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테오고세균
고세균의 종류
프로테오고세균(학명: Proteoarchaeota)은 고세균에 속하는 것으로 제안된 분류군의 하나이다. 진핵생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간주되고 있다.[1][2][a] 에우리고세균계와 함께 전체 고세균 역을 양분한다. 하위 분류는 TACK상문과 아스가르드고세균상문이 있고, 기재종을 포함하는 계통군은 크렌고세균문과 타움고세균문이 속해 있다. 다른 미 배양 계통군으로 코르고세균문을 포함하고 있다.
프로테오고세균 | ||
---|---|---|
특정 바이러스 STSV-1에 감염된 술폴로부스속 고균 | ||
생물 분류ℹ️ | ||
역: | 고세균역 | |
계: | 프로테오고세균계 (Proteoarchaeota) Petitjean et al. 2014 | |
상문 및 문 | ||
|
기존에 고세균역은 에우리고세균계와 크렌고세균계로 양분하여 분류해 왔지만, 이 두 계통에 속하지 않는 고세균이 여러 종 발견되어 왔고, 에우리고세균의 다양성에 비해 크렌고세균 다양성이 작은 것 등을 근거로 크렌고세균계가 격하되어 근연 관계의 타움고세균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안되었다.
계통 분류
편집
|
다음은 프로테오고균의 계통 분류이다.[6][7][8][9]
프로테오고세균 |
| ||||||||||||||||||||||||||||||||||||||||||||||||||||||||||||
각주
편집- ↑ Petitjean, C.; Deschamps, P.; López-García, P.; Moreira, D. (2014). “Rooting the domain Archaea by phylogenomic analysis supports the foundation of the new kingdom Proteoarchaeota”. 《Genome Biol. Evol.》 7 (1): 191–204. doi:10.1093/gbe/evu274. PMC 4316627. PMID 25527841.
- ↑ Eugene V. Koonin (2015). “Archaeal ancestors of Eukaryotes: Not so elusive any more”. 《BMC Biology》 13 (1): 84. doi:10.1186/s12915-015-0194-5. PMC 4594999. PMID 26437773.
- ↑ “GTDB release 08-RS214”. 《Genome Taxonomy Database》. 2021년 12월 6일에 확인함.
- ↑ “ar53_r214.sp_label”. 《Genome Taxonomy Database》. 2023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Taxon History”. 《Genome Taxonomy Database》. 2021년 12월 6일에 확인함.
- ↑ Spang, Anja; Saw, Jimmy H.; Jørgensen, Steffen L.; Zaremba-Niedzwiedzka, Katarzyna; Martijn, Joran; Lind, Anders E.; van Eijk, Roel; Schleper, Christa; Guy, Lionel; Ettema, Thijs J.G. (2015). “Complex archaea that bridge the gap between prokaryotes and eukaryotes”. 《Nature》 521 (7551): 173–179. Bibcode:2015Natur.521..173S. doi:10.1038/nature14447. PMC 4444528. PMID 25945739.
- ↑ Zaremba-Niedzwiedzka, Katarzyna; Caceres, Eva F.; Saw, Jimmy H.; Bäckström, Disa; Juzokaite, Lina; Vancaester, Emmelien; Seitz, Kiley W.; Anantharaman, Karthik; Starnawski, Piotr; Kjeldsen, Kasper U.; Stott, Matthew B.; Nunoura, Takuro; Banfield, Jillian F.; Schramm, Andreas; Baker, Brett J.; Spang, Anja; Ettema, Thijs J.G. (2017). “Asgard archaea illuminate the origin of eukaryotic cellular complexity”. 《Nature》 541 (7637): 353–358. Bibcode:2017Natur.541..353Z. doi:10.1038/nature21031. OSTI 1580084. PMID 28077874.
- ↑ Zaremba-Niedzwiedzka, Katarzyna; 외. (2017년 1월 19일). “Asgard archaea illuminate the origin of eukaryotic cellular complexity”. 《Nature》 541 (7637): 353–358. Bibcode:2017Natur.541..353Z. doi:10.1038/nature21031. OSTI 1580084. PMID 28077874.
- ↑ Fournier, Gregory P.; Poole, Anthony M. (2018). “A briefly argued case that Asgard Archaea are part of the Eukaryote tree”. 《Frontiers in Microbiology》 (영어) 9: 1896. doi:10.3389/fmicb.2018.01896. ISSN 1664-302X. PMC 6104171. PMID 30158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