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완어
파이완어는 대만 원주민인 파이완족의 언어이며,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대만제어이다. 중화민국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기도 하다. [2] 화자 수는 약 66,000명으로 추산된다.[4]
사용 국가 | 중화민국 |
---|---|
사용 민족 | 파이완족 |
언어 인구 | 66,100명 (2002년)[1] |
문자 | 로마자 |
언어 계통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타이완 제어 (지리적 분류) 파이완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중화민국[2] |
언어 부호 | |
ISO 639-3 | pwn 파이완어
|
글로톨로그 | paiw1248[3] |
(남쪽, 짙은 녹색) 파이완어 |
음운론
편집쿨랄라우 파이완어에는 23~24개의 자음과 (/h/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나고 /ʔ/는 드물다) 4개의 모음이 있다(Ferrell 1982:7). 다른 여러 타이완 제어에서 많은 오스트로네시아조어 음소들이 합류한 것과 달리 파이완어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음소를 대부분 보존하고 있어 비교 재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파이완어 모음소는 /i ə a u/이다. 문헌에서 /ə/는 ‘e’로 표기한다.
순음 | 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ŋ | ||||
파열음 | p b | t d | ɖ | c ɟ | k ɡ | q | ʔ |
파찰음 | ts | ||||||
마찰음 | v | s z | (h) | ||||
전동음 | r | ||||||
접근음 | w | l ɬ | j |
순음 | 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ŋ | ||||
파열음 | p b | t d | ɖ | c ɟ | k ɡ | q | ʔ |
파찰음 | ts ~ tʃ | ||||||
마찰음 | v | s z | (h) | ||||
전동음~ 마찰음 |
r ~ ɣ | ||||||
접근음 | ʋ | ɭ | ʎ j |
북부 파이완어에서는 경구개음 음소가 사라졌다. 이는 최근의 현상이며 일부 보수적인 화자들은 (별개의 음소로는 아니지만) 경구개음 변이음을 보존하고 있다. *q는 /ʔ/가 되었기 때문에, 다른 방언에서 /ʔ/의 지위가 불확실한 것과 달리 북부 파이완어에서는 음소로서 지위가 확실하다.
순음 | 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ŋ | |||
파열음 | p b | t d | ɖ | k ɡ | ʔ | |
파찰음 | ts | |||||
마찰음 | v | s z | (h) | |||
전동음~ 마찰음 |
r | |||||
접근음 | w | l~ʎ | ɭ | j |
순음 | 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ŋ | ||||
파열음 | p b | t d | ɖ | c ɟ | k ɡ | q | ʔ |
파찰음 | ts | ||||||
마찰음 | v | s z | ɣ ~ r | (h) | |||
접근음 | w | ɭ | ʎ j |
젊은 화자들은 /ʎ/을 [l]로 소리내는 경향이 있다. 마찰음 [ɣ]은 무단향 방언의 특징이며, 남부 파이완어의 다른 방언에서는 여전히 [r ~ ɣ ~ ʁ ~ h]로 변이하긴 하지만 전동음 [r]로 발음되는 경향이 짙다. 어두의 *k는 /ʔ/가 되었다.
각주
편집- ↑ Paiwan, 에스놀로그 (19판, 2016년)
- ↑ 가 나 Indigenous Languages Development Act, ROC https://glin.ly.gov.tw/file/legal/tw1406201702.pdf Archived 2022년 3월 27일 - 웨이백 머신
-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Paiwan〉.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Taiwan seeks to save indigenous languages https://www.bbc.co.uk/news/10602697 7/14/10
- ↑ 가 나 다 Chen, Chun-mei, 2006. A comparative study on Formosan phonology: Paiwan and Budai Rukai Archived 2019년 12월 2일 - 웨이백 머신.
참고 문헌
편집- Ferrell, Raleigh. 1982. Paiwan Dictionary. Pacific Linguistics, Series C, no. 73. Canberra: Dept. of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Studie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