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독일 총선은 1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11월 혁명의 결과로 수립된 바이마르 공화국의 제헌의회 총선으로, 최초로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으며, 여성들의 참정권이 인정되고 선거연령이 25세에서 20세로 낮아졌었다. 투표율은 83%를 기록했다.
|
1919년 독일 총선
|
|
|
선출의석: 423 과반의석: 212
|
투표율
|
83.0% ( 1.9 pp)
|
|
제1당
|
제2당
|
제3당
|
|
|
|
|
지도자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필리프 샤이데만 |
아돌프 그로버 |
프리드리히 폰 파이에르
|
정당
|
독일 사회민주당
|
독일 중앙당
|
독일 민주당
|
지도자 취임
|
1919년 |
1917년 |
1918년
|
획득한 의석수
|
165석 |
91석 |
75석
|
득표수
|
11,516,852 |
5,980,259 |
5,643,506
|
득표율
|
37.9% |
19.7% |
18.5%
|
|
|
제4당
|
제5당
|
제6당
|
|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bottom: 6px solid 독일 정당색 목록을 확인해 주세요"|
|
지도자
|
아르투르 폰 포사도프스키-베흐너
|
휴고 헤세
|
루돌프 하인츠
|
정당
|
독일 국가인민당
|
독립사회민주당
|
독일 인민당
|
지도자 취임
|
1919년
|
1917년
|
1919년
|
획득한 의석수
|
44석
|
22석
|
19석
|
득표수
|
3,121,541
|
2,319,235
|
1,345,712
|
득표율
|
10.3%
|
7.6%
|
4.4%
|
|
|
|
1919년 독일제국 총선
투표율 83%
37.9%
19.7%
18.5%
10.2%
7.6%
4.4%
정당
|
득표수
|
%
|
의석수
|
1919년 1월 19일
|
독일 사회민주당
|
11,509,048
|
37.86
|
163
|
독일 중앙당
|
5,980,216
|
19.67
|
91
|
독일 민주당
|
5,641,825
|
18.56
|
75
|
독일 국가인민당
|
3,121,479
|
10.27
|
44
|
독립사회민주당
|
2,317,290
|
7.62
|
22
|
독일 인민당
|
1,345,638
|
4.43
|
19
|
바이에른 농민동맹
|
275,125
|
0.91
|
4
|
독일-하노버당
|
77,226
|
0.25
|
1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농민과 농민노동자 민주당
|
57,913
|
0.19
|
1
|
브라운슈바이크주 선거 협회
|
56,858
|
0.19
|
1
|
메클렌부르크 마을 동맹
|
10,891
|
0.04
|
0
|
독일 평화당
|
3,503
|
0.01
|
0
|
독일 공무원, 고용인, 중산층당
|
1,438
|
0.00
|
0
|
기독교사회당
|
664
|
0.00
|
0
|
중산층당
|
640
|
0.00
|
0
|
독일 사회 귀족
|
279
|
0.00
|
0
|
민주 중산층당
|
208
|
0.00
|
0
|
사회개혁당
|
45
|
0.00
|
0
|
기권/무효
|
124,562
|
–
|
–
|
합계
|
30,524,848
|
100
|
421
|
등록유권자/투표율
|
37,362,100
|
83.02
|
–
|
1919년 2월 2일 – 동부의 장병들 대표
|
독일 사회민주당
|
7,804
|
60.04
|
2
|
독립사회민주당
|
1,945
|
14.96
|
0
|
독일 민주당
|
1,681
|
12.93
|
0
|
무소속 명단
|
1,389
|
10.69
|
0
|
독일 인민당
|
74
|
0.57
|
0
|
독일 국가인민당
|
62
|
0.48
|
0
|
독일 중앙당
|
43
|
0.33
|
0
|
기권/무효
|
390
|
–
|
–
|
합계
|
13,388
|
100
|
2
|
출처: Nohlen & Stöver, Gonschior.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