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라비 제국

이란에 존재했던 국가

이란 제국(페르시아어: دولت شاهنشاهی ایران Keshvar-e Shâhanshâhi-ye Irân, 영어: Imperial State of Iran)[3] 또는 팔라비 왕조(페르시아어: دودمان پهلوی, 영어: Pahlavi dynasty)는 1925년 12월 15일부터 1979년 2월 11일까지 이란에 군림했던 마지막 페르시아 제국이었다.

이란 제국
دولت شاهنشاهی ایران

1925년~1979년
표어مرا داد فرمود و خود داور است
(페르시아어: 그가 나를 심판할 제, 나에게 정의를 행하라 하시니라.)[1]
국가이란의 샤한샤를 찬양하라
수도테헤란
정치
정치체제입헌 군주제
/ 샤한샤
1925년 ~ 1941년
1941년 ~ 1979년

레자 샤 팔라비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총리

파즐롤라 자헤디
모하마드 알리 포루기
샤푸르 바크티아르
왕조팔레비 왕조
역사
 • 왕조 수립
• 영국과 소련의 간섭

• 1953년 쿠데타
백색혁명의 선언
군주제 폐지
1925년 12월 15일
1941년 8월 25일~9월 17일
1953년 8월 19일
1963년 1월 26일
1979년 2월 11일
지리
면적1,648,915 km2
인문
공용어페르시아어
민족페르시아인
인구
1978년 어림35,213,000명[2]
경제
통화리얄
종교
국교시아파 이슬람교
대이란의 역사
페르시아의 제국 · 페르시아의 군주
전근대
이슬람 개종 이전
기원전
자얀데 강 문명 선사 시대
시알크 문명 7500~1000
원시 엘람 문명 3200~2800
지로프트 문명 (아랏타) 3000~?
엘람 제국 2800~550
박트리아 마르기아나 2200~1700
만나이 왕국 10~7세기
메디아 728~550
아케메네스 제국 550~330
셀레우코스 제국 330~150
그리스 박트리아 왕국 250~125
파르티아 제국 248~기원후 224
기원후
쿠샨 제국 30~275
사산 제국 224~651
에프탈 425~557
카불 샤히 왕조 565~670
이슬람 개종 이후
라시둔 칼리파국 637~661
우마이야 칼리파국 661~750
아바스 칼리파국 750~1258
사만 토후국 819~999
타히르 토후국 821~873
알라비 토후국 864~928
사파르 토후국 861~1003
제야르 왕국 928~1043
부와이 제국 934~1055
가즈나 술탄국 963~1187
셀주크 제국 1037~1194
화레즘 제국 1077~1231
샨사브 왕국 1149~1212
일 칸국 1256~1353
무자파르 왕국 1314~1393
카르트 왕국 1335~1381
추판 왕국 1337~1357
잘라이르 술탄국 1339~1432
티무르 제국 1370~1507
아크 코윤루 투르크멘 1378~1514
카라 코윤루 투르크멘 1374~1469
사파비 제국 1501~1722
또는 1736
무굴 제국 1526~1857
호타키 토후국 1722~1729
아프샤르 제국 1736~1802
 근대
아프가니스탄
두라니 제국 1747~1823
영국과 러시아 세력 1823~1919
독립과 내전 1919~1929
바라자이 통치기 1929~1973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1973~1978
공산 통치기 1978~1992
1992년 이후 아프가니스탄 1992~현재
아제르바이잔
독립한 칸국 1722~1828
러시아 통치기 1828~1917
민주 공화국 1918~1920
아제르바이잔 SSR 1920~1991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1991~현재
바레인
포르투갈 통치기 1521~1602
대(對)영국 협정 1820~1971
바레인 왕국 1971~현재
이란
잔드 왕국 1750~1794
이란 숭고국 1781~1925
이란 제국 1925~1979
이란 혁명 1979
과도 정부 1979
이란 이슬람 공화국 1979~현재
이라크
오스만 제국 1632~1919
하심 왕국 1920~1958
쿠데타와 공화국 1958~2003
이라크 공화국 2004~현재
타지키스탄
부하라 토후국 1785~1920
부하란 / 우즈베크 SSR 1920~1929
타지크 자치 SSR 1929
타지크 SSR 1929~1991
타지키스탄 공화국 1991~현재
우즈베키스탄
부하라 토후국 1785~1920
우즈베크 SSR 1924~1991
독립 1991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1991~현재

v  d  e  h

역사

편집

왕조의 성립

편집

왕조의 개창자인 레자 팔라비가 두각을 나타낸 것은 영국소련 세력이 이란의 주권을 침해하는 것을 막을 수 없는 것이 증명된 카자르 제국의 마지막 통치자인 아흐마드 샤 카자르(Ahmad Shah Qajar) 때였다. 1921년 발생한 레자 팔라비의 쿠데타로 아흐마드 샤의 위치는 매우 약해졌고, 그가 프랑스에 있던 1925년 12월 12일에 이란 의회(Majlis)는 아흐마드 샤를 퇴위시켜 카자르 왕조는 붕괴되었다. 그 대신 의회는 레자 팔라비를 페르시아 제국의 새 임금으로 추대했다.

새 왕조를 세운 레자 샤 팔라비(팔레비 1세)는 개혁과 중앙집권화를 추진하였다. 1928년에 외국과의 불평등 조약을 개정하고, 근대국가의 형성을 목표로 서구화를 지향하였다. 그러나 1930년대 중반, 레자 샤 팔라비의 강경한 세속주의 정책은 특히 성직자를 비롯한 일부 계층에게서 불만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중산층과 유산층은 샤의 정책을 지지했다.

1935년 3월 20일부터 지금의 '이란'이라는 국명을 사용하였다. 페르시아라는 이름은 서구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온 명칭이기 때문이다. 레자 샤 팔라비의 뒤를 이은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는 1959년에, '페르시아'와 '이란' 모두 사용가능하다고 밝혔다.

팔레비 1세는 영국소비에트 연방의 세력싸움에 말려들고 싶지 않아했다. 개발정책을 위해서는 외국 기술자의 도움이 요구되었지만, 샤는 영국-이란 석유회사(Anglo-Iranian Oil Company)를 소유한 영국과 소련의 도움을 받고 싶지 않아했으며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등의 제3국에서 도움을 받고자 했다. 1939년 아돌프 히틀러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키며 문제가 생겼다. 독일과 영국이 전쟁상태에 들어가자, 팔레비 1세는 중립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영국은 독일인 기술자들이 스파이라고 주장하며 영국이 소유한 정유공장들에서 사보타주를 일으키려 한다고 했다. 그러나 샤는 영국이 주장한 독일 기술자 송환을 거부했다. 그러나 샤는 끝내 1941년 8월 25일 개시된 영국과 소련의 군사 개입으로 황태자에게 양위하여, 3년 후에 남아프리카 연방요하네스버그에서 숨을 거두었다.

1943년 9월 13일, 연합국들은 1946년 3월 2일까지 모든 외국군이 이란에서 철수하기로 합의했다.[4] 그 때, 투데 당(공산당)은 큰 영향력을 이미 가지고 있었는데,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급속히 무장하였다. 이에 제국 정부는 테헤란의 중앙당과 이스파한 지부를 점거하였고, 이란 북부에 주둔하던 소련군은 이란군이 들어오지 못하게 막았다. 1945년 11월, 투데당의 도움 하에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가 자치를 선언하였다.[4][5] 이 소련의 괴뢰정권은 1946년 11월에 소멸했다.

냉전기

편집

1941년 9월 16일, 부황의 양위로 즉위한 제2대 황제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팔레비 2세)는 부황이 추진했던 개혁을 계속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곧, 정부의 움직임을 둘러싸고 와 민족주의적인 노(老) 정치가 모하마드 모사데그 사이에 경쟁이 벌어졌다. 1951년, 마질리스(이란 국회)는 79 대 12로 모사데그를 수상으로 지명했다. 그는 곧 영국이 소유한 석유회사를 국유화하였고(아바단 위기), 이는 서방으로부터의 석유 불매에 의한 경제 파탄을 두려워한 샤의 반대에 부딪혔다. 샤는 잠시 해외로 떠났지만, 얼마 뒤인 1953년 8월 영국미국이 후원한 쿠데타(아약스 작전)에 의해 귀국하였다. 모사데그는 근왕군에 의해 체포되었다.

샤는 세속주의, 근대화 정책을 밀고 나가, 1963년부터 백색혁명을 시작하여 토지개혁·여성참정권 부여 등의 근대화가 시작되었다. 또한 1971년에는 이란 건국 2500주년 축제를, 1974년에는 테헤란에서 아시안 게임을 열었다. 그러나 백색혁명은 왕권 안정을 위한 국방비 증액과 인플레이션, 생필품 부족 등에 대한 국민의 불만, 이슬람 전통을 중시하는 원리주의 무슬림·민족주의 세력의 반발을 불러 이란 이슬람 혁명의 원인이 되고 말았다.

붕괴와 그 유산

편집

1978년부터 발생한 학생 데모는 나중에 호메이니 등의 종교인들까지 가세하여, 그 해에 이슬람 혁명이 번지게 되었다. 끝내 1979년 1월에 샤가 해외로 망명하여 2500년 전통의 군주제는 폐지되고, 이란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샤는 신병치료를 위해 이집트, 멕시코, 미국을 전전하였고, 마침내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대통령의 손님으로 머물렀다. 1980년 샤의 타계로 황태자인 레자 시루스 팔라비부재중(in absentia)으로서 팔라비 왕조를 계승하였다. 레자 시루스 팔라비 부부와 그 세 딸은 현재 미국 메릴랜드주 포토맥에서 거주하고 있다.[6]

정치

편집

입헌 군주제였으며, 의회는 상원(Senate, 페르시아어: کاخ مجلس سنا)이 성립된 1949년 이후 양원제로 운영되었다. 1949년 이전에는 단일 의회였던 하원(Majlis, 페르시아어: مجلس شورای ملی)은 1952년 이전에는 2년 임기제였으나, 이후 4년 임기제로 바뀌었다. 백색혁명의 일환으로 1963년 이후부터는 여성도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얻게 되었다.

역대 군주

편집
이름 초상화 선대와의 관계 생몰년 즉위 양위
역대 황제
1 레자 팔라비 1세 아바스 알리의 아들 1878–1944 1925년 12월 15일 1941년 9월 16일
2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레자 팔라비 1세의 장남 1919–1980 1941년 9월 16일 1979년 2월 11일
망명 이후
1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레자 팔라비 1세의 장남 1919–1980 1979년 2월 11일 1980년 7월 27일
2 파라 팔라비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의 부인 1938– 1980년 7월 27일 1981년 7월 27일
3 레자 팔라비 2세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의 장남 1960– 1981년 7월 27일 현재

황족의 칭호

편집
  • 샤(Shah) : 황제. "이란의 왕중왕(Shahanshah of Iran)". 1965년부터는 '아리아메르(Aryamehr: 아리아인의 빛)' 칭호도 사용하였다. 경칭은 폐하(His Imperial Majesty).
  • 샤바누(Shabanou) : 황후(Shabanou/Empress) 칭호 다음에 이름과 "이란의(of Iran)" 칭호가 붙는다. 경칭은 폐하(Her Imperial Majesty).
  • 장남 : 이란의 황태자. 경칭은 전하(His Imperial Highness).
  • 차남 이하의 아들 : 왕자(샤푸르(Shahpur)) 칭호 다음에 이름과 성(팔라비)이 붙는다. 경칭은 전하(His Imperial Highness).
  • 딸 : 공주(샤도흐트(Shahdokht)) 칭호 다음에 이름과 성(팔라비)이 붙는다. 경칭은 전하(Her Imperial Highness).
  • 샤의 외손자녀의 경우, 왕손(남성 Vala Gohar, 여성 Vala Gohari) 칭호 다음에 이름과 성(부친의 성씨)이 붙는다. 경칭은 전하(His Highness/Her Highness). 그러나 미국인 사업가와 첫 결혼한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의 누이 파테메(Fatemeh)의 자녀들은 해당 호칭을 사용하지 않았다.

역대 총리대신

편집

연표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Iranian Empire (Pahlavi dynasty): Imperial standards”. 2007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6일에 확인함. 
  2. “보관된 사본”. 2015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일에 확인함. 
  3. 본래 사산 제국때부터 페르시아 제국의 정식 국호는 이란이었지만 외국에서는 계속 페르시아로 통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외국에서도 자신들을 가리킬 때 이란이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것을 원해서 이렇게 한 것이다.
  4. Jessup, John E. (1989). 《A Chronology of Conflict and Resolution, 1945–1985》. New York: Greenwood Press. ISBN 0-313-24308-5. 
  5. The Iranian Crisis of 1945–1946 and the Spiral Model of International Conflict, by Fred H. Lawson in International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 p.9
  6. Michael Coleman (2013년 7월 30일). “Son of Iran's Last Shah: ‘I Am My Own Man’”. The Washington Diplomat. 2013년 9월 2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