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탈랑 수
조합론에서 카탈랑 수(Catalan數, 영어: Catalan number) 또는 카탈란 수는 이진 트리의 수 따위를 셀 때 등장하는 수열이다.
정의
편집카탈랑 수
는 자연수열이며, 여러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정의들은 모두 서로 동치이다.
직접적 정의
편집음이 아닌 정수 n에 대해서, n 번째 카탈랑 수 는 다음과 같다.
점화식
편집카탈랑 수는 다음과 같은 점화식으로 재귀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생성 함수
편집카탈랑 수는 그 생성 함수
를 통해 정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므로
이 된다. 그렇다면 카탈랑 수는
이다.
성질
편집점근적 성질
편집점근적으로 카탈랑 수는
로 근사할 수 있다. 이는 스털링 근사를 사용한 것이다.
홀짝성
편집카탈랑 수 가 홀수일 필요 충분 조건은 이 메르센 수 인 것이다.[1]:52
즉, 홀수인 카탈랑 수는
따위의 수이다.
예
편집카탈랑 수의 n=0…37까지의 값들은 아래와 같다. (OEIS의 수열 A000108)
- 1, 1, 2, 5, 14, 42, 132, 429, 1430, 4862, 16796, 58786, 208012, 742900, 2674440, 9694845, 35357670, 129644790, 477638700, 1767263190, 6564120420, 24466267020, 91482563640, 343059613650, 1289904147324, 4861946401452, 18367353072152, 69533550916004, 263747951750360, 1002242216651368, 3814986502092304, 14544636039226909, 55534064877048198, 212336130412243110, 812944042149730764, 3116285494907301262, 11959798385860453492, 45950804324621742364, …
응용
편집조합론에서의 개수 세기 문제 가운데 많은 것이 카탈랑 수를 그 해로 갖는다. 이 예제들은 조합 수학자 리처드 P. 스탠리의 저서 《Enumerative Combinatorics》 2권[2]에 나오는 카탈랑 수의 서로 다른 66가지 표현 가운데 몇 개를 뽑은 것이다. 예제와 함께 있는 그림들은 C3 = 5의 경우의 예이다.
- Cn은 -1과 1 값으로 만들어진 수열 (a1, a2, ..., a2n)에서a1+a2+...+a2n=0 일 때, 각각의 부분합 a1, a1+a2, ..., a1+a2+...+a2n이 모두 0 이상이 되도록 하는 방법의 수이다.
- Cn은 ai가 1 또는 -1일 때, a1+a2+...+a2n+2=0이고 각각의 부분합 a1, a1+a2, ..., a1+a2+...+a2n+1이 모두 0 보다 크게 되도록 하는 방법의 수이다.
- Cn은 길이가 2n인 모든 뒤크 단어(영어: Dyck word)의 개수이다. 발터 폰 뒤크(독일어: Walther von Dyck)의 이름을 딴 뒤크 단어는 n개의 X와 n개의 Y로 이루어진 문자열 중 처음부터 X와 Y의 개수를 세었을 때 항상 X가 Y보다 많거나 같은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아래의 예제는 길이가 6인 모든 뒤크 단어들을 나열한 것이다.
- 뒤크 단어에서 X를 여는 괄호로 보고 Y를 닫는 괄호로 보면, Cn은 n쌍의 괄호로 만들 수 있는 올바른 괄호 구조의 개수이다.
- Cn은 n + 1개의 항에 괄호를 씌우는 모든 경우의 수이다. 혹은 n + 1개의 항에 이항 연산을 적용하는 순서의 모든 가지수로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n = 3일 때, 4개의 항에 대해 다섯개의 괄호 표현식이 존재한다.
- 이항 연산의 적용 순서는 이진 트리로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Cn은 n + 1개의 단말 노드를 갖는 이진 순서 트리의 개수임을 알 수 있다.
역사
편집18세기에 몽골의 수학자 명안도(c. 1692-c. 1763)가 최초로 발견하였다.[3][4][5]
유럽 수학에서는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n+2)-각형을 n개의 삼각형으로 나눌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세는 문제를 제안하면서 처음 나타났다. 벨기에의 수학자 외젠 샤를 카탈랑이 하노이의 탑 문제를 고려하면서 1838년에 재발견하였다.[6][7]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Koshy, Thomas; Salmassi, Mohammad (2006). “Parity and primality of Catalan numbers” (PDF). 《The College Mathematics Journal》 (영어) 37 (1): 52–53. 2021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Stanley, Richard P. (2001년 6월 4일). 《Enumerative Combinatorics》 2 1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789875.
- ↑ Larcombe, P.J. (1999년 9월). “The 18th century Chinese discovery of the Catalan numbers” (PDF). 《Mathematical Spectrum》 (영어) 32 (1): 5–7. 2016년 3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4일에 확인함.
- ↑ 羅見今 (1988). “明安圖公式辨正”. 《內蒙古師大學報(自然科學版)》 (중국어) 1: 42-48.
- ↑ 羅見今 (2010). “明安圖和他的冪級數展開式” (PDF). 《數學傳播》 (중국어) 34 (1): 65–73.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4일에 확인함.
- ↑ Catalan, Eugène Charles (1838). “Note sur un Problème de combinaisons” (PDF). 《Journal de Mathématiques Pures et Appliquées (1re série)》 (프랑스어) 3: 111-112.[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O’Connor, John J.; Robertson, Edmund F. (2012년 9월). “Eugène Charles Catalan”.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영어).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외부 링크
편집- Weisstein, Eric Wolfgang. “Catalan number”.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Hazewinkel, M. (2001). “Binary tre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ISBN 978-1-55608-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