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트아미노펜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또는 파라세타몰(paracetamol)은 해열 진통제이다. 아세트아미노펜과 파라세타몰 모두 그 화학명인 para-acetylaminophenol의 줄임말이다. (para-acetylaminophenol, para-acetylaminophenol)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N-(4-hydroxyphenyl)ethanamid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103-90-2 |
ATC 코드 | N02BE01 |
PubChem | 1983 |
드러그뱅크 | DB00316 |
ChemSpider | 1906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8H9NO2 |
분자량 | 151.163 |
유의어 | N-acetyl-para-aminophenol (APAP) |
물리적 성질 | |
밀도 | 1.263 g/cm³ |
녹는점 | 169 °C (336 °F) [1][2] |
끓는점 | 420 °C (788 °F) |
물에 대한 용해도 | mg/mL (20 °C)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63–89%[4]:73 |
단백질 결합 | 10–25%[5]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Predominantly in the liver[6] |
생물학적 반감기 | 1–4 hours[6] |
배출 | Urine (85–90%)[6] |
처방 주의사항 | |
허가 정보 | |
임부투여안전성 | A(오스트레일리아)C(미국)[7]Not tested but seems to be safe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By mouth, through the cheek, rectal, intravenous (IV) |
효능
편집두통과 해열 및 기타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며, 위장장애에 대한 부담이 적다. 다만, 음식물과 함께 섭취하면 약효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가급적 공복 시에 복용하는 것이 좋다.[8][9] 생리통, 치통, 관절통의 통증 완화에도 효과적이며, 다른 약품과 반응하지 않으나 간독성의 위험에 있어서 음주 후에는 복용을 권장하지 않는다[10]
발견
편집1940년대까지는 비아스피린계의 진통제로 아세트아닐리드(acetanilide)를 사용하였으나 패혈증 질환 및 메트헤모글로빈혈증 등의 부작용이 있었다. 미국의 생화학자인 줄리어스 액설로드와 버나드 브로디(Bernard B. Brodie)는 아세트아닐리드의 인체내 대사산물인 아세트아미노펜이 아세트아닐리드와 동등한 진통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했다.[11][12][13]
제법
편집실험실에서 아세트아미노펜을 만들기 위해서는 페놀에 묽은 황산과 함께 질산나트륨을 첨가하면 페놀의 벤젠 고리가 니트로화 반응을 하여 p-니트로페놀(p-nitrophenol)과 부산물로 o-니트로페놀(o-nitrophenol)이 생성된다. p-니트로페놀을 정제하여 수소화붕소나트륨(sodium borohydride)을 첨가하면 4-아미노페놀(4-aminophenol)로 환원된다. 여기에 무수아세트산(acetic anhydride)을 넣으면 아미노기와 반응하여 아세트아미노펜이 된다.[14]
작용 메커니즘
편집아세트아미노펜의 작용 메커니즘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아스피린 같은 비스테로이드항염증제와는 다르게, 아세트아미노펜은 중추신경계 밖의 COX의 억제에 관한 기능은 나타내지 않으며, 이는 왜 아세트아미노펜이 항염증에 관한 효과가 미미한지를 알려준다.[15]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시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COX)를 억제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이 제안되었고, 특히 COX-2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COX-2에 대한 선택성 덕분에 아스피린(aspirin)과는 달리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트롬복산의 생성을 억제하지 않는다.[16] 이러한 활성은 활성부위를 직접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기능하기 위해선 산화되어야하는 COX 자체를 줄임으로써 나타난다.
또한 아세트아미노펜은 대사산물 AM404를 통해 뇌에서 내인성 칸나비노이드(cannabanoid) 시스템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AM404는 통증을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뉴런들로부터의 내인성 칸나비노이드 / 바닐로이드 아난다미드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M404는 또한 뇌의 통증 신호를 억제시키는 TPRv1(옛날이름: 바닐로이드 수용체)를 직접 활성화시킬 수 있다.[17]
부작용
편집메커니즘
편집아세트아미노펜은 남용할 시에 부작용을 초래한다. 과도한 양의 아세트아미노펜이 체내에 투여되면, 시토크롬 P450(Cytochrome P450)이라는 체내 효소가 N-아세틸-p-벤조퀴논이민(N-acetyl-p-benzoquinone imine)으로 변환한다. 이 물질은 체내 글루타티온과 결합하여 간의 기능을 저하시킨다.[18]
증상
편집과량 복용으로 인해 간 기능이 저하되어 현기증과 구토, 알레르기 등을 유발하며 24~48시간 이내에 간부전이 나타날 수도 있다.[18] 간에 무리를 주기 때문에 술을 마셨을 때에는 복용을 삼가야 한다.[19] 또한 유아기의 어린 아이에게 아세트아미노펜을 투여하면 아동기에 천식 발병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보도되었다.[20] 임신 기간 중, 특히 4~6개월 중에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남자 태아의 성적 발달을 저하시키는 것이 관찰되었다.[21] 만성적으로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하는 사람은 혈액암이 발병할 확률이 높아진다.[22]아주 드물게 피부 발진을 일으키기도 한다.[23]
기타
편집아세트아미노펜을 아질산염과 함께 물에 넣고 얼리면 아세트아미노펜이 빠르게 산화되어 독성물질인 벤조퀴논이민류를 생성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각주
편집- ↑ Karthikeyan, M.; Glen, R. C.; Bender, A. (2005). “General Melting Point Prediction Based on a Diverse Compound Data Set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Journal of Chemical Information and Modeling》 45 (3): 581–590. doi:10.1021/ci0500132. PMID 15921448.
- ↑ “melting point data for paracetamol”. Lxsrv7.oru.edu. 30 June 2012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9 March 2011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Granberg RA, Rasmuson AC (1999). “Solubility of paracetamol in pure solvents”. 《Journal of Chemical & Engineering Data》 44 (6): 1391–95. doi:10.1021/je990124v.
- ↑ Working Group of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College of Anaesthetists and Faculty of Pain Medicine (2010). Macintyre, PE; Schug, SA; Scott, DA; Visser, EJ; Walker, SM, 편집. 《Acute Pain Management: Scientific Evidence》 (PDF) 3판. Melbourne, Australia: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ISBN 9780977517459. 2012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Tylenol, Tylenol Infants' Drops (acetaminophen) dosing, indications, interactions, adverse effects, and more”. 《Medscape Reference》. WebMD. 14 April 2014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0 May 2014에 확인함.
- ↑ 가 나 다 “Codapane Forte Paracetamol and codeine phosphate PRODUCT INFORMATION” (PDF). 《TGA eBusiness Services》. Alphapharm Pty Limited. 2013년 4월 29일. 2014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Acetaminophen”.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6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16일에 확인함.
- ↑ “타이레놀, 안전하게 복용하려면?”. 약업. 2012년 11월 15일. 2016년 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 단, 공복 시 복용에 좋다는건 타이레놀과 같이 순수 아세트아미노펜만 함유된 약제에만 해당되는 얘기이며, 게보린이나 펜잘과 같이 카페인 및 다른 성분과 혼합된 약제의 경우에는 오히려 공복 시의 복용을 피해야 된다.
- ↑ “아세트아미노펜”.
- ↑ Brodie, BB; 줄리어스 액설로드 (1948). “The estimation of acetanilide and its metabolic products, aniline, N-acetyl p-aminophenol and p-aminophenol (free and total conjugated) in biological fluids and tissues”. 《J. Pharmacol. Exp. Ther.》 94 (1): 22–28. PMID 18885610.
- ↑ Brodie, BB; Axelrod J (1948). “The fate of acetanilide in man” (PDF). 《J. Pharmacol. Exp. Ther.》 94 (1): 29–38. PMID 18885611.
- ↑ Flinn, Frederick B; Brodie BB (1948). “The effect on the pain threshold of N-acetyl p-aminophenol, a product derived in the body from acetanilide”. 《J. Pharmacol. Exp. Ther.》 94 (1): 76–77. PMID 18885618.
- ↑ Ellis, Frank (2002). 《Paracetamol: a curriculum resource》. Royal Society of Chemistry. ISBN 0-85404-375-6.
- ↑ “Redirecting”. 2018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8월 29일에 확인함.
- ↑ Hinz B, Cheremina O, Brune K. (2008). “Acetaminophen (paracetamol) is a selective cyclooxygenase-2 inhibitor in man.”. 《FASEB》 22 (2): 383–390.
- ↑ Ghanem, Carolina I.; Pérez, María J.; Manautou, José E.; Mottino, Aldo D. (2016년 7월 1일). “Acetaminophen from liver to brain: New insights into drug pharmacological action and toxicity”. 《Pharmacological Research》. Country in focus: Pharmacology in Argentina 109: 119–131. doi:10.1016/j.phrs.2016.02.020.
- ↑ 가 나 Berg, Jeremy M. (2007). 《Biochemistry sixth edition》. FREEMAN. ISBN-10 0-7167-8724-5..
- ↑ “부작용 많다는 진통제, 먹어도 되나?”. 오마이뉴스. 2009년 6월 12일.
- ↑ “유아기 아세트아미노펜 천식 위험 증가”. 쿠키뉴스. 2012년 11월 13일. 2014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 “Aspirin, acetaminophen and ibuprofen during pregnancy can cause reproductive problems in male offspring”. Los Angeles Times. 2010년 11월 8일.
- ↑ Roland B. Walter, Filippo Milano, Theodore M. Brasky and Emily White (2011). “Long-Term Use of Acetaminophen, Aspirin, and Other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Risk of Hematologic Malignancies: Results From the Prospective Vitamins and Lifestyle (VITAL) Stud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doi:10.1200/JCO.2011.34.6346.
- ↑ Commissioner, Office of the. “Consumer Updates - FDA Warns of Rare Acetaminophen Risk” (영어). 2017년 8월 29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아세트아미노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