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태풍

2024년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한 태풍

이 문서에서는 2024년에 발생한 태풍들의 활동에 대해 기록하였다.

2024년 북서태평양 태풍 시즌

2024년 북서태평양 열대 저기압들의 이동 경로
담당 기관 RSMC 도쿄
열대 저기압 최초 발생일 2024년 5월 23일
최초 발생일 2024년 5월 25일
소멸일 -
열대 저기압 소멸일 -
발생(명명)수 총합 25개
슈퍼태풍:6개
태풍:7개
열대폭풍:9개
열대저기압:3개
사망자수 1,239명
재산 피해 252억 7,002만 달러
가장 강한 열대저기압 제11호 태풍 야기
최저기압 915hPa
10분 최대풍속 105kn
연도별 문서
2023년 2024년 2025년



태풍의 세부 구분
(10분 평균 풍속 기준)
TD TS STS TY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1분 평균 풍속 기준)
TD TS 1 2 3 4 5

통계

편집

월별 태풍 발생 개수

편집
-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합계
2024년 0

(0)

0

(0)

0

(0)

0

(0)

2

(2)

0

(2)

2

(4)

6

(10)

8

(18)

3

(21)

4

(25)

0

(0)

25
30년 평균

(1971~2000년)

0.5

(0.5)

0.1

(0.6)

0.4

(1.0)

0.8

(1.8)

1.0

(2.8)

1.7

(4.5)

4.0

(8.5)

5.5

(14.0)

5.0

(19.0)

3.9

(22.9)

2.5

(25.4)

1.3

(26.7)

26.7
*괄호 안의 숫자는 누적 태풍 수임.

타임라인

편집

태풍 이름

편집
  • 제1호 태풍 에위니아 (2401)
  • 제2호 태풍 말릭시 (2402)
  • 제3호 태풍 개미 (2403)
  • 제4호 태풍 프라피룬 (2404)
  • 제5호 태풍 마리아 (2405)
  • 제6호 태풍 손띤 (2406)
  • 제7호 태풍 암필 (2407)
  • 제8호 태풍 우쿵 (2408)
  • 제9호 태풍 종다리 (2409)
  • 제10호 태풍 산산 (2410)
  • 제11호 태풍 야기 (2411)
  • 제12호 태풍 리피 (2412)
  • 제13호 태풍 버빙카 (2413)
  • 제14호 태풍 풀라산 (2414)
  • 제15호 태풍 솔릭 (2415)
  • 제16호 태풍 시마론 (2416)
  • 제17호 태풍 제비 (2417)
  • 제18호 태풍 끄라톤 (2418)
  • 제19호 태풍 바리자트 (2419)
  • 제20호 태풍 짜미 (2420)
  • 제21호 태풍 콩레이 (2421)
  • 제22호 태풍 인싱 (2422)
  • 제23호 태풍 도라지 (2423)
  • 제24호 태풍 마니 (2424)
  • 제25호 태풍 우사기 (2425)
  • 제26호 태풍 파북 (사용안함)
  • 제27호 태풍 우딥 (사용안함)
  • 제28호 태풍 스팟 (사용안함)
  • 제29호 태풍 문 (사용안함)
  • 제30호 태풍 다나스 (사용안함)

특징

편집

활동중인 태풍

편집

활동한 태풍

편집

제1호 태풍 에위니아

편집
소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강한 태풍 (JMA)
2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5월 25일 ~ 5월 31일
최저 기압 97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32m/s
JMA 40m/s (75kt)
태풍 피해 6명 사망
피해총액 2,088만 달러

2024년 제1호 태풍 에위니아(EWINIAR)5월 25일 21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55km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남동쪽 약 195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사후해석 반영) 발생 이후 북동진하면서 급발달하였고, 5월 27일 9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동쪽 약 235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9m/s의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계속 북동진하면서 건조 공기와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서서히 약화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다. 5월 31일 3시에 일본 도쿄 남남서쪽 약 4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였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96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에위니아는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폭풍의 신을 의미한다.

제2호 태풍 말릭시

편집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저기압 (SSHS)
   
활동 기간 5월 31일 ~ 5월 31일
최저 기압 998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18m/s
JMA 18m/s (35kt)
태풍 피해 -

2024년 제2호 태풍 말릭시(MALIKSI)5월 31일 9시에 중심기압 998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20km(남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중국 하이커우시 서남서쪽 약 245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사후해석 반영)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북~북북동진하였고, 낮은 열용량으로 인해 급격히 약화되어 5월 31일 21시에 중국 마오밍시 남동쪽 약 65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일본 기상청 사후해석 반영) 말릭시는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빠름을 의미한다.

제3호 태풍 개미

편집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대형의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7월 20일 ~ 7월 27일
최저 기압 93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47m/s
JMA 45m/s (90kt)
태풍 피해 107명 사망
피해총액 10억 9,000만 달러

2024년 제3호 태풍 개미(GAEMI)7월 20일 15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650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77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서북서진하면서 발달해서 7월 24일 15시에 대만 타이베이시 남동쪽 약 1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40hPa, 최대풍속 46m/s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대만 산맥의 영향으로 인해 1바퀴 회전한 뒤에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7월 25일 1시에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41m/s의 세력으로 대만 이란현 난아오 향에 상륙하였다. 대만 상륙 이후 북서~서북서진한 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7월 25일 15시에 중심기압 975hPa, 최대풍속 31m/s의 세력으로 중국 푸젠 성 푸저우 시에 상륙하였다. 중국 상륙 이후에는 육상마찰로 약화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27일 15시에 중국 상하이시 서남서쪽 약 5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7월 27일 21시에 중국 상하이 남서쪽 약 634km 부근 육상(중국 후베이 성 황스시)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개미는 대한민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개미를 의미한다.

제4호 태풍 프라피룬

편집
소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강한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활동 기간 7월 21일 ~ 7월 23일
최저 기압 98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27m/s
JMA 30m/s (60kt)
태풍 피해 23명 사망
피해총액 3,290만 달러

2024년 제4호 태풍 프라피룬(PRAPIROON)7월 21일 12시에 중심기압 998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165km의 열대폭풍으로 베트남 다낭 동쪽 약 31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서진하면서 중국 하이난섬을 관통하고나서 통킹만에 진출한 뒤 북서~서북서진하면서 통킹만의 높은 수온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7월 22일 21시에 베트남 하노이 동남동쪽 약 260km 부근 해상(통킹만)에서 중심기압 980hPa[1], 최대풍속 31m/s[1]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7월 23일 9시에 베트남 꽝닌성에 상륙하면서 중심기압 992hPa, 최대풍속 23m/s로 약화되었다. 베트남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7월 23일 21시에 베트남 하노이 동북동쪽 약 15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프라피룬은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비의 신을 의미한다.

제5호 태풍 마리아

편집
중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강한 열대폭풍 (JMA)
1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8월 8일 ~ 8월 13일
최저 기압 98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32m/s
JMA 30m/s (55kt)
태풍 피해 -

2024년 제5호 태풍 마리아(MARIA)8월 8일 3시에 중심기압 996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20km(남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남남동쪽 약 1,1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동~북북서진하면서 발달하였고, 8월 9일 3시에 일본 도쿄 남동쪽 약 8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hPa, 최대풍속 28m/s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북서진하면서 다시 약화되었고, 8월 12일 9시에 중심기압 990hPa, 최대풍속 26m/s의 세력으로 일본 이와테현 리쿠젠타카타시에 상륙하였다. 일본 도호쿠 지방에 상륙한 이후 산맥의 영향으로 인해 급약화되었고, 8월 13일 3시에 일본 센다이시 북북서쪽 약 340km 부근 해상(동해)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마리아는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여자 이름 마리아를 의미한다.

제6호 태풍 손띤

편집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활동 기간 8월 11일 ~ 8월 13일
최저 기압 994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18m/s
JMA 18m/s (35kt)
태풍 피해 -

2024년 제6호 태풍 손띤(SON-TINH)8월 11일 18시에 중심기압 994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330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1,6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북북서~북서진하며 이동하였고, 8월 13일 21시에 일본 센다이시 동남동쪽 약 4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손띤은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신화 속의 산신 이름이다.

제7호 태풍 암필

편집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8월 13일 ~ 8월 19일
최저 기압 95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45m/s
JMA 45m/s (85kt)
태풍 피해 -

2024년 제7호 태풍 암필(AMPIL)8월 13일 3시에 중심기압 998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20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현 동남동쪽 약 9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동~북진하면서 일본 남쪽 해상의 높은 수온과 열용량으로 인해 발달해서 8월 15일 21시에 일본 도쿄 남남동쪽 약 4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50hPa, 최대풍속 44m/s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동북동진하면서 건조 공기와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서서히 약화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19일 3시에 일본 삿포로시 동쪽 약 1,5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19일 9시에 일본 삿포로시 북동쪽 약 1,663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76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암필은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타마린드(콩과의 상록 교목)를 의미한다.

제8호 태풍 우쿵

편집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저기압 (SSHS)
   
활동 기간 8월 13일 ~ 8월 15일
최저 기압 1002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18m/s
JMA 18m/s (35kt)
태풍 피해 -

2024년 제8호 태풍 우쿵(WUKONG)8월 13일 15시에 중심기압 1004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165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남동쪽 약 1,4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서진하면서 이동하였고, 8월 14일 9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남동쪽 약 1,1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이 조금 하강하였다. 그리고 8월 15일 3시에 중심기압 1004hPa[1], 최대풍속 18m/s[1]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6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이 다시 상승하였다. 사실상 추가 발달 없이 북진했고,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15일 15시에 일본 센다이시 동쪽 약 5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6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하였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15일 15시에 일본 센다이 동쪽 약 5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우쿵은 중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손오공을 의미한다.

제9호 태풍 종다리

편집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활동 기간 8월 19일 ~ 8월 20일
최저 기압 998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19m/s
JMA 20m/s (40kt)
태풍 피해 1명 사망

2024년 제9호 태풍 종다리(JONGDARI)8월 19일 3시에 중심기압 1000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80km(남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남서쪽 약 3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진하면서 미미하게 발달하였고, 8월 19일 15시에 중심기압 998hPa[1], 최대풍속 21m/s[1]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서쪽 약 200km 부근 해상에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진하면서 한라산의 지형과 강한 연직 시어로 인해 급격히 약화된 종다리는 8월 20일 21시에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남남동쪽 약 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한국 기상청에서는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종다리는 북한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종다리를 의미한다.

제10호 태풍 산산

편집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8월 22일 ~ 9월 1일
최저 기압 93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49m/s
JMA 50m/s (95kt)
태풍 피해 8명 사망
피해총액 60억 달러

2024년 제10호 태풍 산산(SHANSHAN)8월 22일 3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20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북북서쪽 약 48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북북서진하면서 일본 남쪽 해상의 높은 수온과 열용량으로 인해 발달해서 8월 28일 3시에 일본 가고시마 남쪽 약 2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35hPa, 최대풍속 49m/s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북서~북북동진하면서 일본 큐슈의 야쿠시마섬 등 지형 영향으로 인해 약화가 진행되면서 8월 29일 8시에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41m/s의 세력으로 일본 가고시마 사쓰마센다이시 부근에 상륙하였다. 일본 상륙 이후 주부 지방의 지형과 건조 공기 유입의 영향으로 인해 약화되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31일 9시에 일본 오사카 남쪽 약 1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1일 12시에 일본 오사카 남동쪽 약 155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태풍 산산으로 인해 2024년 8월 29일 0시 53분에 일본 가고시마 마쿠라자키시에서 순간최대풍속 51.5m/s가 기록되었다. 산산은 홍콩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소녀의 애칭이다.

제11호 태풍 야기

편집
중형의 초강력 태풍 (KMA)
맹렬한 태풍 (JMA)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활동 기간 9월 1일 ~ 9월 8일
최저 기압 91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55m/s
JMA 55m/s (105kt)
태풍 피해 844명 사망
피해총액 166억 달러

2024년 제11호 태풍 야기(YAGI)9월 1일 21시에 중심기압 998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20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3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직후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94hPa, 최대풍속 21m/s의 세력으로 필리핀 루손 섬에 상륙한 뒤, 9월 3일 9시에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21m/s의 세력으로 남중국해에 진출했다. 남중국해 진출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남중국해의 높은 수온과 열용량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9월 5일 9시에 중국 홍콩 남남동쪽 약 40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중심기압 915hPa, 최대풍속 54m/s의 '맹렬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남중국해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최성기 세력을 유지하다가 9월 6일 15시에 중국 하이난성에 접근하면서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25hPa, 최대풍속 51m/s로 다소 약화되었다. 그리고 9월 6일 16시 30분에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25hPa, 최대풍속 51m/s의 세력으로 중국 하이난성 원창시에 상륙했다. 중국 하이난성 상륙 이후에는 통킹만의 높은 수온과 열용량으로 인해 재발달하였고 9월 7일 18시에는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35hPa, 최대풍속 46m/s의 세력으로 베트남 하이퐁시에 상륙했다. 베트남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인해 약화되어서 9월 8일 15시에 베트남 하노이 서쪽 약 1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야기는 일본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별자리염소자리를 의미한다.

제12호 태풍 리피

편집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활동 기간 9월 5일 ~ 9월 7일
최저 기압 1002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18m/s
JMA 18m/s (35kt)
태풍 피해 -

2024년 제12호 태풍 리피(LEEPI)9월 5일 15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110km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6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북~북동진하면서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7일 3시에 일본 센다이시 동쪽 약 1,0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7일 9시에 일본 센다이시 북동쪽 약 1,233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해석하였다. 리피는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폭포 이름이다.

제13호 태풍 버빙카

편집
소형의 강한 태풍 (KMA)
강한 태풍 (JMA)
1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9월 10일 ~ 9월 17일
최저 기압 96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37m/s
JMA 40m/s (75kt)
태풍 피해 8명 사망
피해총액 14억 2,000만 달러

2024년 제13호 태풍 버빙카(BEBINCA)9월 10일 21시에 중심기압 998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20km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남남동쪽 약 1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서북서진하면서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더디게 발달하다가 동중국해에 진출한 뒤에는 동중국해의 높은 수온과 열용량으로 인해 급발달해서 9월 15일 9시에 일본 오키나와현 북북서쪽 약 360km 부근 해상(동중국해)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중심기압 965hPa, 최대풍속 39m/s의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서북서진해서 9월 16일 9시에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75hPa, 최대풍속 33m/s의 세력으로 중국 상하이시에 상륙하였다. 중국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9월 17일 9시에 중국 상하이시 서북서쪽 약 420km 부근 육상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한국 기상청에서는 태풍 버빙카가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버빙카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우유 푸딩을 의미한다.

제14호 태풍 풀라산

편집
중형의 열대폭풍 (KMA)
대형의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활동 기간 9월 15일 ~ 9월 21일
최저 기압 992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23m/s
JMA 23m/s (45kt)
태풍 피해 15명 사망
피해총액 415만 달러

2024년 제14호 태풍 풀라산(PULASAN)9월 15일 21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800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서남서쪽 약 1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서~북북서진하면서 강한 연직시어와 몬순저기압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더디게 발달해서 9월 17일 15시에 미국 북서쪽 약 1,080km 부근 해상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중심기압 992hPa, 최대풍속 23m/s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계속 북서진하며 일본 오키나와현를 통과하면서 약화된 뒤 9월 20일 0시에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98hPa, 최대풍속 18m/s의 세력으로 중국 상하이시에 상륙하였다. 중국 상륙 뒤 북동진으로 전향해서 서해상으로 진출하였고, 9월 21일 3시에 서해상의 높은 수온으로 인해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96hPa, 최대풍속 21m/s로 다시 발달한 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21일 15시에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남서쪽 약 12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해석하였다.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21일 15시에 대한민국 전라남도 진도군 서쪽 약 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해석하였다. 풀라산은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열대과일의 한 종류이다.

제15호 태풍 솔릭

편집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저기압 (SSHS)
   
활동 기간 9월 19일 ~ 9월 20일
최저 기압 992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18m/s
JMA 18m/s (35kt)
태풍 피해 29명 사망
피해총액 2,263만 달러

2024년 제15호 태풍 솔릭(SOULIK)9월 19일 9시에 중심기압 99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110km의 열대폭풍으로 베트남 다낭 북쪽 약 16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서~서남서진하면서 베트남에 상륙한 뒤 바로 약화되었고, 9월 20일 3시에 베트남 다낭 서북서쪽 약 29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솔릭은 미크로네시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전설 속의 족장을 의미한다.

제16호 태풍 시마론

편집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활동 기간 9월 25일 ~ 9월 26일
최저 기압 1002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18m/s
JMA 18m/s (35kt)
태풍 피해 -

2024년 제16호 태풍 시마론(CIMARON)9월 25일 12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330km(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가고시마 남동쪽 약 5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추가 발달 없이 서~서남서진하면서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약화되었고, 9월 26일 15시에 일본 가고시마 남남동쪽 약 4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한국 기상청에서는 태풍 시마론이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시마론은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야생 황소를 의미한다.

제17호 태풍 제비

편집
소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강한 열대폭풍 (JMA)
1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9월 27일 ~ 10월 2일
최저 기압 98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27m/s
JMA 30m/s (60kt)
태풍 피해 -

2024년 제17호 태풍 제비(JEBI)9월 27일 15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330km(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북쪽 약 50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서~북진하며 발달하였고, 10월 1일 9시에 일본 도쿄 남남동쪽 약 38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5hPa[1], 최대풍속 31m/s[1]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함과 동시에 바로 북동진으로 전향하였다. 빠른 속도로 북동~북북동진하면서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었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2일 15시에 일본 삿포로시 동북동쪽 약 9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2일 21시에 일본 삿포로시 북동쪽 약 1,372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제비는 대한민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제비를 의미한다.

제18호 태풍 끄라톤

편집
중형의 초강력 태풍 (KMA)
대형의 맹렬한 태풍 (JMA)
4등급의 슈퍼 태풍 (SSHS)
   
활동 기간 9월 28일 ~ 10월 4일
최저 기압 91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55m/s
JMA 55m/s (105kt)
태풍 피해 18명 사망
피해총액 4,810만 달러

2024년 제18호 태풍 끄라톤(KRATHON)9월 28일 9시에 중심기압 1000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390km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북동쪽 약 6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거의 정체 및 서북서진하면서 루손 해협남중국해의 높은 수온과 열용량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10월 1일 9시에 대만 타이베이시 남남서쪽 약 52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중심기압 915hPa, 최대풍속 54m/s의 '맹렬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거의 정체 및 북동진하면서 대만의 산맥 영향과 건조 공기로 인해 어느 정도 약화된 상태로 10월 3일 15시에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31m/s의 세력으로 대만 가오슝시에 상륙하였다. 대만 상륙 이후 대만의 산맥 영향으로 급약화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4일 9시에 대만 타이베이시 남남서쪽 약 2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다시 남중국해로 진출해서 10월 4일 9시에 대만 타이베이시 남동쪽 약 373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끄라톤은 태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열대과일의 한 종류이다.

제19호 태풍 바리자트

편집
소형의 열대폭풍 (KMA)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활동 기간 10월 9일 ~ 10월 11일
최저 기압 99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24m/s
JMA 23m/s (45kt)
태풍 피해 -

2024년 제19호 태풍 바리자트(BARIJAT)10월 9일 15시에 중심기압 998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390km(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도쿄 남동쪽 약 1,28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 (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북~북북동진하며 온대저기압화 진행 도중에 발달해서 10월 11일 3시에 일본 삿포로시 동남동쪽 약 1,15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0hPa[1], 최대풍속 23m/s[1]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고, 최성기 직후 곧바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어서 10월 11일 9시에 일본 삿포로시 동쪽 약 1,0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2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한국 기상청에서는 태풍 바리자트가 중심기압 985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해석하였다. 바리자트는 미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마셜 제도 원주민어로 해안 지역을 의미한다.

제20호 태풍 짜미

편집
중형의 강한 태풍 (KMA)
대형의 강한 열대폭풍 (JMA)
열대폭풍 (SSHS)
   
활동 기간 10월 22일 ~ 10월 28일
최저 기압 97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35m/s
JMA 30m/s (60kt)
태풍 피해 174명 사망
피해총액 4억 631만 달러

2024년 제20호 태풍 짜미(TRAMI)10월 22일 3시에 중심기압 994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560km의 열대폭풍으로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79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10월 24일 3시에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26m/s의 세력으로 필리핀 루손 섬에 상륙한 뒤, 10월 24일 15시에 중심기압 985hPa, 최대풍속 26m/s의 세력으로 남중국해에 진출했다. 남중국해 진출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발달하였고, 10월 26일 15시에 베트남 다낭 동북동쪽 약 38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1m/s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서~서남서진하며 서서히 약화되었고, 10월 27일 12시에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90hPa, 최대풍속 23m/s의 세력으로 베트남 투안티엔후에에 상륙하였다. 베트남 상륙 이후 육상마찰로 급약화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28일 3시에 베트남 다낭 남남서쪽 약 6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다시 남중국해로 진출해서 10월 28일 9시에 베트남 다낭 북서쪽 약 107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짜미는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장미과에 속하는 나무를 의미한다.

제21호 태풍 콩레이

편집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대형의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의 슈퍼 태풍 (SSHS)
   
활동 기간 10월 25일 ~ 11월 1일
최저 기압 92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53m/s
JMA 50m/s (100kt)
태풍 피해 3명 사망
피해총액 6,021만 달러

2024년 제21호 태풍 콩레이(KONG-REY)10월 25일 6시에 중심기압 996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650km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동남동쪽 약 21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북서~북서진하면서 높은 수온과 열용량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10월 30일 9시에 대만 타이베이시 남남동쪽 약 750km 부근 해상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중심기압 925hPa, 최대풍속 51m/s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10월 31일 15시에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55hPa, 최대풍속 44m/s의 세력으로 대만 화롄시 푸리 향에 상륙하였다. 대만을 관통한 이후 대만의 지형 영향과 육상 마찰로 인해 급약화 및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어서, 11월 1일 21시에 중국 상하이시 동남동쪽 약 1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한국 기상청에서는 태풍 콩레이가 중심기압 100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콩레이는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전설에 등장하는 소녀의 이름를 의미한다.

제22호 태풍 인싱

편집
중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의 슈퍼 태풍 (SSHS)
   
활동 기간 11월 4일 ~ 11월 12일
최저 기압 94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50m/s
JMA 50m/s (95kt)
태풍 피해 1명 사망
피해총액 948만 달러

2024년 제22호 태풍 인싱(YINXING)11월 4일 3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330km의 열대폭풍으로 팔라우 북쪽 약 43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높은 수온과 열용량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11월 7일 9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북동쪽 약 490km 부근 해상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중심기압 940hPa, 최대풍속 49m/s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리고 11월 8일 0시에 최성기 세력으로 필리핀 루손 섬에 상륙한 뒤, 11월 8일 3시에는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60hPa, 최대풍속 41m/s의 세력으로 남중국해에 진출하였다. 남중국해에 진출한 뒤에는 11월 9일 15시에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50hPa, 최대풍속 46m/s의 '매우 강한' 세력으로 다시 발달하였다. 남중국해에서 재발달한 이후에는 남남서진하며 강한 연직시어와 건조 공기로 인해 급약화되었고, 11월 12일 15시에 베트남 다낭 남남동쪽 약 24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한국 기상청에서는 태풍 인싱이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인싱은 중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은행나무를 의미한다.

제23호 태풍 도라지

편집
소형의 강한 열대폭풍 (KMA)
강한 태풍 (JMA)
1등급 태풍 (SSHS)
   
활동 기간 11월 9일 ~ 11월 15일
최저 기압 975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32m/s
JMA 35m/s (70kt)
태풍 피해 4명 사망
피해총액 776만 달러

2024년 제23호 태풍 도라지(TORAJI)11월 9일 15시에 중심기압 1004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80km의 열대폭풍으로 팔라우 북북서쪽 약 84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급발달하였고, 11월 11일 3시에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270km 부근 해상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중심기압 975hPa, 최대풍속 36m/s의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리고 11월 11일 12시에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80hPa, 최대풍속 36m/s의 세력으로 필리핀 루손 섬에 상륙한 뒤, 11월 11일 21시에는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90hPa, 최대풍속 31m/s의 세력으로 남중국해에 진출하였다. 남중국해 진출 이후 서북서~서남서진하면서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급약화되었고,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1월 14일 15시에 중국 홍콩 남남서쪽 약 11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1월 15일 3시에 중국 홍콩 남서쪽 약 19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도라지는 북한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국화목의 식물을 의미한다.

제24호 태풍 마니

편집
소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맹렬한 태풍 (JMA)
5등급의 슈퍼 태풍 (SSHS)
   
활동 기간 11월 9일 ~ 11월 20일
최저 기압 92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53m/s
JMA 55m/s (105kt)
태풍 피해 14명 사망
피해총액 7,475만 달러

2024년 제24호 태풍 마니(MAN-YI)11월 9일 15시에 중심기압 1004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80km(북동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미국 동쪽 약 1,58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강한 연직시어로 인해 발달 정체기를 겪다가 필리핀 동쪽 해상에 도달해서야 급발달해서 11월 16일 9시에 필리핀 마닐라 동남동쪽 약 650km 부근 해상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중심기압 920hPa, 최대풍속 54m/s의 '맹렬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11월 16일 22시에 필리핀 루손섬 서쪽의 카탄두아네스 섬 북쪽에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20hPa, 최대풍속 54m/s의 세력으로 스치듯 상륙하였다. 필리핀 카탄두아네스 섬 상륙 이후에는 11월 17일 16시에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35hPa, 최대풍속 51m/s의 세력으로 필리핀 루손섬에 상륙하였다. 11월 18일 0시에는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60hPa, 최대풍속 41m/s의 세력으로 약화된 상태로 남중국해에 진출했다. 남중국해 진출 이후에는 강한 연직시어와 건조 공기로 인해 급약화되어서 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11월 20일 3시에 베트남 다낭 동북동쪽 약 350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1월 20일 9시에 베트남 다낭 북동쪽 약 316km 부근 해상(남중국해)에서 중심기압 1012hPa의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마니는 홍콩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해협의 이름을 의미한다.

제25호 태풍 우사기

편집
소형의 매우 강한 태풍 (KMA)
매우 강한 태풍 (JMA)
4등급의 슈퍼 태풍 (SSHS)
   
활동 기간 11월 12일 ~ 11월 16일
최저 기압 940hPa
최대 풍속
(10분 평균)
KMA 47m/s
JMA 50m/s (95kt)
태풍 피해 피해총액 7378만 달러

2024년 제25호 태풍 우사기(USAGI)11월 12일 3시에 중심기압 1002hPa[1], 최대풍속 18m/s[1], 강풍 반경 220km(북쪽 반경)의 열대폭풍으로 팔라우 북쪽 약 5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발생 이후 서~서북서진하면서 높은 수온과 열용량으로 인해 급발달하였고, 11월 14일 9시에 필리핀 마닐라 북동쪽 약 370km 부근 해상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중심기압 940hPa, 최대풍속 49m/s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11월 14일 15시에 필리핀 루손섬 상륙 임박한 상태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60hPa, 최대풍속 41m/s의 세력으로 약화되었고, 11월 14일 18시에는 필리핀 루손섬 관통 뒤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970hPa, 최대풍속 39m/s의 세력으로 약화된 상태로 루손 해협으로 진출하였다. 루손 해협 진출 이후에는 북북서~북동진하며 약화되었고, 11월 16일 12시에는 일본 기상청 기준 중심기압 1004hPa, 최대풍속 18m/s의 세력으로 대만 가오슝 부근 지역인 신피 향에 상륙하였다. 대만 상륙 이후 대만의 지형 영향으로 약화되어서, 11월 16일 15시에 대만 타이베이 남남서쪽 약 310km 부근 육상에서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 한국 기상청에서는 태풍 우사기가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우사기는 일본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별자리토끼자리를 의미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