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히뮐러 공간
수학에서 타이히뮐러 공간(영어: Teichmüller space)은 주어진 (위상수학적) 곡면의 복소 구조들의 모듈라이 공간이다. 이는 자연스럽게 복소 구조 및 다양한 계량들을 가진다.
역사 및 어원
편집오스발트 타이히뮐러(독일어: Oswald Teichmüller)의 이름을 땄다.
정의
편집2차원 다양체 위에 복소 구조들의 집합을 라고 하자. 여기에, 다음과 같은 동치관계를 정의하자.
여기서 는 위상동형사상 들의 군이며, 는 그 가운데 단위원(항등함수)을 포함하는 연결 성분인 부분군이다. 이 동치관계에 대한 동치류 는 자연스럽게 유한차원 다양체를 이루며, 또한 자연스러운 복소 구조가 존재한다.
복소 구조의 모듈라이 공간은 대신 를 사용하여 정의한다. 따라서,
이므로, 복소 구조의 모듈러스 공간은 타이히뮐러 공간에 에 대한 몫공간을 취한 오비폴드다. 여기서 는 의 사상류군(영어: mapping class)이다. 타이히뮐러 공간과 모듈러스 공간의 차이에 대하여, 윌리엄 서스턴은 다음과 같이 적었다.[1]
“ |
대략, 타이히뮐러 공간에서는 곡면이 어떤 계량을 입고 있는지뿐만 아니라, 곡면이 어떻게 계량을 입고 있는지 또한 중요하다. 모듈러스 공간에서는 같은 계량을 입고 있는 모든 곡면들이 동등하다. 아기옷을 입힐 때 다리를 뒤틀리게 잘못 입힌 적이 있다면, 이 차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 |
종수가 이고, 개의 점을 제거한 리만 곡면 의 타이히뮐러 공간을 으로 쓰며, 복소 모듈러스 공간을 이라고 쓴다. 즉,
이다.
성질
편집차원
편집타이히뮐러 공간 의 접공간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두 번째 등식은 세르 쌍대성에 의한 것이다. 즉, 그 공변접공간은 이차 미분(선다발 의 단면)으로 구성된다.
인 경우, 타이히뮐러 공간 의 차원은 다음과 같다.
일 때의 유도:
타이히뮐러 공간의 차원은 그 공변접공간의 차원과 같다.
일 경우, 이는 리만 구이다. 그 위의 모든 선다발은 의 꼴이며, 그 가운데 대역적 단면을 갖는 것은 자명한 선다발 밖에 없다. 특히, 이며, 타이히뮐러 공간은 한원소 공간이다.
리만-로흐 정리에 따라,
이다. 그런데
이다. 즉,
이다. 여기서 는 위의 정칙 벡터장들의 공간의 차원이다. 이면 이러한 벡터장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다. 일 경우, 복소수 원환면 전체에 정의되는 정칙 벡터장은 상수 벡터장이며, 그 공간은 1차원이다. 따라서
이다. 일 경우, 이며, 이므로
이다. 따라서
이다.
베유-페테르손 계량
편집타이히뮐러 공간 위에는 베유-페테르손 계량(영어: Weil–Petersson metric)이라는 켈러 구조가 존재한다. 이는 사상류군의 작용에 불변이며, 따라서 리만 곡면의 모듈러스 공간 (즉, 복소 구조 모듈러스 공간) 위에도 존재한다.[2]
이 경우, 임의의 접벡터 에 대하여, 베유-페테르손 계량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우변은 코호몰로지류를 미분 형식으로 나타낸 것이며, 동치류의 원소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는다.
콤팩트화
편집타이히뮐러 공간에는 자연스러운 콤팩트화가 존재한다. 이는 윌리엄 서스턴이 도입하였고,[3] 서스턴 콤팩트화(영어: Thurston compactification)라고 한다.[4] 이 밖에도 다른 여러 콤팩트화를 정의할 수 있지만, 서스턴 콤팩트화에서는 모듈러 군의 작용이 콤팩트화 타이히뮐러 공간 전체에 연속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가장 많이 쓰인다.
모듈러스 공간 의 경우, 들리뉴-멈퍼드 콤팩트화(영어: Deligne–Mumford compactification) 또는 크누드센-들리뉴-멈퍼드 콤팩트화(영어: Knudsen–Deligne–Mumford compactification) 또는 안정 콤팩트화(영어: stable compactification)가 존재한다.[5] 들리뉴-멈퍼드 콤팩트화 모듈러스 공간 위에서, 베유-페테르손 계량은 완비 계량이다.
예
편집종수 0
편집종수가 0인 리만 곡면은 리만 구면 이 유일하다. 즉, 복소 모듈러스 공간 은 하나의 점만을 포함한다.
타이히뮐러 공간 , , , 은 모두 하나의 점만을 포함한다. 이는 뫼비우스 변환을 사용하여, 임의의 3개의 점을 다른 임의의 점으로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서로 다른 3개의 점 이 주어진다면, 다음과 같은 뫼비우스 변환을 사용해 이들을 각각 로 보낼 수 있다.
는 1차원으로, 복소 상반평면 와 동형이다. 이 경우 복소 모듈러스 공간은 이다. 여기에 들리뉴-멈퍼드 콤팩트화를 가하면 삭제된 점들이 추가돼 이 된다.
일반적으로, 모듈러스 공간 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종수 1
편집종수 1의 리만 곡면은 (비특이 복소) 타원 곡선이다. 이는 복소 평면에 2차원 격자에 대한 몫공간을 취해 얻을 수 있다.
- ( )
복소 구조는 두 주기의 비 에만 의존하게 된다. 이 경우, 복소 구조 모듈러스 공간 은 상반평면 에 다음과 같은 몫공간을 취한 오비폴드이다.
- ( )
이 경우, 사상류군
은 모듈러 군이라고 한다. 이 경우 타이히뮐러 공간은 물론 이다. 이 몫공간은 다음과 같은 기본 영역(基本領域, 영어: fundamental domain)으로 나타낼 수 있다.
타원 곡선 모듈라이 공간 는 위상수학적으로 와 위상동형이다. 여기에 서스턴 콤팩트화(Thurston compactification)을 통해 와 위상동형인 콤팩트화 모듈러스 공간 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된 점은 기본 영역에서 에 해당한다. 이 경우, 위상동형사상은 j-불변량 으로 주어진다.
, 은 모두 복소 상반평면 와 동형이다.
종수 2 이상
편집종수 2 이상의 경우, 차원 공식에 따라서 복소 모듈러스 공간 및 타이히뮐러 공간은 유한차원이다. 이 경우, 그 사상류군은 타이히뮐러 모듈러 군(영어: Teichmüller modular group)이라고 한다.
참고 문헌
편집- ↑ Thurston, Three-Dimensional Geometry and Topology
- ↑ Wolpert, Scott A. (2008). “The Weil–Petersson metric geometry” (영어). arXiv:0801.0175. Bibcode:2008arXiv0801.0175W.
- ↑ Thurston, William. “On the geometry and dynamics of diffeomorphisms of surfaces”.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19 (2): 417–431. doi:10.1090/S0273-0979-1988-15685-6. ISSN 0273-0979. MR 956596.
- ↑ Paulin, Frédéric. “Sur la compactification de Thurston de l’espace de Teichmüller” (프랑스어). arXiv:math/0604184. Bibcode:2006math......4184P.
- ↑ Deligne, Pierre; David Mumford. “The irreducibility of the space of curves of given genus”. 《Publications Mathématiques de l’Institut des Hautes Études Scientifiques》 (영어) 36 (1): 75–109. doi:10.1007/BF02684599. ISSN 0073-8301. MR 0262240. Zbl 0181.48803.
- Hubbard, John Hamal (2006). 《Teichmüller Theory and Applications to Geometry, Topology, and Dynamics. Volume I: Teichmüller Theory》 (영어). Matrix Editions. ISBN 978-0-9715766-2-9. MR 2245223. Zbl 1102.30001.
- Imayoshi, Yoichi; Masahiko Taniguchi (1992). 《An Introduction to Teichmüller Spaces》 (영어). Springer. doi:10.1007/978-4-431-68174-8. ISBN 78-4-431-68176-2
|isbn=
값 확인 필요: length (도움말). - Hamenstädt, Ursula. 〈Teichmüller theory〉. 《Moduli spaces of Riemann surfaces》 (PDF). IAS/Park City Mathematics Series (영어) 20.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ISBN 978-0-8218-9887-1. Zbl 06211774.
- Bers, Lipman (1981). “Finite-dimensional Teichmüller spaces and generalization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Bulletin. New Series》 5 (2): 131–172. doi:10.1090/S0273-0979-1981-14933-8. MR 621883.
외부 링크
편집- Kapovich, Michael (2008년 8월 31일). “Introduction to Teichmüller theory” (PDF) (영어).
- Voitsekhovskii, M.I. (2001). “Teichmüller spac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ISBN 978-1-55608-010-4.
- Krushkal’, S.L. (2001). “Riemann surfaces, conformal classes of”.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ISBN 978-1-55608-010-4.
- Wolpert, Scott A. (2001). “Weil-Petersson metric”.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Teichmüller space”.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