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목뿔근
턱목뿔근(mylohyoid muscle, diaphragm oris), 또는 악설골근은 목에 위치한 한 쌍의 근육이다. 턱목뿔근은 아래턱뼈에서 목뿔뼈까지 이어져 구강의 바닥을 형성한다.[1] 턱끝밑삼각의 바닥을 형성한다. 삼키거나 말할 때 중요한 목뿔뼈와 혀를 들어올리는 작용을 한다.
턱목뿔근 | |
---|---|
정보 | |
이는곳 | 아래턱뼈의 턱목뿔근선 |
닿는곳 | 목뿔뼈 몸통 |
동맥 | 아래이틀동맥 턱목뿔근가지 얼굴동맥에서 나온 턱끝밑동맥 |
신경 | 아래턱신경의 가지인 아래이틀신경에서 나온 턱목뿔근신경 |
작용 | 구강 바닥을 들어올림 목뿔뼈와 혀를 올림 아래턱뼈를 내림 |
식별자 | |
라틴어 | musculus mylohyoideus |
영어 | mylohyoid muscle |
TA98 | A04.2.03.006 |
TA2 | 2165 |
FMA | 46320 |
구조
편집턱목뿔근은 평평하고 삼각형 모양이다. 턱두힘살근 앞힘살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발생 시 첫째 인두활에서 파생된 근육이며 목뿔뼈 위에 위치한 목의 근육인 목뿔위근육 중 하나로 분류된다. 한 쌍의 턱목뿔근은 함께 구강에서 근육으로 이루어진 바닥을 형성한다.[2]
두 개의 턱목뿔근은 아래턱뼈의 턱목뿔근선에서 일어나며, 이는곳은 아래턱뼈의 턱뼈결합에서 뒤쪽의 마지막 어금니까지 이어진다. 뒤쪽 근육 섬유는 아래안쪽으로 주행하여 목뿔뼈의 앞쪽 표면에 닿는다. 2개의 턱목뿔근의 안쪽 섬유는 정중선의 솔기(raphe, 두 근육이 서로 맞물리는 곳)에서 하나로 합쳐진다.[1]
턱목뿔근은 턱밑공간과 혀밑공간을 나누는 선이 된다. 턱밑공간은 턱목뿔근과 목뿔혀근 간의 가쪽에 빈 공간을 통해 교통한다.[3] 턱밑샘은 턱목뿔근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근육의 위와 아래에 있는 얕은 엽과 깊은 엽으로 나뉜다.[1]
신경 공급
편집턱목뿔근에는 아래턱신경의 가지인 아래이틀신경이 분포한다. 턱목뿔근에 운동 신경 섬유를 내어 분포하는 턱목뿔근신경은 아래이틀신경의 가지이다.[1]
발생
편집턱목뿔근은 배아의 중배엽, 특히 첫째 인두활에서 발생한다.
변이
편집턱목뿔근은 턱두힘살근의 앞힘살에 합쳐지거나 앞힘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다른 목뿔뼈 근처 근육으로의 보조 슬립(slip)이 자주 발생한다. 양쪽 힘살이 합쳐지는 중앙의 솔기는 때때로 존재하지 않으며, 이 경우 두 근육의 섬유가 연속적이다. 턱목뿔근의 변이 자ㅔ는 일반적이지 않다.[4] 일부 사람들에게는 붙는 곳, 신경 분포, 기능이 모두 같은 덧턱목뿔근(accessory mylohyoid muscle)이 나타났다.[4] 턱목뿔근은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혀밑샘이 이 두 부분 사이의 공간을 차지한다.[5]
혀밑샘, 혈관, 지방의 탈장이 턱목뿔근을 통해 존재할 수 있으며 연구에 따르면 10-50%의 사람들에서 이런 현상이 보고된다.[3]
기능
편집턱목뿔근은 목뿔뼈와 혀를 들어 올린다. 이 작용은 뭔가를 삼키거나 말할 때 특히 중요하다. 또는, 목뿔뼈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다른 근육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 턱목뿔근은 아래턱뼈를 내린다.[1] 구강의 바닥을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1]
임상적 중요성
편집턱목뿔근은 CT나 MRI로 영상을 얻을 수 있다.[3] 턱목뿔근은 아래쪽의 턱밑공간을 위의 혀밑공간과 나눈다.턱목뿔근의 뒤쪽 경계 주변에서 이 두 공간은 서로 교통한다. 감염, 특히 치성 감염(치아 감염)은 이 두 공간 사이의 교통을 통해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퍼질 수 있으며, 감염 확산에 대한 약간의 장벽 역할을 하는 턱목뿔근을 대신 관통할 수도 있다. 턱목뿔근의 닿는곳인 아래턱뼈의 턱목뿔근선은 아래턱뼈의 뒤쪽으로 갈수록 더 위쪽에 있기 때문에, 뒤쪽 치아가 감염되면 턱밑공간으로 빠져나가기 쉽고, 앞쪽 치아 감염 시에는 혀밑공간으로 배출될 가능성이 더 크다. 치아의 꼭대기는 턱목뿔근선 근처, 아래 또는 위에 있을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
역사
편집턱목뿔근은 'diaphragm oris'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6][7] 한편, 'mylohyoid'라는 이름은 어금니 근처에 두 개의 붙는 곳이 있어 붙여졌다. 'mylo'는 '어금니'라는 뜻의 그리스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추가 이미지
편집-
앞에서 본 그림.
-
안쪽에서 본 그림.
-
아래에서 본 턱목뿔근의 모습.
-
목뿔뼈에 표시된 턱목뿔근의 닿는곳.
-
목뿔뼈 앞면.
-
턱목뿔근.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Drake, Vogl & Tibbitts 2005.
- ↑ Herring & Fehrenbach 2013.
- ↑ 가 나 다 Otonari-Yamamoto, Mika; Nakajima, Koh; Tsuji, Yuriko; Otonari, Takamichi; Curtin, Hugh D.; Okano, Tomohiro; Sano, Tsukasa (2010). “Imaging of the Mylohyoid Muscle: Separation of Submandibular and Sublingual Spaces”.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194 (5): W431–8. doi:10.2214/AJR.09.3516. PMID 20410390.
- ↑ 가 나 Sehirli, Ü; Çavdar, S. (1996년 3월 1일). “An accessory mylohyoid muscle”. 《Surgical and Radiologic Anatomy》 (영어) 18 (1): 57–59. doi:10.1007/BF03207764. ISSN 1279-8517. PMID 8685814.
- ↑ Malpas, P. (October 1926). “Anomalies of the Mylohyoid Muscle”. 《Journal of Anatomy》 61 (Pt 1): 64–67. ISSN 0021-8782. PMC 1249927. PMID 17104127.
- ↑ “Diaphragma oris - definition - Encyclo”. 《www.encyclo.co.uk》. 2021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Team, Almaany. “Translation and Meaning of diaphragma oris musculus mylohyoideus In Arabic, English Arabic Dictionary of terms Page 1”. 《www.almaany.com》 (영어). 2021년 2월 15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Drake, Richard L.; Vogl, Wayne; Tibbitts, Adam W.M. Mitchell (2005). 《Gray's anatomy for students》. Philadelphia: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ISBN 978-0-443-06612-2.
- Herring, Margaret J.; Fehrenbach, Susan W. (2013). 《Illustrated anatomy of the head and neck》 4판. St. Louis, MO: Elsevier/Saunders. ISBN 978-1-4377-2419-6.
- 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393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
편집- “Anatomy diagram: 25420.000-1”. 《Roche Lexicon - illustrated navigator》. Elsevier. 2015년 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