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만데르시아속

토만데르시아속(Thomandersia)은 꿀풀목에 속하는 속씨식물 속의 하나이다. 토만데르시아과(Thomandersiaceae)의 유일속으로 6종의 관목과 작은 나무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아프리카서아프리카에 자생한다. 이명으로 스키탄투스속(Scytanthus) T. Anderson ex Benth. & Hook.f. [non Hook., nec Liebm]이 있다.

토만데르시아속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꿀풀목
과: 토만데르시아과
(Thomandersiaceae)
Sreem.
속: 토만데르시아속
(Thomandersia)
Baill.
  • 본문 참조

형태학적 분석을 토대로, 1998년 APG 분류 체계와 2003년 APG II 분류 체계를 포함한 몇몇 저자들은 전통적으로 토만데르시아속을 쥐꼬리망초과에 포함시켰고, 미주리식물원 APG 웹사이트는 슐레겔과에 속하는 속 목록을 통해 슐레겔과로 분류했지만, 스티븐스(Stevens)는 더 나아가 이런 분류는 설득력이 약하며, 별도의 토만데르시아과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

이전에 스리매다반(Sreemadhavan)이 1976년[2]과 1977년[3]의 잎의 구조와 꽃밥의 형태에 관한 연구, 그리고 좀더 최근의 와틀리(Wortley) 등의 유전 물질에 관한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통한 2005년[4], 2007년 연구[5]를 통해 이 속을 과로 승격하여 분류했다.

하위 종

편집
  • T. anachoreta
  • T. butayei
  • T. congolana
  • T. hensii
  • T. laurentii
  • T. laurifolia
  • T. Anderson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꿀풀목의 계통 분류이다.[6]

꿀풀목

플로코스페르마과

카를레만니아과

물푸레나무과

테트라콘드라과

칼케올라리아과

게스네리아과

질경이과

현삼과

스틸베과

비블리스과

외풀과

참깨과

마르티니아과

쥐꼬리망초과

능소화과

슐레겔과

통발과

토만데르시아과

마편초과

꿀풀과

주름잎과

파리풀과

열당과

오동나무과

각주

편집
  1. “Stevens, P. F. (2001 onwards).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Version 7, May 2006”. Missouri Botanical Garden. 2007년 8월 9일에 확인함. 
  2. Sreemadhavan, C. P. (1976). Leaf architecture and systematics of Acanthaceae and related families. Ph.D. thesis. Tampa, FL:University of South Florida.
  3. Sreemadhavan, C. P. (1977). Diagnosis of some new taxa and some new combinations in Bignoniales. Phytologia 37: 413–416.
  4. Wortley, A.H., Rudall, P. J., & Scotland, R.W. (2005). How much data are needed to resolve a difficult phylogeny? Case study in Lamiales. Systematic Biology 54: 697–709.
  5. Wortley, A.H., Harris, D.J. & Scotland, R.W.; Harris, D. J.; Scotland, R. W. (2007). “On the Taxonomy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Thomandersia.”. 《Systematic Botany》 32 (2): 415–444. doi:10.1600/036364407781179716. 
  6. Angiosperm Phylogeny Group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doi:10.1111/boj.12385. 2023년 5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