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 브리지(Tower Bridge)는 영국 런던에 위치한 1등급 등록문화재로, 복합적인 구조의 다리이다. 이 다리는 도개교, 현수교, 1960년까지는 캔틸레버교의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1] 1886년부터 1894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호레이스 존스가 설계하고 존 울프 배리헨리 마크 브루넬의 도움을 받아 공학적 설계를 담당했다.[2] 다리는 런던탑 근처에서 템스강을 가로지르며, 1282년에 설립된 자선 단체인 시티 브리지 재단이 소유하고 관리하는 런던의 다섯 개 다리 중 하나이다.

타워 브리지

타워 브리지는 런던 브리지 동쪽에 거주하는 런던 인구의 39%를 연결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이는 "한쪽의 맨체스터와 다른 쪽의 리버풀"의 인구와 맞먹는 규모였다.[3] 동시에 런던탑과 런던교 사이의 풀오브런던으로 선박이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1894년 6월 30일 웨일스 왕자 에드워드웨일스 공주 알렉산드라에 의해 개통되었다.

다리의 전체 길이는 교대를 포함하여 940피트(290m)이다.[4] 213피트(65m) 높이의 두 교탑이 상부에서 두 개의 수평 보도로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선박 통과를 위해 열 수 있는 한 쌍의 도개교가 있다. 원래는 수압으로 작동했으나, 1972년에 전기-유압 시스템으로 전환되었다. 이 다리는 런던 내부 순환도로의 일부이며 런던 혼잡통행료 구역의 경계이기도 하다. 현재도 중요한 교통로로, 매일 40,000회의 통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리 상판은 차량과 보행자 모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며, 다리의 쌍둥이 탑, 상부 보도, 빅토리아 시대의 기관실은 타워 브리지 전시관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타워 브리지는 런던의 상징적인 랜드마크가 되었다. 때때로 약 0.5마일(800m) 상류에 위치한 런던교와 혼동되어, 한 미국인이 잘못된 다리를 구매했다는 지속적인 도시전설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개요

편집

템스 강 상류에 세워진 타워 브리지는 국회의사당의 빅 벤과 함께 런던의 랜드마크로 꼽히는 건축물이다. 영국의 호황기였던 1894년에 총 길이 260m로 완성되었고, 설계자는 호레이스 존스다. 양 옆으로 솟은 거대한 탑이 있는 우아한 도개교(跳開橋)이며, 도개교를 매단 두 개의 탑은 높이 50m의 철골 탑이다. 엔진이 아닌 전기 모터를 사용하지만 다리를 들어 올리는 유압의 원리는 당시와 동일하다고 한다. 탑 안에는 도개교의 원리를 알 수 있는 타워 브리지 전시관(Tower Bridge Exhibition)이 있으며 탑이 건설되었던 당시의 증기 엔진을 전시하고 있다.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탑 위로 올라가면 유리 통로로 된, 2개의 탑을 연결하는 인도교가 나오는데 브리지 아래의 템스 강은 물론 멀리 런던의 경치를 바라보기에 더할 나위없는 최고의 전망대다. 템스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 중 가장 야경이 아름답다는 평을 듣는 만큼 밤 하늘을 배경으로 조명을 받아 하얗게 빛나는 타워 브리지는 빼놓을 수 없는 런던의 명물로 손꼽힌다.

사진

편집
타워 브리지의 중앙 다리가 열리는 장면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What type of bridge is Tower Bridge?”. 《towerbridge.org.uk》. 2024년 5월 14일에 확인함. 
  2. Portman, Derek (2004). “Henry Marc Brunel: Civil Engineer”. 《Construction History》 20: 71–83. JSTOR 41613878. 2022년 3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20일에 확인함. 
  3. Wolfe Barry, John (1897). “Discussion on the Tower Bridge”. 《Minutes of the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127 (1897): 60–79. 
  4. Cruttwell, George Edward Wilson (1896년 11월 10일). “"The Tower Bridge: Superstructure"”.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Paper No. 2938: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