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년 하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1908년 하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은 1908년 하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경기에서 채택된 4개 세부종목 중 하나이다. 각 선수당 3명까지 출전이 허용되었다.[1]
1908년 하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 ||||||||||
---|---|---|---|---|---|---|---|---|---|---|
개최국 | 영국 | |||||||||
개최 도시 | 런던 | |||||||||
개최 기간 | 1908년 10월 28일~10월 29일 | |||||||||
참가국 | 3개국 | |||||||||
참가 선수 | 5명 | |||||||||
메달리스트 | ||||||||||
| ||||||||||
1920년 » |
강력한 경쟁상대였던 제니 허츠와 릴리 크론버거가 대회에 불참한 가운데 영국의 매지 사이언스가 손쉽게 금메달을 차지하였다.[2]
경기 방식
편집각 선수는 일련의 필수 동작을 마쳐야 했다. 필수동작에서 획득할 수 있는 최대점수는 168점이었다. 동작의 종류는 총 6개로, 양방향으로 선보이는 동작이 5개, 한 방향인 동작이 1개였으므로 총 11개였다. 각 동작은 세 번씩 반복하였으며, 동작마다 0점에서 6점까지(0.5점 단위)의 점수를 부여한 뒤, 해당 동작의 난이도 계수를 곱해 점수를 매겼다.
이후 각 선수는 4분 동안의 프리 동작을 선보였으며 최대점수는 108점이었다. 채점기준은 (a) 내부구성 (난이도와 다양성), (b) 연기의 두가지 기준이 있었으며 각각 0점부터 6점까지의 점수를 부여했다. 이렇게 도출된 총점에 9를 곱하였다.
두 점수를 더한 최대 총점은 276점이었으며, 이 총점 순으로 심사위원단이 각 선수의 순위를 정하고, 그 순위를 참고하여 심사위원 중 과반수가 한 팀을 1위로 선정하면 그 팀이 우승하는 방식으로 최종순위를 정했다. 과반수가 없는 경우에는 각 심사위원단이 매긴 순위의 총점이 낮은 순으로 결정하였으며, 그럼에도 동점으로 나올 경우에는 심사위원이 매긴 점수의 총점으로 승부를 가렸다.[3]
경기 결과
편집심사위원단은 매지 사이어스를 만장일치로 1위로 선정하고 금메달을 수여했다. 2위에는 심사위원 과반수 (5명 중 4명)로부터 2위로 선정된 렌트슈미트가 은메달을 차지하였다. 그린하우스미스는 2위와 함께 과반수(5명 중 3명)로부터 3등을 받아 동메달을 획득했다.
스웨덴의 엘나 몬트고메뤼 선수가 심사위원 5명 중 4명으로부터 4위로 평가되어 그대로 4위를 차지했다. 마지막으로 영국의 그웬돌린 리세트 선수가 심사위원 가운데 1명만 3위, 나머지 4명은 5위로 평가받아 최하위를 차지했다.
순위 | 선수 | 국가 | 점수 (순위) | 평균점수 | 필수 | 프리 | 순위총점 | ||||
---|---|---|---|---|---|---|---|---|---|---|---|
HF | EH | GH | GS | HW | |||||||
매지 사이어스[4] | 영국 | 225.5 (1) |
236 (1) |
266.5 (1) |
262 (1) |
242.5 (1) |
252.5 | 1 | 1 | 5 | |
엘사 렌트슈미트 | 독일 | 201.5 (3) |
211 (2) |
211 (2) |
211.5 (2) |
220 (2) |
211.0 | 2 | 2 | 11 | |
도로시 그린하우스미스 | 영국 | 210 (2) |
206.5 (3) |
182 (4) |
180.5 (3) |
181.5 (3) |
192.1 | 3 | 3 | 15 | |
4 | 엘나 몬트고메뤼 | 스웨덴 | 167.5 (4) |
166.5 (4) |
174.5 (5) |
170 (4) |
173 (4) |
170.3 | 4 | 5 | 21 |
5 | 그웬돌린 리세트 | 영국 | 164 (5) |
152 (5) |
187.5 (3) |
160 (5) |
156.5 (5) |
164.0 | 5 | 4 | 23 |
심판
심사위원
각주
편집- ↑ Official Report, p. 39.
- ↑ “Figure Skating at the 1908 Summer Olympics: Singles, Women”. 《Olympedia》. 2020년 7월 1일에 확인함.
- ↑ Official Report, pp. 558–65.
- ↑ Hines, James R. (2011). 《Historical Dictionary of Figure Skating》. Lanham, Maryland: Scarecrow Press. xxi쪽. ISBN 978-0-8108-68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