텡과르
텡과르(Tengwar)는 "반지의 제왕"으로 유명한 작가 톨킨이 창조한 문자 체계이다. 그의 소설 속에서는 페아노르가 가운데땅에서 쓰이는 언어인 꿰냐, 신다린 등을 표기하기 위해서 이 문자체계를 창조했다고 한다. "텡과르"는 문자를 뜻하는 퀘냐 낱말 "텡과"(tengwa)의 복수형이다.
텡과르 | |
텡과르로 쓴 글 | |
유형 | [[음소 문자 중 자질 문자]] |
---|---|
표기 언어 | (인공어) 퀘냐, 신다린 등 |
사용 시기 | 톨킨 소설(제1 시대 ~ 현재) |
창제자 | 톨킨 |
기본적으로는 한글처럼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는 구성원리를 취하였으나, 받침과 종성의 개념이 있는 한글/한국어와는 달리 텡과르에서는 음절 초 자음과 음절 말 자음을 특별히 구분하지 않는다.
텡과르의 각 문자의 음가는 늘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표기법(모드)의 차이에 따라 문자의 음가가 결정된다.
총 36개의 자음 문자와 5개의 기본 모음문자, 6개의 추가 모음문자, 기타 문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모드에 대하여
편집텡과르를 읽는 방법은 여러 가지로, 문자 체계를 통해 표기하고자 하는 언어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같은 문자라고 해도 퀘냐나 신다린 중 어느 쪽으로 읽느냐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읽히며, 모음을 표기하는 테흐타(Tehta)의 위치도 달라진다. 퀘냐를 표기할 경우에는 자음 위에 표기되는 테흐타가 알파벳으로 표기했을 때 그 자음 뒤에 나오는 모음이며, 신다린을 표기할 경우에 자음 위에 표기되는 테흐타는 그 자음 앞에 나오는 모음이다. 모음.
문자의 구성
편집자음 문자의 구성
편집자음문자는 4가지의 기본 문자형(tèma)에 6개의 기본 변형줄, 3개의 추가 문자줄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자에는 번호와 퀘냐 이름이 부여되어 있으며 문자의 퀘냐 이름은 로마자와 유사하게 퀘냐 모드의 음가를 포함하고 있다.
모음 문자의 구성
편집모음은 a, e, i, o, u의 기본 모음문자와, au, ai등의 추가 모음문자로 나뉜다.
기타 문자
편집- 텡과르의 영어 모드에서는 몇몇 자음이나 모음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가 필요하다.
- 텡과르에서 한글의 모음을 구성하기 위해서, 복모음을 표기할 수 있는 글자가 추가되어야 한다.
인코딩 스킴
편집이름 | 그림 | CSUR | 유니코드 | 주해 | 유산 | 음역 |
---|---|---|---|---|---|---|
U+E027 | U+1xy35 | TENGWAR LETTER ANNA SINDARINWA | ||||
U+E028 | U+1xy18 | TENGWAR LETTER EXTENDED THUULE | ||||
U+E029 | U+1xy19 | TENGWAR LETTER EXTENDED FORMEN | ||||
U+E02A | U+1xy1A | TENGWAR LETTER EXTENDED HARMA | ||||
U+E02B | U+1xy1B | TENGWAR LETTER EXTENDED HWESTA | ||||
U+E02C | U+1xy1C | TENGWAR LETTER EXTENDED ANTO | ||||
U+E02D | U+1xy1D | TENGWAR LETTER EXTENDED AMPA | ||||
U+E02E | U+1xy1E | TENGWAR LETTER EXTENDED ANCA | ||||
U+E02F | U+1xy1F | TENGWAR LETTER EXTENDED UNQUE | ||||
U+E030 | U+1xy70 | TENGWAR LETTER STEMLESS OORE (digit zero) | ||||
U+E031 | U+1xy31 | TENGWAR LETTER STEMLESS VALA | ||||
U+E032 | U+1xy32 | TENGWAR LETTER STEMLESS ANNA | ||||
U+E033 | U+1xy71 | TENGWAR LETTER STEMLESS VILYA (digit one) |
이름 | 그림 | CSUR | 유니코드 | 주해 | 유산 | 음역 |
---|---|---|---|---|---|---|
0 | U+E030 | U+1xy70 | TENGWAR LETTER STEMLESS OORE (digit zero) | 0 | ||
1 | U+E033 | U+1xy71 | TENGWAR LETTER STEMLESS VILYA (digit one) | 1 | ||
2 | U+E062 | U+1xy72 | TENGWAR DIGIT TWO | 2 | ||
3 | U+E063 | U+1xy73 | TENGWAR DIGIT THREE | 3 | ||
4 | U+E064 | U+1xy74 | TENGWAR DIGIT FOUR | 4 | ||
5 | U+E065 | U+1xy75 | TENGWAR DIGIT FIVE | 5 | ||
6 | U+E066 | U+1xy76 | TENGWAR DIGIT SIX | 6 | ||
7 | U+E067 | U+1xy77 | TENGWAR DIGIT SEVEN | 7 | ||
8 | U+E068 | U+1xy78 | TENGWAR DIGIT EIGHT | 8 | ||
9 | U+E069 | U+1xy79 | TENGWAR DIGIT NINE | 9 | ||
10 | U+E06A | U+1xy7A | TENGWAR DUODECIMAL DIGIT TEN | |||
11 | U+E06B | U+1xy7B | TENGWAR DUODECIMAL DIGIT ELEVEN | |||
U+E06C | — | TENGWAR DECIMAL BASE MARK | ||||
U+E06D | — | TENGWAR DUODECIMAL BASE MARK | ||||
U+E06E | U+1xy7D | TENGWAR DUODECIMAL LEAST SIGNIFICANT DIGIT MARK |
컴퓨터상의 지원
편집텡과르를 컴퓨터에서 표기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유니코드(ISO 8859-1)와 관계없이 폰트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폰트는 댄 스미스의 텡과르 폰트들(Tengwar quenya·sindarin)이다. 이 외에도 Tengwar Parmaite와 Tengwar Elfica가 사용된다. 현재 컴퓨터에 이러한 폰트 중 하나가 깔려 있다면, 아랫글(영어 모드로 쓰인 국제 인권선언)을 텡과르로 읽을 수 있을 터이지만,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깨진 문자의 조합으로 보일 것이다.
j#¸ 9t&5# w`Vb%_ 6EO w6Y5 e7~V 2{( zèVj# 5% 2x%51T`Û 2{( 7v%1+º 4hR 7EO 2{$yYO2 y4% 7]F85^ 2{( z5^8i`B5$i( 2{( dyYj2 zE1 1`N ]Fa 4^(6 5% `C 8q7T1T W w74^(69~N2º
두 번째로, 유니코드 상에서 텡과르를 표기하는 방법이다. 콘스크립 유니코드 등기소 프로젝트에서는 탱과르를 다른 가상의 문자들과 함께 유니코드의 개인 사용 영역(Private Use Area)에 할당하자는 제안을 1993년부터 제기해 오고 있다. (범위:U+E000–U+E07F) 하지만 현재 정식으로 승인받지 못해 표준으로 등록되지 않은 상태이다. 현재로서는, Code2000과 Code2001 폰트가 이를 지원하고 있을 뿐이다. 만약 이러한 폰트가 설치되어 있다면 아랫글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 (영어) Amanye Tenceli – The Tengwar Archived 2011년 8월 7일 - 웨이백 머신 A general presentation by Måns Björkman of the tengwar script, with some extrapolations.
- (영어) The Mellonath Daeron Index of Tengwar Specimina — a continuously expanding list of published Tengwar samples
- (영어) Official proposal to encode tengwar in Unicode Archived 2015년 7월 29일 - 웨이백 머신
- (영어) Tengwar proposal for ConScript Unicode Registry
- (영어) A comprehensive list of tengwar fonts
- (영어) Free Tengwar Font Project, a project promoting free and open tengwar fonts mapped into Unicode private use code p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