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소보군(Kosovo Force (KFOR)은 북대서양 조약 기구가 주도하는 국제적인 평화유지군으로, 코소보에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코소보군은 2009년 설립된 코소보 안보군이 자체적으로 활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작전 규모가 줄고 있다.[1] 코소보군은 1999년 6월 11일 코소보에 진입했는데,[2] 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1244호가 채택된지 이틀 후였다. 이 때 당시 코소보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군코소보 해방군에 맞서 작전을 개시함에 따라 인도주의적 위기에 직면해 있었다. 100만 명 이상의 코소보 난민들이 코소보를 떠났으며, 대부분이 영구적으로 돌아오지 못했다.[1]

코소보군
Kosovo Force
1999년 7월 캐나다 경찰과 미국 해병대가 합동으로 대량 무덤을 조사하고 있다.
코소보군의 군기 코소보군의 마크
활동 기간1999년 6월 11일 - 현재
국가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기 북대서양 조약 기구
규모3,500명
본부코소보 프리슈티나
참전유고슬라비아 전쟁
웹사이트https://jfcnaples.nato.int/kfor
지휘관
지휘관로렌초 다다리오
주요 지휘관마이크 잭슨

코소보군은 점진적으로 코소보 경찰과 다른 역내 기관에게 임무를 전환시켰다. 2019년 2월, 28개국이 코소보군의 활동에 기여하고 있으며, 3,500명 이상의 군인 및 민간인이 코소보군에서 근무하고 있다.[3]

목표

편집
 
2002년 코소보군의 지역 구분도.

NATO가 1999년 코소보군을 창립할 때의 목표는 아래와 같았다.[4]

  • 유고슬라비아 및 세르비아군에 맞선 새로운 적대활동이나 위협을 억제한다.
  • 공공 안전 및 민간 질서를 포함해서 코소보에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유지한다.
  • 코소보 해방군을 무장해제 시킨다.
  • 국제적인 인도주의적 지원을 돕는다.
  • 국제 민간 활동에 협력하고, 이들을 지원한다.

오늘날 코소보군은 코소보 내 민족적 기원과 상관없이 코소보 시민 모두가 평화롭게 살 수 있고, 국제적인 지원 하에 민주주의와 시민 사회가 점차 힘을 얻어가는 안심할 수 있는 사회를 건설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코소보군의 임무는 아래의 것을 포함한다.[1]

  • 피난민과 이재민의 귀환 또는 재배치를 도움
  • 피해 지역 재건 및 지뢰 제거
  • 의료 지원
  • 안보 및 사회 질서 유지
  • 소수 민족 보호
  • 문화유산 보호
  • 국경 보호
  • 국경을 넘나드는 무기 밀수 제지
  • 코소보 전체에서 무기, 탄약, 폭발물 자진 신고 프로그램 실시
  • 무기 파괴
  • 코소보 내의 여러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생활의 측면에서 민간 기관, 법, 질서, 재판 제도 및 처벌 제도, 선거 과정 설립을 지원

발칸 반도의 여러 연락 그룹은 코소보의 지위가 완전히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안보를 제공하기 위해 코소보에 남아있을 것이라고 말했다.[5]

구조

편집
 
2006년 KFOR 기동대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코소보군의 부대는 원래 4개의 지역을 기반으로 한 다국적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각 여단은 특수 작전 구역을 맡고 있었지만 코소보군 사령관이 지휘하는 단일 사령부 휘하 부대이다. 2006년 북대서양 위원회는 코소보군의 구조를 조정하기로 했고, 4개의 다국적 여단을 5개의 기동대로 늘려 더 큰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코소보의 다른 구역에 본부를 둔 부대가 타 구역으로 이동할 때 있었던 제한도 폐지했다.[5] 2010년 2월, 다국적 기동대는 다국적 전투단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2011년 3월에는 2개의 다국적 전투단으로 재조직되었다. 이 2개의 전투단은 각각 캠프 본드스틸페야에 본부를 두고 있다.[6]

2018년 구조

편집
  • 코소보군: 본부 프리슈티나[7]
    • 본부지원단 (HSG) (본부 프리슈티나)
    • 다국적 특수부대 (MSU) (본부 프리슈티나, 이탈리아 카나비니에리로 구성된 군경 연대)
    • 다국적 전투단-동부 (MNBG-E), 본부 페리자이 인근의 캠프 본드스틸
    • 다국적 전투단-서부 (MMBG-W), 본부 페야 인근의 캠프 빌라치오 이탈리아
    • 합동군수지원단 (JLSG), 본부 프리슈티나
    • 코소보군 전략적 예비대대 (KTRBN), 본부 캠프 노보셀로
    • 합동지역파견단–북부 (JRD-N), 본부 캠프 노보셀로
    • 합동지역파견단–남동부 (JRD-SE), 본부 프리슈티나
    • 합동지역파견단–서부 (JRD-W), 본부
 
KFOR 소속 터키 육군 병사가 폭동 진압훈련을 받고 있다.

기여 국가

편집
 
1999년 KFOR 소속 독일군 병사가 남부 코소보를 순찰 중이다.
 
KFOR 소속 이탈리아군 병사가 2004년 코소보 위기오라호바치에서 세르비아계 민간인을 보호 중이다.

코소보군의 병력은 최대 50,000명에 달했고, 총 39개국의 NATO와 비NATO계 국가에서 군인들이 파병되었다. 2008년 코소보군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34개국에서 온 14,000명의 병사들이 코소보군에 참여했다고 한다.[8]

아래 국가들은 코소보군에 참여한 적이 있는 국가들이다. 2008년 이후 그 수가 줄었기 때문에 현재 인원의 수치를 반영했다.[9][10]

NATO 회원국

편집

비NATO 국가

편집

철수 국가

편집

각주

편집
  1. “NATO's role in Kosovo”. 《nato.int》. 2018년 11월 29일. 2018년 12월 6일에 확인함. 
  2. “Defense.gov News Article: Larger Kosovo Force Takes to Field”. 《archive.defense.gov》 (영어). 2017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8일에 확인함. 
  3. “KFOR Key Facts and Figures” (PDF). 《nato.int》. 2019년 5월 25일에 확인함. 
  4. “NATO KFOR – KFOR Objectives”. 《jfcnaples.nato.int》. 2018년 12월 6일에 확인함. 
  5. “NATO Topics: Kosovo Force (KFOR) – How did it evolve?”. Nato.int. 2008년 2월 20일. 2011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6. Muhamet Brajshori (2010년 12월 29일). “US troops to guard Kosovo's border”. 《setimes.com》 (Southeast European Times). 2012년 11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2일에 확인함. 
  7. “Units”. 《Kosovo Force》. NATO. 2019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28일에 확인함. 
  8. “KFOR Press Release”. Nato.int. 2007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9. “Kosovo Force (KFOR)” (PDF). NATO. 2009년 10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22일에 확인함. 
  10. “20130422_130419-kfor-placemat” (PDF). Nato.int. 2013년 4월 22일에 확인함. 
  11. “보관된 사본”. 2014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6일에 확인함. 
  12. “Kosovo International Force Protection (KFOR)”. 《fuerzaaerea.mil.ar》. 2012년 4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13. “GALERÍAS DE FOTOS DE KFOR”. http://www.jef3op.ejercito.mil.ar/. 2009년 3월 10일에 pictorial 원본 문서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에서 보존된 문서.  |publisher=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4. “Georgia announces withdrawal of peacekeepers from Kosovo”. RIA Novosti. 2008년 4월 14일. 2012년 10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15. Mu Xuequan, 편집. (2008년 3월 5일). “Azerbaijan to withdraw peacekeepers from Kosovo”. News.xinhuanet.com. 2012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16. Tor, Rodolfo A PhD and Annanette B Cruz-Salazar. Global Pulisya. Archived 2016년 3월 3일 - 웨이백 머신 Quezon City, The Philippines: Namnama Global Publishing House. 2010.
  17. Alejandrino, Charlemagne S and Annanette B Cruz-Salazar. National Pride, World Peace. City of Pasig, The Philippines: Makabayan Publishing House. 2010. ISBN 978-971-94613-0-2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