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대논사

(10대 논사에서 넘어옴)

10대논사(十大論師) 또는 유식 10대 논사(唯識十大論師)는 세친의 《유식삼십송》의 주석서를 저술한 인도 불교유식학의 아래 목록에 나열된 10명의 논사들을 말한다.[1][2][3] 현대 학자들은 인도 불교의 유식학을 총 3기로 나누는데, 제1기는 미륵무착유식학이고 제2기는 세친의 유식학이며 제3기는 유식 10대 논사의 유식학이다.[4]

10대 논사들의 주석서들 중 현존하는 것은 안혜의 《삼십송석론(三十頌釋論)》 뿐이며,[3] 법상종의 소의 논서인 《성유식론》은 호법의 주석을 주로 하고 거기에다 다른 유식 10대 논사의 학설을 취사선택하여 659년에 현장(玄奬)이 번역 · 편집한 것이다.[5]

  1. 호법(護法) 산스크리트어: Dharmapāla
  2. 덕혜(德慧) 산스크리트어: Gunamati
  3. 안혜(安慧) 산스크리트어: Sthiramati
  4. 친승(親勝) 산스크리트어: Bandhuśri
  5. 난타(難陀) 산스크리트어: Nanda
  6. 정월(淨月) 산스크리트어: Śuddhacandra
  7. 화변(火辨) 산스크리트어: Citrabhāna
  8. 승우(勝友) 산스크리트어: Visesamitra
  9. 최승자(最勝子) 또는 승자(勝子) 산스크리트어: Jinaputra
  10. 지월(智月) 산스크리트어: Jñānacandra

참고 문헌

편집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황욱 (1999). 《무착[Asaṅga]의 유식학설 연구》. 동국대학원 불교학과 박사학위논문.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편집
  1. 운허, "十大論師(십대론사)". 2013년 2월 12일에 확인
    "十大論師(십대론사):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을 해석한 인도의 열 논사. (1) 호법(護法). (2) 덕혜(德慧). (3) 안혜(安慧). (4) 친승(親勝). (5) 난타(難陀). (6) 정월(淨月). (7) 화변(火辯). (8) 승우(勝友). (9) 승자(勝子). 지월(智月)."
  2. 곽철환 2003, "십대논사(十大論師)". 2013년 2월 12일에 확인
    "십대논사(十大論師): 세친(世親)의 유식삼십론송(唯識三十論頌)에 대한 주석서를 저술한 인도의 열 명의 논사.
    (1) 호법(護法). 산스크리트어 dharmapāla 530-561. 남인도 달라비도국(達羅毘荼國) 출신의 승려. 마갈타국(摩竭陀國)의 나란타사(那爛陀寺)에서 경론(經論)을 강설하고, 29세에 대보리사(大菩提寺)에 은둔하여 수행하면서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의 주석서를 지음. 32세에 입적함. 현장(玄奘)이 번역한 성유식론(成唯識論)은 그의 주석을 중심으로 하고, 다른 9명의 논사의 견해를 취사선택하여 하나의 논서로 편집한 것임. 저서 : 대승광백론석론(大乘廣百論釋論)·성유식보생론(成唯識寶生論)·관소연론석(觀所緣論釋).
    (2) 덕혜(德慧). 산스크리트어 guṇamati 5세기 말-6세기 초. 남인도 출신의 승려. 나란타사(那爛陀寺)에 머물고, 서인도 벌랍비국(伐臘毘國)의 아절라가람(阿折羅伽藍)에서 여러 논서를 지음. 저서 : 수상론(隨相論).
    (3) 안혜(安慧). 산스크리트어 sthiramati 510년경-570년경. 남인도 나라국(羅羅國) 출신의 승려로, 유식학(唯識學)과 인명(因明)에 정통함. 덕혜(德慧)의 제자. 저서 :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毘達磨雜集論)·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대승중관석론(大乘中觀釋論)·구사실의소(俱舍實義疏)·유식삼십송석(唯識三十頌釋, triṃśikāvijñaptibhāṣya).
    (4) 친승(親勝). 산스크리트어 bandhuśrī 4-5세기. 행적은 전하지 않음.
    (5) 난타(難陀). 산스크리트어 nanda 6세기경. 행적은 전하지 않음.
    (6) 정월(淨月). 산스크리트어 śuddhacandra 6세기경. 행적은 전하지 않음.
    (7) 화변(火辨). 산스크리트어 citradhāna 5세기경. 행적은 전하지 않음.
    (8) 승우(勝友). 산스크리트어 viśeṣamitra 생몰년 미상. 나란타사(那爛陀寺)의 승려로, 호법(護法)의 제자.
    (9) 최승자(最勝子). 산스크리트어 jinaputra 생몰년 미상. 호법(護法)의 제자. 저서 : 유가사지론석(瑜伽師地論釋).
    (10) 지월(智月). 산스크리트어 jñānacandra 생몰년 미상. 나란타사(那爛陀寺)의 승려로, 호법(護法)의 제자."
  3. 星雲, "十大論師". 2013년 2월 12일에 확인
    "十大論師: 註釋世親「唯識三十頌」之十位論師。全稱唯識十大論師,又作十論匠。即:(一)護法,梵名 Dharmapāla(音譯達磨波羅)。(二)德慧,梵名 Gunamati(音譯窶拏末底)。(三)安慧,梵名 Sthiramati(音譯悉恥羅末底)。(四)親勝,梵名 Bandhuśri(音譯畔徒室利)。(五)歡喜,梵名 Nanda(音譯難陀)。(六)淨月,梵名 Śuddhacandra(音譯戍陀戰達羅)。(七)火辨,梵名 Citrabhāna(音譯質呾羅婆拏)。(八)勝友,梵名 Visesamitra(音譯毘世沙密多羅)。(九)勝子,梵名 Jinaputra(音譯辰那弗多羅)。(十)智月,梵名 Jñānacandra(音譯若那戰達羅)。
     以上諸論師之立義互有不同,於種子論,難陀等主新熏說,護月(非十大論師)等主本熏說,護法則主本有新熏合生說。又於四分說,火辨與陳那(非十大論師)共立三分說,親勝、德慧等唱二分說,安慧取一分說,難陀、淨月等主二分說。以上二種論點,以護法、安慧二師之說最有力,後來亦分別由玄奘、真諦傳至我國。據傳成唯識論係合糅十大論師釋論之作,主要乃依據護法之說,即明顯屬護法系之著作。
     然諸師釋論中,現傳者唯存安慧之三十頌釋論(梵 Trijśikā-bhāsya,梵本、藏譯本皆存)。〔成唯識論述記卷一本、成唯識論掌中樞要卷上本〕"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823DTITLEA4QA4jBDD7AEv 十大論師]". 2013년 2월 12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4. 황욱 1999, 16–17쪽
    "유식학에서는 그 학설의 내용에 따라 인도의 유식학을 3기로 나누어 설명하기도 한다. 제1기는 미륵과 무착의 유식학을 말하고, 제2기는 세친의 유식학을 말하며, 제3기는 護法[Dharmapāla]과 安慧[Sthitamati] 등 十大論師들의 유식학을 의미한다. 한편 제1기와 제2기를 합쳐서 初期唯識學이라고도 부른다.45)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처음으로 유식학의 이론적 체계를 세운 무착이 유식학에 끼친 공헌은 실로 대단한 것이다. 그것은 미륵이 실존인물인지 아니면 무착 자신인가에 대한 논란과는 별개로 그가 유식학의 주창자로 자리매김 되어도 조금도 부족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식사상은 신앙적인 면에서 볼 때에는 미륵이 始祖이지만, 실제적이고 역사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무착이 시조라 해도 틀림이 없는 것이다.
    45) 吳亨根, 「初期唯識의 心意識思想과 八識思想 硏究」, 《唯識과 心識思想 硏究》(서울: 佛敎思想社, 1989), pp.14~15 참조. 이에 의하면 “제1기의 유식학은 초창기의 유식학으로서 후세의 발달된 유식학에 비하여 원시적인 학설로 취급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대의 유식학을 原始唯識期라고도 하며 이때의 주요 논서는 《유가사지론》과 《섭대승론》·《현양성교론》과 《대승아비달마집론》 등을 들 수가 있다. 다음 제2기의 유식학은 세친논사가 무착과 미륵의 유식학을 잘 정리하고 조직화한 것을 말하는데 이때의 유식학을 組織唯識學이라고도 한다. 이 組織唯識學의 대표적인 논서는 《대승백법명문론》과 《유식삼십론송》을 들 수가 있다. 그리고 다음 제3기의 유식학은 세친논사 이후에 호법과 안혜 등 십대논사들이 세친의 《唯識三十論》을 훌륭한 이론으로 주석하여 유식학을 크게 발달시킨 시기로 이때의 유식학을 發達唯識期라고 한다. 이때의 대표적인 저술로 《유식삼십론송》을 주석한 《成唯識論》을 들 수 있으며, 《성유식론》은 중국에서 번역되어 法相宗의 宗學에 크게 이바지한 논서이기도 하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5.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성유식론,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성유식론: 成唯識論 원명을 비즈냐프티마트라타싯디 샤스트라(Vijnaptimatratasiddhi­sastra)라고 하며, 세친(世親:320∼400경)의 저작이다.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에 호법(護法, 530∼600?)이 주석을 가한 것을 주로 하고 거기에다 다른 유식10대논사(唯識十大論師)의 학설을 취사선택하여 659년에 현장(玄奬)에 의하여 번역 편집된 것으로서, 10권으로 되어 있으며 불역(佛譯)도 있다. 유식설(唯識說)은 중기 대승불교의 유가행자(瑜伽行者)라고 불리는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하여 미륵(彌勒)·무착(無着)·세친(世親)에 의하여 계승되고 체계화된 학설로서, 일체의 식(識)은 표현이며 유식(唯識)만이 진실이고 외계의 대상은 실유(實有)가 아니다(唯識無境)라고 하는 것이 불교 무아설(無我說)의 귀결이라고 주장한다. 본론(本論)도 이런 입장에서 우선 외도(外道)의 설을 논파(論破)하고 이어서 대상을 낳는 주체(主體)인 아라야식, 아법2집(我法二執)의 근원이 되는 마나식, 6가지 요별작용(了別作用)을 하는 6식(六識)을 분명히 하고 나아가 제법(諸法)을 성격상으로 나눈 3성(三性)과 3성이 공(空)임을 나타내는 삼무성(三無性)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유식수행(唯識修行)의 해위(楷位)로서 5위(五位)의 상을 설명하는 것으로 끝을 맺었다. 중국과 일본의 법상종(法相宗)은 이 논에 기하여 세워진 종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