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성어(漢字成語) 혹은 고사성어(故事成語)는 비유적인 내용을 담은 함축된 글자로 상황, 감정, 사람의 심리 등을 묘사한 관용구이다. 간단히 성어(成語)라고도 한다. 주로 4글자로 된 것이 많기 때문에 사자성어(四字成語)라 일컬키도 한다. 일상생활이나 글에 많이 사용된다.

배경

편집

성어는 대부분 주로 중국고사에서 유래한다. 중국어에만 약 5,000개의 성어가 있으며, 일부 사전은 20,000개 이상의 성어를 나열한다.

한국어권에서 쓰인 속담이 한자성어로도 쓰이는 경우도 있는데, 그 예로 ‘제 논에 물 대기’가 아전인수(我田引水)로 쓰이는 것이 있다. 이와는 별도로 한 시대의 정치적 상황이나 사회상을 빗대어 풍자적으로 유행하는 사자성어도 있다.

사자성어의 예
한자성어 한글 발음 의미 해석
富貴在天 부귀재천 부귀를 누리는 일은 하늘의 뜻에 달려있어서 사람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焚書坑儒 분서갱유 서적을 불태우고 학자들을 땅에 묻어 죽인다는 뜻
不勞所得 불로소득 노동의 대가로 얻는 소득이 아님.
桑田碧海 상전벽해 뽕나무 밭이 변하여 바다가 됨을 이르는 말로, 세상의 변천이 잦음을 비유
十伐之木 십벌지목 열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가 없음을 이르는 말
苛斂誅求 가렴주구 수령이 백성들을 상대로 착취를 가하는 것을 뜻하며, 탐관오리를 비유
臥薪嘗膽 와신상담 장작 위에 누워서 쓰디쓴 쓸개를 맛본다. 즉 복수를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함을 비유.
我田引水 아전인수 자기에게 이롭게만 하려는 것
梁上君子[1] 양상군자 들보 위의 군자라는 뜻으로, 도둑을 완곡하게 이르는 말.
烏合之卒[2] 오합지졸 아무 규율도 통일도 없이 몰려다니는 무리
咸興差使 함흥차사 한번 간 사람이 돌아오지 않거나 소식이 없음
鷄群一鶴 계군일학 닭무리에 한마리에 학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후한서》 〈진식전(陳寔傳)〉
  2. 《《三國志·吳志·陳泰傳》》. 艾等以爲王經精卒破衄於西,賊衆大盛,乘勝之兵既不可當,而將軍以烏合之卒,繼敗軍之後,將士失氣,隴右傾蕩 

아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