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줄베도라치과
황줄베도라치과(Pholidae)는 페르카목에 속하는 조기어류과의 하나이다.[1] 뱀장어와 약간 유사산 형태의 어류로 대부분이 조간대(潮間帶, Intertidal zone)와 수심 200m 사이의 얕은 바다에서 발견된다. 대부분의 종은 북태평양과 더 남쪽의 바하칼리포르니아 주와 동중국해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유일한 예외는 북대서양에서 발견되는 Pholis gunnellus[2]과 북극해와 북대서양, 남태평양에서 발견되는 P. fasciata[3]이다. 몸길이는 최대 20~30cm지만, Apodichthys flavidus는 최대 46cm 정도이다.[4] 작은 갑각류와 연체동물을 먹이로 먹는다. 3속 15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황줄베도라치와 베도라치, 오색베도라치, 점베도라치, 흰베도라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황줄베도라치과 | ||
---|---|---|
Pholis laeta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조기어강 | |
상목: | 극기상목 | |
(미분류): | 에우페르카리아류 | |
목: | 페르카목 | |
아목: | 둑중개아목 | |
하목: | 등가시치하목 | |
과: | 황줄베도라치과 (Pholidae) Gill, 1893 | |
속 | ||
|
하위 분류
편집- Apodichthys Girard, 1854
- A. flavidus Girard, 1854
- A. fucorum Jordan & Gilbert, 1880
- A. sanctaerosae (Gilbert & Starks, 1897)
- 베도라치속 (Pholis) Scopoli, 1777
- P. clemensi Rosenblatt, 1964
- 점베도라치 (P. crassispina) (Temminck & Schlegel, 1845)
- 흰베도라치 (P. fangi) (Wang & Wang, 1935)
- P. fasciata (Bloch & Schneider, 1801)
- P. gunnellus (Linnaeus, 1758)
- P. laeta (Cope, 1873)
- P. nea Peden & Hughes, 1984
- 베도라치 (P. nebulosa) (Temminck & Schlegel, 1845)
- 오색베도라치 (P. ornata) (Girard, 1854)
- P. picta (Kner, 1868)
- P. schultzi Schultz, 1931
- 황줄베도라치속 (Rhodymenichthys) Jordan and Evermann, 1896
- 황줄베도라치 (R. dolichogaster) (Pallas, 1814)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2015년 라드첸코(Radchenko)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5]
등가시치하목 |
| ||||||||||||||||||||||||||||||||||||||||||||||||||||||||||||||||||||||||
각주
편집- ↑ (영어) "Pholidae". FishBase. Ed. Rainer Froese and Daniel Pauly. 2015년 4월 version. N.p.: FishBase, 2015년.
- ↑ (영어) Froese, Rainer, and Daniel Pauly, eds. (2015년). 어류 정보 사이트 피시베이스(FishBase)의 Pholis gunnellus. 2015년 4월판.
- ↑ (영어) Froese, Rainer, and Daniel Pauly, eds. (2015년). 어류 정보 사이트 피시베이스(FishBase)의 Pholis fasciata. 2015년 4월판.
- ↑ (영어) Froese, Rainer, and Daniel Pauly, eds. (2015년). 어류 정보 사이트 피시베이스(FishBase)의 Apodichthys flavidus. 2015년 4월판.
- ↑ O. A. Radchenko: The system of the suborder Zoarcoidei (Pisces, Perciformes) as inferred from molecular genetic data Russian Journal of Genetics, November 2015, Volume 51, Issue 11, pp 1096–1112, DOI: 10.1134/S102279541510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