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조 (조선)
문조(文祖, 1809년 9월 6일(음력 8월 9일) ~ 1830년 6월 13일(음력 5월 6일))는 조선의 왕세자이자 추존 국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다. 효명세자(孝明世子) 또는 첫 묘호였던 익종(翼宗)으로도 잘 알려져있다. 순조의 아들이며 헌종의 아버지이다.
문조
文祖 | |
---|---|
익종 어진 (1826년) | |
조선의 추존 국왕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 | |
조선의 왕세자 | |
재위 | 1812년 7월 6일 ~ 1830년 5월 6일 (음력) |
전임 | 왕세자 공 (순조) |
후임 | 황태자 척 (순종) |
이름 | |
휘 | 이영(李旲) |
별호 | 효명세자(孝明世子) · 익종(翼宗) |
묘호 | 익종(翼宗, 1834년) → 문조(文祖, 1899년) |
시호 | 돈문현무인의효명익황제 (敦文顯武仁懿孝明翼皇帝) |
존호 | 체원찬화···성헌소장
|
능호 | 수릉(綏陵)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97 |
신상정보 | |
출생일 | 1809년 8월 9일(음력)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창덕궁 대조전 |
사망일 | 1830년 5월 6일(음력) | (20세)
사망지 | 조선 한성부 창덕궁 희정당 |
부친 | 순조 |
모친 | 순원왕후 |
배우자 | 신정왕후 |
자녀 | 1남
헌종 · 고종 (양자) |
생애
편집탄생
편집이름은 영(旲)이며, 1809년(순조 9년) 8월 9일, 창덕궁 대조전에서 순조와 순원왕후의 아들로 태어났다.[1]
왕비의 원자 탄생은 명성왕후가 숙종을 낳은 이래 150년만의 일로, 창덕궁 인정전에서 백관이 모여 원자의 탄생을 하례하였다.[2] 이때 순조는 할머니인 혜경궁 홍씨와 모후인 효의왕후, 생모인 수빈 박씨에게 치사(致詞)와 전문(箋文), 표리(表裏)를 올렸으며, 생모인 수빈에게 '저하(邸下)'의 경칭을 사용하여 부르도록 하유하였다.[2] 또한 원자의 탄생을 축하하며 구환과 증렬미, 요역 등을 탕감하라고 하교하였다.
- 왕대비전에 올린 치사와 전문에 이르기를,
- "국왕 신(臣) 모(某)는 삼가 가경(嘉慶) 14년(1809년) 8월 15일에
- 왕대비 전하의 덕이 흡족하고 자애하심으로 인하여 후손이 창성(昌盛)하는 경사를 맞이합니다.
- 지극한 교화와 두터운 곤덕으로 큰 복록이 물줄기처럼 이르러서 원자(元子, 효명세자)가 탄생함으로써
- 종사(宗社)가 태산 반석처럼 공고하여졌으므로 신인(神人)이 함께 기뻐하고 온 나라가 다같이 환희에 차 있으니,
- 신은 경사스럽고 기쁜 마음 견딜 수 없어 삼가 전문을 올려 경하드리는 바입니다.
(중략)
- 삼가 생각건대,
- 신은 천승(千乘)의 봉양으로 삼조(三朝)에 정성을 돈독히 하여 옛날 돌보아 길러주신 자애로움을 추념하니
- 기쁜 일을 맞아 더욱 감격하며,
- 백세토록 본손(本孫)과 지손(支孫)의 경사가 이어져 끝없는 아름다움을 누리시기를 바랍니다."
— 《순조실록》 12권,
순조 9년(1809년 청 가경(嘉慶) 14년) 8월 15일 (계묘)
세자 책봉
편집1812년(순조 12년) 7월 6일, 창덕궁 인정전에서 왕세자로 책봉되었다.[3]
1817년(순조 17년) 3월, 문묘에 작헌례를 올린 뒤 성균관에 입학하였다.[4] 이때 효명세자의 성균관 입학례를 기념하여 그린 〈왕세자입학도첩〉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07호로 지정되었다.[5]
|
1819년(순조 19년) 3월, 경희궁 경현당에서 관례를 치르고 그해 10월 조만영의 딸 조씨(신정왕후)와 가례를 올렸다.
대리청정
편집1827년(순조 27년) 2월, 순조의 명으로 인정전에서 백관의 하례를 받고 대리청정을 시작하였다.[6][7]
순조는 세도정치로 안동 김씨에게 집중된 국정의 주도권을 효명세자에게 대리청정을 맡김으로서 바로잡고자 하였다. 이에 세자빈의 친정인 풍양 조씨와 다른 당파의 인물들을 중용하였으며, 이인좌의 난 이후 축출된 소론 계열 인사들을 등용했다. 같은해 7월 18일, 아들(헌종)이 태어났다.[8]
창덕궁 안에 사대부의 집을 본따 연경당(演慶堂)을 건립하였고 글과 춤을 좋아하여 직접 무용인 춘앵전을 편곡하기도 하였다. 또한 신하들에게 명하여 구양수와 소식의 글을 가려 뽑아 사문조영(文史咀英)의 편찬, 간행을 명하고 정리자(整理字) 활자로 간행하였다.
효명세자는 어머니 순원왕후의 40세가 되는 해인 1828년(순조 28년) 2월, 작헌례를 행하였다.[9] 다음해인 1829년(순조 29년) 2월 9일에는 창경궁 명정전에서 아버지 순조의 재위 30주년과 나이 40세가 되는 해를 맞아 작헌례를 행하고 대규모 진하연을 열었다.[10]
“ | 교화를 베푼 지 30년이 되었고, 수는 4순(四旬)을 더하였습니다. 지금부터 오래오래 뻗어 나가서 1만 8천 년 동안 사소서. 큰 술잔으로 유하주(流霞酒)를 잔질하니 남극성의 빛이 면류관에 빛납니다. 한 전당(殿堂)에 기쁨이 넘치니 온 나라가 함께 즐거워합니다. |
” |
— 아버지 순조에게 첫번째 잔을 바치며
|
이를 통해 부모에 대한 효를 나타냄과 동시에 왕실의 권위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때 효명세자는 진찬시와 악장의 가사를 직접 지었고, 송나라의 장생보연지악에서 따온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를 만들어 순조의 진찬연때 시연하였다.[11]
왕과 신하들은 세자의 학문 진흥책을 비롯해 여러 당파를 중용하는 정국 운영으로 세자가 장차 왕권을 강화하고, 국정을 쇄신하리라 기대하였다. 그러나 효명세자는 대리청정 4년만에 요절하였다.
최후
편집1830년(순조 30년) 5월 6일, 창덕궁 희정당에서 훙서하였다.[12] 순조와 순원왕후는 세자의 죽음을 비통해하였다.
7월 12일, 순조는 빈궁에 나아가 별전을 행하고, 아들의 죽음을 슬퍼하며 직접 제문을 작성하였다.
효명세자 제문
“
- 아! 하늘에서 너를 빼앗아감이 어찌 그렇게도 빠른가?
- 앞으로 네가 상제(上帝)를 잘 섬길 것이라고 여겨서 그런 것인가,
- 장차 우리 나라를 두드려서 망하게 하려고 그러는 것인가,
- 아니면 착하지 못하고 어질지 못하며 부덕하여 신명(神明)에게 죄를 얻어
- 혹독한 처벌이 먼저 세자에게 미쳐서 그런 것인가?
- 내가 장차 누구를 원망하고 누구를 허물하며 어디에 의지하고 어디에 호소할까?
- 말을 하려고 하면 기운이 먼저 맺히고 생각을 하려고 하면 마음이 먼저 막히며
- 곡(哭)을 하려고 하면 소리가 나기도 전에 목이 먼저 메인다.
- 천하와 고금(古今)에 혹시라도 국가를 소유하고서 나의 처지와 같은 자가 있겠는가?
- 슬프고 슬프다.
- 내가 눈으로 네 얼굴을 보지 못하고 귀로 네 음성을 듣지 못한 지 이미 60일이 지나고
- 절기가 두번이나 바뀌었다.
- 그런데 너는 아직까지 잠이 들어 아침도 없고 저녁도 없이 어둡고 막막하기만 한 것인가,
- 아니면 내가 미련하여 참으면서 먹고 호흡하기를 태연히 하며 유유 범범하게 여겨서인가?
- 네가 정말로 알고 있는가 모르는가, 내가 과연 바야흐로 꿈을 꾸면서 깨지 않고 있는가?
- 네가 정말로 훌쩍 떠나버렸는가, 아니면 네가 장차 벌떡 일어나 돌아올 것인가?
(중략)
- 해와 달은 그 운행이 변함이 없고 한 해가 가고 한 해가 오는 그 까닭도 변함이 없으며,
- 하늘은 높고 땅이 두터운 그 지극함도 변함이 없는데,
- 돌아온다는 기약은 언제이며 기약은 누구와 같이 알겠는가?
(중략)
- 네가 태어나면서부터 내 마음에 즐거움은 아버지가 되었다는데 그칠 뿐만이 아니고
- 나라의 근본이 견고해져 황고와 열성조의 유업에 힘입어 뜻을 펼칠 수 있어서였다.
(중략)
- 지금 나의 슬픔은 너로 인한 슬픔일 뿐만이 아니고
- 나의 어질지 못함과 부덕으로 나 자신에게 죄가 쌓여 나의 훌륭한 자식을 잘 보전하지 못하였고
- 4백년의 종묘사직이 한 올의 머리카락처럼 위태로우나 어떻게 할 수 없음을 슬퍼하는 것이니,
- 오히려 다시 무슨 말을 하겠는가? 슬프고 슬프다.
- 아! 애통하도다.
”
— 순조 지음
사후
편집효명세자가 죽자, 순조는 원손(헌종)을 세손으로 책봉하였다.[13] 효명세자가 죽고 2년후인 1832년(순조 32년), 동생인 명온공주와 복온공주가 잇따라 죽자 순조는 크게 상심하였고 실의에 빠졌다가 슬픔을 억제하지 못하고 승하하였다.[14]
시호 및 능묘
편집세자의 시호는 효명(孝明)이며 뜻을 이어 사업을 이루었다는 '효(孝)'와 사방에 빛을 비춘다는 '명(明)'에서 유래하였다. 이후 아들 헌종이 즉위하여 익종(翼宗)으로 추존하였다.[15] 익종의 신주는 종묘 정전에 배향되어있다. 이는 추존 국왕은 종묘에 배향될 때 영녕전에 모셔진다는 관례를 깬 것으로, 추존 국왕 중 유일하게 정전에 배향되었다.
1863년(철종 14년) 12월, 철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신정왕후는 흥선군의 둘째 아들 재황(載晃, 고종)을 익종의 양자로 삼아 익성군(益成君)의 군호를 내리고 왕으로 즉위시켰다.[16] 1899년(광무 3년), 고종에 의해 익황제(翼皇帝)로 추존되면서 익종에서 문조(文祖)로 묘호가 개칭되었다.[17]
저서
편집- 《경헌집 (敬軒集)》 12권, 시집 모음
- 《담여헌시집 (淡如軒詩集)》, 시집 모음
- 《경헌시초 (敬軒詩草)》
- 《학석집 (鶴石集)》 6권, 문집
가족 관계
편집
부모편집
왕비편집
왕자편집
|
관련 문화재
편집- 왕세자입학도첩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07호)
- 효명세자 예찰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07호)
- 부산 범어사 황실축원 장엄수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 제1호)
- 익종 어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문조가 등장한 작품
편집소설
편집- 《구르미 그린 달빛》 윤이수 지음, 글공방, 2014, 네이버 웹소설 완결 (드라마 ‘구르미 그린 달빛’의 원작)
드라마
편집영화
편집각주
편집- ↑ 《순조실록》 12권, 순조 9년(1809년 청 가경(嘉慶) 14년) 8월 9일 (정유)
원자가 탄생하다 - ↑ 가 나 《순조실록》 12권, 순조 9년(1809년 청 가경(嘉慶) 14년) 8월 15일 (계묘)
왕대비전 · 혜경궁 · 가순궁에 올린 치사와 전문의 내용 - ↑ 《순조실록》 16권, 순조 12년(1812년 청 가경(嘉慶) 17년) 7월 6일 (병자)
인정전(仁政殿)에 나아가 왕세자를 책봉하였다. - ↑ 《순조실록》 20권, 순조 17년(1817년 청 가경(嘉慶) 22년) 3월 11일 (갑인)
왕세자가 문묘에 나아가 작헌례를 행하고, 이어 입학례를 행하다 - ↑ 서울특별시고시 제2010-220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지정 고시》, 서울특별시장, 서울시보 제2981호, 19면, 2010-06-17
- ↑ 《순조실록》 28권, 순조 27년(1827년 청 도광(道光) 7년) 2월 9일 (을묘)
왕세자에게 서무를 대리하도록 하다 - ↑ 《순조실록》 28권, 순조 27년(1827년 청 도광(道光) 7년) 2월 18일 (갑자)
인정전에서 하례를 받고 세자 청청에 관한 반교문을 내리다 - ↑ 《순조실록》 29권, 순조 27년(1827년 청 도광(道光) 7년) 7월 18일 (신유)
세자빈이 원손을 낳자 대신들이 하례하다 - ↑ 《순조실록》 30권, 순조 28년(1828년 청 도광(道光) 8년) 2월 12일 (임오)
왕세자가 대전과 중궁전에게 술잔을 올리다 - ↑ 《순조실록》 30권, 순조 29년(1829년 청 도광(道光) 9년) 2월 9일 (계유)
명정전에서 술잔을 받다 - ↑ 《순조기축진찬의궤(純祖己丑進饌儀軌)》
- ↑ 《순조실록》 31권, 순조 30년(1830년 청 도광(道光) 10년) 5월 6일 (임술)
왕세자가 죽다
묘시(卯時, 오전 5시~7시)에 왕세자가 창덕궁의 희정당에서 훙서하였다. - ↑ 《순조실록》 31권, 순조 30년(1830년 청 도광(道光) 10년) 9월 15일 (경오)
왕세손을 책봉하다 - ↑
순조 대왕 묘지문[誌文] (중략) 경인년(1830년)에 세자(효명세자)가 훙서하니 원손(元孫, 헌종)을 왕세손으로 책봉하였다.왕은 지극한 정을 애써 억누르면서 다시 기무를 직접 보살폈는데, 임진년(1832년)에 두 공주(명온공주, 복온공주)가 또 서로 잇따라 요서(夭逝)하니,
왕은 아프고 슬픈 마음을 안색에 드러내지는 않았으나 영위(榮衛)가 안에서 삭아져서 항상 실의(失意)한 모습으로 즐거움이 없는 것 같았다.
- ↑ 《헌종실록》 1권, 헌종 즉위년(1834년 청 도광(道光) 14년) 11월 19일 (경진)
대행 대왕과 효명세자의 시호를 정하다 - ↑ 《고종실록》 1권, 고종 즉위년(1863년 청 동치(同治) 2년) 12월 8일 (경진)
대왕대비가 국상 중에 정사를 대리할 사람을 정하고 철종의 뒤를 흥선군의 두 번째 아들로 정하다 - ↑ 《고종실록》 39권, 고종 36년(1899년 대한 광무(光武) 3년) 12월 7일
태조, 장종, 정종, 순조, 익종 황제를 소급하여 높일 묘호와 황제 칭호를 의정하여 상주하다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 한국방송 역사 프로그램〈한국사 전(傳)〉 '춤을 사랑했던 왕세자, 효명' (2008년 6월 7일 방영)
- 익종:네이트 한국학
- 한국예술종합학교, 조선 익종 성균관 입학례 재현 뉴시스 2009년 3월 2일자
- 궁중 유물 '나몰라라'…불타고 찢긴 채 방치 SBS 뉴스
전임 왕세자 공 (순조) |
조선의 왕세자 1812년 ~ 1830년 |
후임 황태자 척 (순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