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주 기씨(幸州奇氏)는 경기도 고양시 행주동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행주 기씨
幸州奇氏
관향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시조기우성(奇友誠)
중시조기순우(奇純祐)
집성촌광주광역시 광산구
전라남도 장성군
전라남도 무안군 운남면 연리
황해도 금천군 좌면 암사리
주요 인물기탁성, 기홍수, 기윤숙, 기자오, 기철, 기황후, 숙의 기씨, 기건, 기준, 기대항, 기대승, 기자헌, 기정진, 기삼연, 기산도, 기세훈, 기세춘, 기찬수, 기형도, 기모란
인구(2015년)27,379명
비고행주기씨 대종중

시조는 마한 원왕(元王)의 3남 우성(友誠)이며, 고려 인종(仁宗) 때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를 지낸 기순우(奇純祐)를 1세조로 한다.

기원

편집

행주 기씨 족보에서 기자(箕子)의 48대손인 기우성(奇友誠)을 시조로 한다. 《행주기씨보(幸州奇氏譜)》 및 《청주한씨세보(淸州韓氏世譜》에 의하면 마한 8대 원왕(元王) 한훈(韓勳)의 아들로 우평(友平), 우량(友諒), 우성(友誠)이 있었는데, 우평은 태원 선우씨, 우량은 청주 한씨, 우성(友誠)은 행주 기씨가 되었다고 한다.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 기록에는 마한의 유민(遺民)이 온조왕에 의하여 한산(漢山)의 북쪽, 즉 행주(幸州)로 옮겨졌다고 하고 있다.

역사

편집

기우성의 65세손인 기문유(奇文儒)의 아들로 고려 인종 때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를 지낸 기순우(奇純祐)를 1세조로 한다. 조선 선조 때 영의정을 지낸 기자헌(奇自獻)의 동생 기윤헌(奇允獻) 집에 선계의 기록이 있었는데, 이괄의 난 때 소실되었다고 한다. 1688년(조선 숙종 14) 족보를 개편할 때 이곡(李穀)이 지은 기황후(奇皇后)의 아버지 영안왕(榮安王) 기자오(奇子敖)의 행장(行狀)을 근거로 영안왕의 5대조인 기순우를 1세로 기록하였다.

인물

편집

고려

편집
  • 기탁성(奇卓誠, ? ~ 1179) : 조위총의 난을 평정하여 판병부사(判兵部事),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판이부사(判吏部事)가 되었다.
  • 기홍수(奇洪壽, 1148 ~ 1209) : 1194년(명종 24)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1197년 참지정사 판병부사(參知政事判兵部事), 수사도 중서시랑 평장사감수국사 판병부사 태자태부(守司徒中書侍郎平章事監修國史判兵部事太子太傅), 1199년(신종 2) 수태위 문하시랑 평장사(守太尉門下侍郎平章事), 1200년 수태사 주국(守太師柱國), 1201년 문하시랑 동중서문하 평장사(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를 거쳐 1203년 벽상삼한삼중대광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壁上三韓三重大匡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判吏部事)가 되었다.
  • 기윤숙(奇允肅, ? ~ 1257) : 문하시랑평장사
  • 기철(奇轍, ? ~ 1356) : 고려 후기 권문세족
  • 기황후 (? ~ 1370) : 원나라의 마지막 황후, 기철의 여동생
  • 기중평(奇仲平) : 고려 후기 권문세족이며, 기면(寄勉)의 부친

조선

편집
  • 기면(奇勉. ?~?): 공조전서를 지냈으며, 조선조 정종대왕의 후궁 숙의 기씨의 부친이다. 고려조 권문 세족인 기중평(奇仲平)의 아들이다. 외조모는 고려조 태자태사를 지낸 진위 이씨 이중육(李仲育)의 딸이다.
  • 기건(?~1460) : 조선의 문신이다. 전라도관찰사 겸 전주부윤, 호조참판, 개성부유수를 역임하였다. 계유정난으로 수양대군이 왕위에 오르자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 하였다.
  • 기준(奇遵, 1492~1521) : 1514년(중종 9년) 호는 복재이다.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1519년 응교를 지내다가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교살 되었다. 1545년(인종 1)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민(文愍).
  • 기대항(奇大恒, 1519~1564) : 1546년(명종 1) 복재 기준의 아들로,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 이조참판을 거쳐 1564년 공조참판·한성부윤에 올랐다. 시호는 정견(貞堅).
  • 기대승(奇大升, 1527~1572) : 1558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고, 선조 때 성균관 대사성, 대사간, 공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문헌(文憲)
  • 기효간(奇孝諫. 1530~1593) : 호 금강(錦江). 하서 김인후(金麟厚))의 문인으로 호남의 은덕군자(隱德君子)이다. 서태수·변이중·변성온(卞成溫)·변성진 등과 교유 하였으며, 죽은 뒤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공으로 선무원종공신에 책봉 되고, 호조참의에 추증 되었다. 장성 추산서원 배향
  • 기효증(奇孝曾. 1550~1616) : 문헌공 기대승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동복현감으로 의병장에 추대 되어 군사와 군량을 의주까지 수송하였다.
  • 기자헌(奇自獻, 1562~1624) : 한성부윤 기대항의 손자로, 1590년 증광 문과에 급제하고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1614년 영의정에 올랐다. 1620년 덕평부원군(德平府院君)에 봉해졌다.
  • 기윤헌(奇允獻. 1575~1624) : 영의정 기자헌의 동생으로 1605년(선조 38)에 증광 문과에 급제하고, 세자시강원문학, 장령, 안악군수를 역임하였다.
  • 기준격(奇俊格. 1594~1624) : 영의정 기자헌의 아들로 정언, 병조좌랑, 예조좌랑을 역임하였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에 내응하려 하였다는 혐의로 사형 당하였다.
  • 기정익(奇挺翼. 1627~1690) : 호는 송암(松巖). 금강 기효간의 현손, 우암 송시열 문인, 제릉참봉에 제수 되고, 뒤이어 효릉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후학양성에만 전념하였다. 장성 추산서원 배향
  • 기언관(奇彦觀. 1706~?) : 기대승의 6세손, 헌납, 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 기언정(奇彦鼎. 1716~1797) : 사간 기언관의 동생으로 대사간, 대사헌, 공조판서를 역임하였다.
  • 기학경(奇學敬. 1741~1809] : 기대승의 7세손이며, 사간 기언관의 삼남이다. 사간원 정언, 무장현감, 홍문관 수찬을 역임하였다.
  • 기정진(奇正鎭. 1798~1879) : 조선 후기의 유학자이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진원 고산서원에 배향되었다.
  • 기양연(奇陽衍. 1827~1895) :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사헌부 장령, 부교리, 부수찬을 역임하였다.
  • 기우만(奇宇萬. 1846~1916) : 유학자, 항일의병장
  • 기삼연(奇參衍. 1851~1908) : 항일의병장
  • 기동준(奇東準. 1860~1918) : 기대승의 후예로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귀향하여 학문에 정진하며 후학 양성에 매진하였다. 기대승의 문집을 발간하였다.
  • 기산도(奇山度. 1878~1928) : 독립운동가

근 · 현대

편집
  • 기세훈(奇世勳. 1914~2015) : 고봉 기대승의 후손, 서울고등법원장 등을 역임한 법조인
  • 기동민(奇東旻, 1966~) : 제20·21대 국회의원
  • 기경량(奇庚良, 1978~) : 역사학사

과거 급제자

편집

행주 기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2명, 무과 급제자 22명을 배출하였다.[1]

무과

기경복(奇景福) 기경우(奇慶遇) 기경헌(奇敬獻) 기계건(奇戒建) 기대경(奇大勍) 기대권(奇大權) 기두환(奇斗煥) 기명후(奇命垕) 기붕(奇鵬) 기상진(奇尙珍) 기성후(奇聖垕) 기송일(奇松一) 기시관(奇時冠) 기윤호(奇允琥) 기익헌(奇益獻) 기자홍(奇自弘) 기전(奇恮) 기정우(奇廷遇) 기준(奇俊) 기홍립(奇弘立) 기효열(奇孝說) 기훈(奇薰)

문과

기경현(奇慶鉉) 기관현(奇觀鉉) 기대승(奇大升) 기대항(奇大恒) 기령(奇苓) 기만헌(奇晩獻) 기문현(奇文鉉) 기수발(奇秀發) 기양연(奇陽衍) 기언관(奇彦觀) 기언정(奇彦鼎) 기윤헌(奇允獻) 기자헌(奇自獻) 기저(奇褚) 기준(奇遵) 기준격(奇俊格) 기진흥(奇震興) 기찬(奇襸) 기침(奇琛) 기학경(奇學敬) 기협(奇協) 기형(奇逈)

생원시

기경례(奇敬禮) 기경인(奇敬仁) 기관연(奇觀衍) 기기진(奇麒鎭) 기대승(奇大升) 기동교(奇東敎) 기동순(奇東純) 기동준(奇東準) 기령(奇苓) 기만헌(奇晩獻) 기봉진(奇鳳鎭) 기상풍(奇象豊) 기윤섭(奇允燮) 기윤진(奇允鎭) 기율(奇慄) 기익진(奇益鎭) 기자헌(奇自獻) 기재규(奇在奎) 기재선(奇在善) 기저(奇楮) 기정진(奇正鎭) 기준(奇遵) 기진구(奇震龜) 기진량(奇震良) 기태검(奇泰儉) 기태온(奇泰溫) 기태원(奇泰源) 기형(奇逈) 기호진(奇祜鎭)

진사시

기계상(奇繼商) 기대승(奇大升) 기대항(奇大恒) 기동팔(奇東八) 기란(奇蘭) 기무곤(奇茂坤) 기세후(奇世厚) 기수발(奇秀發) 기양연(奇亮衍) 기우만(奇宇萬) 기윤헌(奇允獻) 기인(奇𡐔) 기자헌(奇自獻) 기재린(奇在麟) 기저(奇楮) 기정만(奇挺萬) 기정현(奇挺賢) 기준(奇遵) 기준격(奇俊格) 기진(奇進) 기진연(奇晉衍) 기진탁(奇震鐸) 기진흥(奇震興) 기학경(奇學敬) 기형(奇逈) 기황(奇愰) 기효증(奇孝曾)

항렬자

편집
90세 91세 92세 93세 94세 95세
우(宇) 도(度) 노(老) 서(舒) 호(浩) 간(幹)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편집

인구

편집
  • 1985년 5,244가구, 21,756명
  • 2000년 6,660가구, 21,536명
  • 2015년 27,379명

이성 동본

편집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