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하계 올림픽
1980년 하계 올림픽(영어: 1980 Summer Olympics, Games of the XXII Olympiad, 러시아어: Летние Олимпийские игры 1980)은 1980년 7월 19일부터 8월 3일까지 소련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제22회 하계 올림픽이다.
1980년 하계 올림픽 | |||
---|---|---|---|
대회 | 제22회 하계 올림픽 경기 대회 | ||
개최국 | 소련 | ||
개최 도시 | 모스크바 | ||
참가국 | 80개국 | ||
참가 선수 | 5179명 (남자: 4064명, 여자: 1115명) | ||
경기 종목 | 21개 종목, 203개 세부 종목 | ||
개막식 | 1980년 7월 19일 | ||
폐막식 | 1980년 8월 3일 | ||
개회 선언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의장 | ||
선수 선서 | 니콜라이 안드리아노프 | ||
심판 선서 | 알렉산드르 메드베디 | ||
성화 점화 | 세르게이 벨로프 | ||
주경기장 | 레닌 중앙경기장 | ||
하계 올림픽 | |||
|
투표 결과
편집1974년 10월 23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결정되었다.
개최지 투표 결과 | ||||||
---|---|---|---|---|---|---|
후보 도시 | NOC | 투표 | ||||
모스크바 | 소련 | 39 | ||||
로스앤젤레스 | 미국 | 20 |
참가국
편집앙골라, 보츠와나, 키프로스, 라오스, 요르단, 모잠비크, 세이셸 7개국이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1980년 하계 올림픽 참가국과 인원은 다음과 같다. 이탤릭체로 표기된 참가국은 오륜기,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기를 앞세우고 참가한 국가를 의미한다.
참가국 및 인원 목록 |
---|
|
- 라이베리아도 7명의 선수단을 파견하였으나, 개막식 후 보이콧에 동참하여 기권하였다.
보이콧
편집보이콧한 국가들
편집미국의 지미 카터 대통령은 미국이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에 불참한다고 선언했다. 이에 몇몇 서방권 국가들이 미국의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 보이콧에 동조하면서 참가를 완전히 거부하거나 개인 자격의 선수만 파견하면서 "반쪽 대회"라는 오명이 붙었다.
이외에도 미국의 주도와는 별개로 자국의 정치적 명분으로 불참한 나라도 있었으며 일부 국가는 국기 대신 오륜기나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기를 내세워 개인 자격으로 참가했다. 또한 미국 정부의 요청으로 올림픽 폐막식 때 게양되었던 차기 개최국의 국기가 사상 처음으로 성조기가 아닌 개최 도시인 로스앤젤레스의 기로 대체되어 게양되었다. 로스앤젤레스의 기가 게양되는 동안에는 미국 국가 대신 올림픽 찬가가 연주되었다.
참가 하였으나 개인 자격으로 참가한 국가들
편집다음 국가는 개인자격으로 대회에 참가하였으나 오륜기로 참가한 국가들이다.
-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 자격으로 참가한 국가
종목
편집메달 집계
편집- 기울임꼴 : 1980년 하계 올림픽에 불참한 국가의 개별 참가자. 금메달 수여 시 올림픽기나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기가 게양되고 국가가 연주되지 않았다.
순위 | 국가 | 합계 | |||
---|---|---|---|---|---|
1 | 소련 (URS) | 80 | 69 | 46 | 195 |
2 | 동독 (GDR) | 47 | 37 | 42 | 126 |
3 | 불가리아 (BUL) | 8 | 16 | 17 | 41 |
4 | 쿠바 (CUB) | 8 | 7 | 5 | 20 |
5 | 이탈리아 (ITA) | 8 | 3 | 4 | 15 |
6 | 헝가리 (HUN) | 7 | 10 | 15 | 32 |
7 | 루마니아 (ROU) | 6 | 6 | 13 | 25 |
8 | 프랑스 (FRA) | 6 | 5 | 3 | 14 |
9 | 영국 (GBR) | 5 | 7 | 9 | 21 |
10 | 폴란드 (POL) | 3 | 14 | 15 | 32 |
이모저모
편집- 유로비전, 소련의 방송국들, 인터비전 등이 주요 중계 방송사였다.
- IOC에 소련이 제출한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올림픽 준비에 총 8억 6279만 루블이 투입되었고, 총 7억 4480만 루블을 벌었다.
- 소련의 알렉산드르 디트야틴이 체조에서 금메달 3개를 포함하여 총 8개의 메달을 획득해 한 올림픽 대회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하였다.
-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각각 금메달 3개를 획득한 여자 체조 선수 루마니아의 나디아 코마네치와 소련의 한국계 체조 선수 넬리 킴이 각각 2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두 선수는 마루 종목에서는 공동으로 금메달을 수상하였다.
- 소련의 블라디미르 사르니코프가 수영에서 3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 소련의 울라드지미르 파르피아노비치가 카누에서 총 3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 에티오피아의 미루츠 이프테르가 육상 5000m 와 10000m에서 우승했다.
- 동독의 발데마르 치르핀스키가 남자 마라톤에서 올림픽 사상 두 번째로 마라톤 2연패에 성공했다.
- 쿠바의 테오필로 스테벤손이 복싱 헤비급 3연속 금메달을 획득했다.
- 여자 필드하키가 처음으로 올림픽 종목이 되었다. 오스트리아, 인도,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짐바브웨, 소비에트 연방 등 6개 국가가 출전하였고, 짐바브웨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남자 필드하키에서는 인도가 이 종목에서 8번째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 2004년 하계 올림픽까지 금메달 행진을 이어 간 동독의 (1990년 독일로 흡수통일) 비르기트 피셔가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 대한민국의 서울의 봄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이후 관계로 대한민국 선수단 불참으로 인해 언론사 전면 통제되었다.
- 일본 선수단 불참으로 인한 ANN(TV아사히·아사히 방송) 가맹국의 단독 중계하였다.
각주
편집외부 링크
편집하계 올림픽 | ||
이전 대회 | 1980년 하계 올림픽 모스크바 1980 |
다음 대회 |
몬트리올 1976 | 로스앤젤레스 19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