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바잠

벤조디아제핀계 의약품

클로바잠(Clobazam)은 프리슘, 온피 등의 브랜드명으로 판매되며 1968년 특허를 받은 벤조디아제핀계 의약품이다.[1] 1966년에 처음 합성되어 1969년에 처음 시판되었다. 1970년 이후 항불안제,[2][3] 1984년 이후 항경련제로 시판되었다.[4] 1차 약물 개발 목표는 벤조디아제핀계 관련 부작용을 줄이고 더 큰 불안요인, 항불안제 효능을 제공하는 것이었다.[2]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7-chloro-1-methyl-5-phenyl-1,5-benzodiazepine-2,4-dion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22316-47-8
ATC 코드 N05BA09
PubChem 2789
드러그뱅크 DB00349
ChemSpider 2687
화학적 성질
화학식 C16H13ClN2O2 
분자량 ?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87% (oral)
단백질 결합 80–90%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Liver
생물학적 반감기
    • clobazam: 36–42 hours
    • N-desmethylclobazam: 59–82 hours
배출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유럽 의약청:바로가기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C(오스트레일리아)C(미국)
법적 상태
투여 방법 By mouth

의학적 용법

편집

클로바잠은 불안요법으로 쓰이고 간질에는 보조요법으로 쓰인다.

간질에는 보조요법으로 1차 약물에 반응하지 않은 환자와 1차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어린이에게 사용된다. 롤랑드 간질이나 다른 간질증후군을 가진 아이들을 위한 다른 발작약보다 클로바잠에 대한 이점이 있는지 확실하지 않다.[5] 6개월에서 3세 사이의 아동에게는 특별한 필요가 없는 한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6] 클로바잠은 간질과 심한 불안감 외에도 정신분열증 및 기타 정신질환에서 단기(2~4주) 보조제로서도 승인되어 불안이나 초조를 관리한다.[6]

때때로 약물 저항성 간질에 사용된다. 그러나 간질의 장기예방을 위한 치료는 상당한 단점이 있을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약물 내성으로 인한 항균효과가 감소하여 장기요법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7] 따라서 간질의 장기적 관리를 위해서는 다른 방부제가 선호될 수 있다. 더욱이 벤조디아제핀은 특히 장기간 사용 후 벤조디아제핀 금단 증후군의 일부를 형성하는 요법의 갑작스러운 또는 과도한 중단으로 인한 반발 발작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캐나다에서는 강장성 클론, 복합성 부분, 근막성 발작에 추가적으로 사용하도록 승인되었다.[8] 클로바잠은 복잡한 부분 발작,[9] 특정 종류의 상태 간질, 특히 근소성, 근소성-절제성, 단순성 부분, 복합성 부분, 강장성 발작, 비상태 부전 발작에 대한 보조요법으로 승인된다.[10] 불안요법 치료도 승인된다.

인도에서는 클로바잠이 간질, 급성 및 만성 불안에서 보조요법으로 사용되도록 승인되었다.[11] 일본에서는 클로바잠이 복합적인 부분 발작을 일으키는 치료 내성 간질에서 보조요법을 승인받고 있다.[12] 뉴질랜드에서는 클로바잠이 Frisium In the Ultimate Clobazam(Frisium)으로 시판되고 있다.[13] 단기간(2~4주) 다른 약물에 반응하지 않은 환자의 급성 불안감을 완화시켜 준다.[6] 미국에서는 2011년 10월 25일 2세 이상의 환자에게 레녹스-가스토 증후군과 관련된 발작의 부수적 치료법에 대해 승인될 때까지 승인되지 않았다.[14]

사용 금지

편집

클로바잠은 다음과 같은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매우 주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벤조디아제핀은 노약자, 임신 중, 어린이, 알코올이나 약물에 의존하는 개인, 정신질환이 동반된 개인에서 사용할 경우 특별한 예방조치가 필요하다.[16]

부작용

편집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20년 9월, 모든 벤조디아제핀 약물에 대해 박스 경고(boxed warning)를 업데이트하여 해당 계열의 모든 의약품에 걸쳐 일관되게 남용, 오용, 중독, 신체적 의존, 금단 반응의 위험을 기술하도록 요구하였다.[17]

일반적 부작용

편집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발열, 침 흘림, 변비 등이 있다.[18]

시판 후 부작용

편집

경고 및 주의사항

편집

2013년 12월, FDA는 존슨 증후군과 독성 있는 표피 네크로리시스, 특히 치료의 첫 8주 동안 클로바잠의 라벨에 심각한 피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경고를 추가했다. .[19]

약물 상호작용

편집
  • 알코올은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을 50% 증가시킨다; 복합적인 억제 효과는 생명을 위협하는 독성을 촉진할 수 있다.
  • 시메티딘은 클로바잠의 효과를 높인다.
  • 발프로산.

과다 복용

편집

클로바잠(Clobazam)을 포함한 벤조디아제핀과의 과다 복용과 중독은 졸림, 혼란, 무기력증과 관련된 CNS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아탁시아, 호흡기 우울증, 저혈압, 혼수상태 또는 사망으로 진행될 수 있다.알코올을 포함한 다른 CNS 억제제와 혼합된 중독의 경우 치명적 결과의 위험이 증가한다.[20]

남용 가능성 및 중독

편집

동물 연구에서 고전적인 (비안시적) 벤조디아제핀은 중독성 행동 패턴의 위험 증가를 시사하는 보상 추구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983년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에 따르면 일부 국가에서 클로바잠 남용이 보고된 바 있다.[21] Clobazam abuse has been reported in some countries, according to a 1983 World Health Organisation report.[22]

의존과 철수

편집

인간에게 있어 클로바잠의 항경련 효과에 대한 내성이 생길 수 있으며,[23] 갑작스럽거나 과속적인 금단시 금단 발작이 일어날 수 있다.[24]

클로바잠은 다른 벤조디아제핀 약물과 마찬가지로 신체적 의존, 중독, 그리고 벤조디아제핀 금단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다.규칙적인 사용 후 클로바잠이나 다른 벤조디아제핀에서 금단하면 알코올이나 바비투레이트 금단 시와 유사한 금단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복용량이 많고 복용 기간이 길수록 불쾌한 금단 증상을 겪을 위험도 크다.벤조디아제핀 치료는 느리고 점진적인 용량 감소 요법을 통해서만 중단되어야 한다.[25]

약리학

편집

클로바잠은 주로 GABAA 수용체에서 양성 입체다른자리 조절자로 일부에서는 나트륨 채널과 전압에 민감한 칼슘 채널에서 추가적인 활성화가 추측된다.[26]

다른 1,5-벤조디아제핀(예: 아르펜다잠, 로펜다잠, CP-1414S)과 마찬가지로 활성대사물 N-데스메틸클로바잠은 GABAA 수용체의 α1 서브유닛에 대한 친화력이 1,4-벤조디아제핀에 비해 낮다.양성 조절 활성을 갖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α에2 대한 친화력이 더 높다.[27][28]

클로나제팜과 비교한 1990년 발표된 이중 맹목 위약 통제 실험에서 클로바잠 10mg은 클로나제팜 0.5mg 또는 1mg보다 진정제가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29]

GABAA 수용체의 α1 하위형은 2000년 맥커넌 외 연구진에 의해 디아제팜의 진정작용에 책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α1 수용체가 디아제팜에 무감각한 생쥐에서도 디아제팜의 항불안제 및 항경련제 특성을 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30] 1996년 나카무라 외 연구진은 클로바잠과 그 활성대사물인 N-데스메틸클로바잠(norclobazam)이 GABAA 수용체에서 GABA 활성 염화물 유입을 강화하여 과극화,[31] 억제 후 시냅스 전위를 생성한다고 보고했다.[32] 또한 이러한 효과는 GABA 길항제인 flumazenil에 의해 억제되었으며, 클로바잠은 GABA 결핍 뇌 조직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작용한다고 보고되었다.[31]


신진대사

편집

클로바잠에는 N-데스메틸클로바잠(N-desmethylclobazam)과 4′-히드록시클로바잠(Dhydroxyclobazam)의 두 가지 주요 대사물이 있는데, 이 대사물은 전자가 활동성이 높다.[33] 디메틸화는 CYP2C19, CYP3A4 및 CYP2B6에 의해 촉진되며 CYP2C18 및 CYP2C19에 의해 4-히드록시클로바잠이 촉진된다.[34]

화학

편집

클로바잠(Clobazam)은 1,5-벤조디아제핀으로, 디아제핀 링이 1과 5 위치(일반적인 1과 4 대신)에 질소 원자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35]

그것은 물에 녹지 않고 구강 형태로만 이용할 수 있다.[26][20]

역사

편집

클로바잠은 밀라노의 Maestretti 연구소에서 발견되어 1969년에 처음 시판되었다.[36] Maestretti는 사노피의 일부가 된 Loussel Uclaf에 의해 인수되었다.[37]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Clobazam (T3D4564)”. 《Toxin and Toxin Target Database (T3DB》. 
  2. Humayun MJ, Samanta D, Carson RP (2020). 〈Clobazam〉.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PMID 31082087. 
  3. Freche C (April 1975). “[Study of an anxiolytic, clobazam, in otorhinolaryngology in psychosomatic pharyngeal manifestations]”. 《Semaine des Hopitaux. Therapeutique》 51 (4): 261–3. PMID 5777. 
  4. “Clobazam in treatment of refractory epilepsy: the Canadian experience. A retrospective study. Canadian Clobazam Cooperative Group”. 《Epilepsia》 32 (3): 407–16. 1991. doi:10.1111/j.1528-1157.1991.tb04670.x. PMID 2044502. S2CID 24420211. 
  5. Arya R, Giridharan N, Anand V, Garg SK (July 2018). “Clobazam monotherapy for focal or generalized seizure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7: CD009258. doi:10.1002/14651858.CD009258.pub3. PMC 6513499. PMID 29995989. 
  6. sanofi-aventis (2002). “Frisium Tablets 10 mg,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from eMC”. 《electronic Medicines Compendium》. Medicines.org.uk. 2007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5년 7월 11일에 확인함. 
  7. Isojärvi JI, Tokola RA (December 1998). “Benzodiazepines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2 Suppl 1 (Suppl 1): 80–92. PMID 10030438. 
  8. “Clobazam”. 《Epilepsy Ontario》. 2020. 2020년 8월 21일에 확인함. 
  9. Larrieu JL, Lagueny A, Ferrer X, Julien J (December 1986). “[Epilepsy with continuous discharges during slow-wave sleep. Treatment with clobazam]”. 《Revue d'Electroencephalographie et de Neurophysiologie Clinique》 (프랑스어) 16 (4): 383–94. doi:10.1016/S0370-4475(86)80028-4. PMID 3103177. 
  10. Gastaut H, Tinuper P, Aguglia U, Lugaresi E (December 1984). “[Treatment of certain forms of status epilepticus by means of a single oral dose of clobazam]”. 《Revue d'Electroencephalographie et de Neurophysiologie Clinique》 14 (3): 203–6. doi:10.1016/S0370-4475(84)80005-2. PMID 6528075. 
  11. “Frisium Press Kit”. Aventis Pharma India. 2005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8월 2일에 확인함. 
  12. Shimizu H, Kawasaki J, Yuasa S, Tarao Y, Kumagai S, Kanemoto K (July 2003). “Use of clobazam for the treatment of refractory complex partial seizures”. 《Seizure》 12 (5): 282–6. doi:10.1016/S1059-1311(02)00287-X. PMID 12810340. 
  13. Epilepsy New Zealand (2000). “Antiepileptic Medication”. 2005년 3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5년 7월 11일에 확인함. 
  14. “FDA Approves ONFI™ (clobazam) for the Adjunctive Treatment of Seizures Associated with Lennox-Gastaut Syndrome in Patients Two Years and Older” (보도 자료). Lundbeck. 2011년 10월 25일에 확인함. 
  15. Monjanel-Mouterde S, Antoni M, Bun H, Botta-Frindlund D, Gauthier A, Durand A, Cano JP (June 1994). “Pharmacokinetics of a single oral dose of clobazam in patients with liver disease”. 《Pharmacology & Toxicology》 74 (6): 345–50. doi:10.1111/j.1600-0773.1994.tb01371.x. PMID 7937568. 
  16. Authier N, Balayssac D, Sautereau M, Zangarelli A, Courty P, Somogyi AA, 외. (November 2009). “Benzodiazepine dependence: focus on withdrawal syndrome”. 《Annales Pharmaceutiques Françaises》 67 (6): 408–13. doi:10.1016/j.pharma.2009.07.001. PMID 19900604. 
  17. “FDA expands Boxed Warning to improve safe use of benzodiazepine drug”.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20년 9월 23일. 2020년 9월 23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18. “Clobazam label” (PDF). December 2014. 
  19. FDA. December 3rd, 2013 FDA Drug Safety Podcast: FDA warns of serious skin reactions with the anti-seizure drug Onfi (clobazam) and has approved label changes
  20. Fruchtengarten L Inchem - Clobazam. Created July 1997, Reviewed 1998.
  21. Thiébot MH, Le Bihan C, Soubrié P, Simon P (1985). “Benzodiazepines reduce the tolerance to reward delay in rats”. 《Psychopharmacology》 86 (1–2): 147–52. doi:10.1007/BF00431700. PMID 2862657. S2CID 30614502. 
  22. WHO Review Group (1983). “Use and abuse of benzodiazepines”.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61 (4): 551–62. PMC 2536139. PMID 6605211. 
  23. Loiseau P (1983). “[Benzodiazepines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L'Encephale》 9 (4 Suppl 2): 287B–292B. PMID 6373234. 
  24. Robertson MM (1986). “Current status of the 1,4- and 1,5-benzodiazepines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the place of clobazam”. 《Epilepsia》. 27 Suppl 1: S27–41. doi:10.1111/j.1528-1157.1986.tb05730.x. PMID 3527689. S2CID 23166797. 
  25. MacKinnon GL, Parker WA (1982). “Benzodiazepine withdrawal syndrome: a literature review and evalu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Drug and Alcohol Abuse》 9 (1): 19–33. doi:10.3109/00952998209002608. PMID 6133446. 
  26. Ochoa JG (2005). “Antiepileptic Drugs: An Overview. GABA Receptor Agonists”. 《Drugs and Diseases》. Medccape. 2005년 7월 10일에 확인함. 
  27. Ralvenius WT, Acuña MA, Benke D, Matthey A, Daali Y, Rudolph U, 외. (October 2016). “The clobazam metabolite N-desmethyl clobazam is an α2 preferring benzodiazepine with an improved therapeutic window for antihyperalgesia”. 《Neuropharmacology》 109: 366–375. doi:10.1016/j.neuropharm.2016.07.004. PMC 4981430. PMID 27392635. 
  28. Nakajima H (August 2001). “[A pharmacological profile of clobazam (Mystan), a new antiepileptic drug]”. 《Nihon Yakurigaku Zasshi. Folia Pharmacologica Japonica》 118 (2): 117–22. doi:10.1254/fpj.118.117. PMID 11530681. 
  29. Wildin JD, Pleuvry BJ, Mawer GE, Onon T, Millington L (February 1990). “Respiratory and sedative effects of clobazam and clonazepam in volunteer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29 (2): 169–77. doi:10.1111/j.1365-2125.1990.tb03616.x. PMC 1380080. PMID 2106335. 
  30. McKernan RM, Rosahl TW, Reynolds DS, Sur C, Wafford KA, Atack JR, 외. (June 2000). “Sedative but not anxiolytic properties of benzodiazepines are mediated by the GABA(A) receptor alpha1 subtype”. 《Nature Neuroscience》 3 (6): 587–92. doi:10.1038/75761. PMID 10816315. S2CID 10340592. 
  31. Nakamura F, Suzuki S, Nishimura S, Yagi K, Seino M (August 1996). “Effects of clobazam and its active metabolite on GABA-activated currents in rat cerebral neurons in culture”. 《Epilepsia》 37 (8): 728–35. doi:10.1111/j.1528-1157.1996.tb00643.x. PMID 8764810. S2CID 12628361. 
  32. Tolbert D, Larsen F (January 2019).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Clinical Pharmacokinetics of Clobazam”.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59 (1): 7–19. doi:10.1002/jcph.1313. PMC 6585772. PMID 30285275. 
  33. Contin M, Sangiorgi S, Riva R, Parmeggiani A, Albani F, Baruzzi A (December 2002). “Evidence of polymorphic CYP2C19 involvement in the human metabolism of N-desmethylclobazam”. 《Therapeutic Drug Monitoring》 24 (6): 737–41. doi:10.1097/00007691-200212000-00009. PMID 12451290. S2CID 44444755. 
  34. Giraud C, Tran A, Rey E, Vincent J, Tréluyer JM, Pons G (November 2004). “In vitro characterization of clobazam metabolism by recombinant cytochrome P450 enzymes: importance of CYP2C19”. 《Drug Metabolism and Disposition》 32 (11): 1279–86. doi:10.1124/dmd.32.11.1279. PMID 15483195. 
  35. Shorvon SD (March 2009). “Drug treatment of epilepsy in the century of the ILAE: the second 50 years, 1959-2009”. 《Epilepsia》. 50 Suppl 3: 93–130. doi:10.1111/j.1528-1167.2009.02042.x. PMID 19298435. S2CID 20445985. 
  36. Hanks GW (1979). “Clobazam: pharmacological and therapeutic profile”.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7 Suppl 1: 151S–155S. doi:10.1111/j.1365-2125.1979.tb04685.x. PMC 1429523. PMID 35198. 
  37. Zirulia, Giuliano (2014). 《L'industria delle Medicine.》. EDRA LSWR. ISBN 9788821439049. 

참고 자료

편집

외부 링크

편집
  • “Clobazam”.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