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민 수용소
난민 수용소(難民收容所)는 난민들을 수용하는 수용소이다. 종교, 전쟁, 인종, 국적, 기타 폭력에 의해 원래 살던 땅을 떠나게 된 사람들이 임시적으로 생활하는 공간이다. 난민이 발생한 나라 밖의 외국, 특히 인접국에 설치되는 일이 많다. 전쟁, 종교 등으로 인해 자신의 나라에 있을 수 없는 난민은 전세계에 약 2590만명이다.[1]
난민 수용 국가
편집요르단
편집인구 950만명인 요르단은 난민 76만명을 수용하고 있다.[2] 자타리 난민 캠프는 세계 최대 시리아 난민 캠프이다. 2011년 발생한 시리아 내전을 피해 도망친 시리아 난민들을 수용한다.
방글라데시
편집방글라데시 콕스바자르는 미얀마에서 피난 온 90만 명의 로힝야 난민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이다. 2017년 미얀마군의 폭력 탄압으로 로힝야족 74만 여명이 피난을 떠나 방글라데시로 이주했다.
독일
편집독일 하이델베르크 난민 수용소는 1952~2013년까지 미군기지로 사용되다가 현재 난민수용소로 사용되고 있다. 시리아에서 온 난민이 제일 많고, 그 밖에 아프간, 이란, 파키스탄, 이라크, 나이지리아 등에서 전쟁과 분쟁을 피해서 온 난민들이 심사를 기다리는 첫 관문이다.[3]
터키 | 요르단 | 레바논 | 파키스탄 | 우간다 | 독일 | 이란 | 에티오피아 | 수단 | 방글라데시 |
---|---|---|---|---|---|---|---|---|---|
370 | 290 | 140 | 140 | 110 | 100 | 97.9 | 92.1 | 90.8 | 90.6 |
난민 수용소 실태
편집불결한 위생상태
편집호주 마누스 섬 난민 수용소
편집화장실이나 샤워실과 같은 위생시설이 턱없이 부족해 대부분의 억류자들이 불결한 위생상태로 인한 각종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4] 배급되는 음식을 받거나 화장실을 가기 위해 하루 평균 4~5시간씩 뙤약볕에 서서 기다려야 하며, 비누와 같은 생필품도 턱없이 부족한 상태이다.
여성 인권 침해
편집리비아 난민 수용소
편집리비아 난민 수용소의 여성이 "수용소 간수가 깨끗한 물을 주는 대가로 성관계를 요구했다."고 폭로했다. 이를 거절한 여성에게 간수가 "총으로 등을 눌러 쓰러뜨린 뒤 군홧발로 허리를 가격했다."고 했다. 수용소의 여성들은 물, 음식 등 필수품을 얻거나, 화장실을 가기 위해 간수들로부터 성관계를 요구받은 바 있다.[5]
아동 교육권 침해
편집레바논 난민 수용소
편집레바논에 약 50만 명 시리아 학령기 아동이 난민으로 등록되어 있고, 실제로는 약 66만명으로 추산된다. 2018년도 기준, 이 중 약 42%만이 학교에 등록되어 있다. 시리아 난민에 호의적이지 않은 정부와 불안정한 레바논 정치상황에 의해, 시리아 난민 아동의 교육권이 보장될 가능성이 적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국제엠네스티한국지부”. 2022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요르단에서 난민의 인권과 미래를 생각하다”. 2019년 1월 8일. 2022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독일 난민수용에 비추어 본 우리의 자화상”. 2018년 7월 8일. 2022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정열 (2013년 12월 12일). “국제앰네스티 "호주 난민수용소 실태 '끔찍'"”. 2022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기자, 이유정 (2021년 7월 15일). “"물 한모금에 성관계 강요"…리비아 난민 수용소 참상 폭로”. 2022년 10월 20일에 확인함.
이 글은 전쟁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