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유고슬라비아 왕국 표
유고슬라비야 왕국 | |||||||||||||||||||||||||||||||||||
---|---|---|---|---|---|---|---|---|---|---|---|---|---|---|---|---|---|---|---|---|---|---|---|---|---|---|---|---|---|---|---|---|---|---|---|
세르브인 크로아트인 슬로벤인 왕국 (1918년~1929년) 세르보크로아트어: Kraljevina Srba, Hrvata i Slovenaca / Краљевина Срба, Хрвата и Словенаца
유고슬라비아 왕국 (1929년~1941년) 세르보크로아트어: Kraljevina Jugoslavija / Краљевина Југославија
| |||||||||||||||||||||||||||||||||||
| |||||||||||||||||||||||||||||||||||
표어 |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왕, 하나의 국가 (Jedan narod, jedan kralj, jedna država / Један народ, један краљ, једна држава) | ||||||||||||||||||||||||||||||||||
국가 |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국가 (Himna Kraljevine Jugoslavije / Химна Краљевине Југославије) | ||||||||||||||||||||||||||||||||||
1930년의 유고슬라비아 왕국 | |||||||||||||||||||||||||||||||||||
수도 | 베오그라드 북위 44° 48′ 35″ 동경 20° 27′ 47″ / 북위 44.80972° 동경 20.46306° | ||||||||||||||||||||||||||||||||||
정치 | |||||||||||||||||||||||||||||||||||
정치체제 | |||||||||||||||||||||||||||||||||||
국왕 | 페타르 1세 (1918년~1921년) 알렉산다르 1세 (1921년~1934년) 페타르 2세[a] (1934년~1941년) | ||||||||||||||||||||||||||||||||||
섭정 왕자 총리 | 알렉산다르 왕자 (1918년~1921년) 파블레 왕자 (1934년~1941년) 스토얀 프로티치 (1918년~1919년; 초대) 두샨 시모비치 (1941년; 말대) | ||||||||||||||||||||||||||||||||||
입법부 | 임시 대표부 (1919년~1920년) 의회[b] (1920년~1941년) | ||||||||||||||||||||||||||||||||||
역사 | |||||||||||||||||||||||||||||||||||
시대 구분 | 전간기 · 제2차 세계 대전 | ||||||||||||||||||||||||||||||||||
• 수립 | 1918년 12월 1일 | ||||||||||||||||||||||||||||||||||
• 비도브단 헌법 | 1921년 6월 28일 | ||||||||||||||||||||||||||||||||||
• 1월 6일 독재 • 옥트로이 헌법 | 1929년 1월 6일 1931년 9월 3일 | ||||||||||||||||||||||||||||||||||
• 알렉산다르 1세 암살 | 1934년 10월 9일 | ||||||||||||||||||||||||||||||||||
• 크로아티아에서의 스포라줌 | 1939년 8월 25일 | ||||||||||||||||||||||||||||||||||
• 추축국 합류 | 1941년 3월 25일 | ||||||||||||||||||||||||||||||||||
• 쿠데타 | 1941년 3월 27일 | ||||||||||||||||||||||||||||||||||
• 추축국의 침공 | 1941년 4월 6일 | ||||||||||||||||||||||||||||||||||
• 망명정부 • 임시정부 | 1941년 4월 1945년 5월 7일 | ||||||||||||||||||||||||||||||||||
• 군주제 폐지 | 1945년 11월 29일 | ||||||||||||||||||||||||||||||||||
지리 | |||||||||||||||||||||||||||||||||||
1941년 면적 | 247,542 km2[1] | ||||||||||||||||||||||||||||||||||
인문 | |||||||||||||||||||||||||||||||||||
공용어 | 세르보크로아토슬로벤어[c][2][3] | ||||||||||||||||||||||||||||||||||
공통어 | 독일어, 헝가리어, 알바니아어,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 방언, 롬어, 루마니아어, 라디노어 | ||||||||||||||||||||||||||||||||||
데모님 | 유고슬라브인 | ||||||||||||||||||||||||||||||||||
경제 | |||||||||||||||||||||||||||||||||||
통화 |
| ||||||||||||||||||||||||||||||||||
기타 | |||||||||||||||||||||||||||||||||||
| |||||||||||||||||||||||||||||||||||
a. ^ 아직 미성년자였던 페타르 2세는 쿠데타로 성인으로 선언되었다. 그가 왕권을 장악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유고슬라비아는 추축국에게 점령당했고, 그는 망명길에 올랐다. 1944년 그는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의 수립을 승인하였다. 그는 1945년 유고슬라비아 의회에 의해 폐위되었다. b. ^ 1931년까지 단원제. c. ^ 세르보크로아트어와 슬로베니아어는 별개의 언어이지만, 당시에는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보편적으로 인정되지 않았으며, 세르보크로아토슬로벤어가 단일 공용어로 선언되었다. 실제로 이는 세르보크로아트어로 작용하였다.[4][5] |
각주
편집- ↑ Tomasevich, Jozo (1975). 《War and Revolution in Yugoslavia, 1941–1945: The Chetniks》. Stanford University Press. 93쪽. ISBN 978-0804708579.
- ↑ Busch, Birgitta; Kelly-Holmes, Helen (2004). 《Language, Discourse and Borders in the Yugoslav Successor States》. Multilingual Matters. 26쪽. ISBN 978-1853597329. 2016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25일에 확인함.
the official language of the Kingdom was 'Serbo-Croato-Slovenian'
- ↑ Mesić, Milan (2004). 《Perspectives of Multiculturalism: Western and Transitional Countries》. Zagreb: FF Press. 322쪽.
a triple-named language, called officially Serbo-Croato-Slovene
- ↑ Alexander, Ronelle (2013). 〈Language and Identity: The Fate of Serbo-Croatian〉. Daskalov, Rumen; Marinov, Tchavdar.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Volume One: National Ideologies and Language Policies》. Koninklijke Brill NV. 371쪽. ISBN 978-90-04-25076-5.
Now, however, the official language of the new state, the Kingdom of Serbs, Croats, and Slovenes, bore the unwieldy name Serbo-Croato-Slovene (srbsko-hrvatsko-slovenački or srbsko-hrvatsko-slovenski).
- ↑ Wojciechowski, Sebastian; Burszta, Wojciech J.; Kamusella, Tomasz (2006). 《Nationalisms across the globe: an overview of nationalisms in state-endowed and stateless nations》 2. School of Humanities and Journalism. 79쪽. ISBN 978-83-87653-46-0.
Similarly, the 1921 Constitution declared Serbocroatoslovenian as the official and national language of the Kingdom of Serbs, Croats, and Sloveni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