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이 호몰로지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특이 호몰로지(特異homology, 영어: singular homology 싱귤러 호몰로지[*])는 단체를 사용하여 정의하는 호몰로지 이론이다.

정의

편집

 위상 공간이며,  가 (1을 갖는)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의,   계수의 특이 호몰로지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사슬

편집

 차원 표준 단체(標準單體, 영어: standard simplex)  은 다음과 같다.

 .

이는 선분삼각형, 사면체를 일반화한 것이다.

  위의  차원 특이 단체(特異單體, 영어: singular complex)는 연속 함수

 

를 뜻한다.   위의,   계수의  차원 사슬(영어: chain)은 모든  차원 특이 단체로 의하여 생성되는,   위의 왼쪽 자유 가군의 원소다. 이 자유 가군을  라고 쓰자. (만약  일 경우, 이는 자유 아벨 군이 된다.)

경계

편집

표준 단체  의 꼭짓점들을  이라고 하자. 표준 단체  의 경계는 그 면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은  개의 꼭짓점 가운데 하나씩을 제외하여 나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 꼴이다. 이를 편의상

 

로 쓰자.

 차원 특이 단체  경계(境界, 영어: boundary)  는 다음과 같다.

 .

경계 연산자  는 특이 단체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사슬에 대해서도 선형으로 자연스럽게 확장할 수 있다. 즉  이다. 이는   위의 가군가군 준동형을 이룬다. 또한,  는 항상 0이다. 따라서  사슬 복합체를 이룬다. 이 사슬 복합체를 이용하여 정의한 호몰로지

 

들을 특이 호몰로지라고 한다. 이는   위의 왼쪽 가군을 이룬다. (사슬 가군은 자유 가군이지만, 호몰로지는 일반적으로 자유 가군이 아니다.)

특이 코호몰로지

편집

  위의 공사슬(共-, 영어: cochain)은 가군 준동형  이다. 공사슬의 집합은 아벨 군을 이루며,  으로 쓴다. 공사슬의 공경계(共境界, 영어: coboundary)  은 다음과 같다.

 .

 공사슬 복합체를 이룬다. 이 복합체를 이용하여 정의한 코호몰로지

 

들을 특이 코호몰로지(영어: singular cohomology)라고 한다.

성질

편집

 라면, 보편 계수 정리에 따라서 특이 코호몰로지는 특이 호몰로지의 대수적 쌍대 공간이다.

 

그러나 이는 (정수환을 포함한) 일반적인 환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는다. 즉, 특이 코호몰로지는 사슬을 쌍대화한 뒤 호몰로지를 취한 것이지, 호몰로지를 취한 뒤 쌍대화한 것이 아니다.

초구

편집

 차원 초구  의 특이 호몰로지와 특이 코호몰로지는 다음과 같다.

 
 
 
 

사영 공간

편집

복소수 사영 공간  의 특이 호몰로지는 다음과 같다.

 
 

실수 사영 공간의 특이 호몰로지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표수가 2가 아닌 임의의 이다.

원환면

편집

 차원 원환면  의 특이 호몰로지 군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이항계수로,  인 경우 0으로 정의한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