전 600년)에서부터이다.
찰갑은 고대로부터 16세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화권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한반도를 거쳐 일본으로 전해진 찰갑은 사무라이 갑주의 일습을 구성했다.[3]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Oriental Armour, H. Russell Robinson, Publisher Courier Dover Publications, 2002, ISBN 0-486-41818-9, ISBN 978-0-486-41818-6 P.6-7
- ↑ Albert Dien: A Brief Survey of Defensive Armor Across Asia, Journal of East Asian Archaeology, 2, 3–4, 2000, p. 2
- ↑ Robinson 2002, 10쪽.
참고 자료
편집- Robinson, H. Russell (2002). Oriental Armour. Courier Dover. ISBN 978-0-486-418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