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6년 영월 지진
1996년 영월 지진은 1996년 12월 13일 오후 1시 10분 17초에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정선군에서 일어난 규모 4.5의 지진이다. 이 지진은 대한민국 전역에서 감지되었으며 진앙지 주변에서는 MMI 최대 VII의 진도가 감지되었다.[3] 대한민국 기상청은 영월 지진의 진앙 위치를 37.20°N, 128.80°E (정선군 사북읍 사북리)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37.2518°N, 128.7113°E (정선군 신동읍 방제리)로 발표하였다.[4]
본진 | |
---|---|
UTC 시각 | ?? |
ISC 지진번호 | |
USGS-ANSS | |
발생일 * | 1996년 12월 13일 |
발생시간 * | 오후 1시 10분 17.3초 (KST)[1] |
현지일 | |
현지시간 | |
규모 | 리히터 규모[1] 4.5 |
최대 진도 | 진도 최대 VII[3] : 강원도 영월군[1] |
진원 깊이 | 8.8 km |
진앙 | 북위 37° 12′ 동경 128° 48′ / 북위 37.2° 동경 128.8° [1][2] |
지진 피해
편집지진의 진앙 깊이가 얕아, 규모 4.5의 지진의 감지 범위는 보통 100 km 정도인데 반해 이 지진은 감지 범위가 약 450 km 정도나 되어,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느껴졌다. 정선군에서는 신동읍사무소의 직원이 놀라 대피하고 예미리 일부 가옥에서 담장이 무너지는 피해가 있었다.[5] 인근 지역인 중동면과 동면 등에서도 벽에 균열이 생기고 유리창이 깨지며 낙석이 일어나는 등의 피해가 있었다. 옥동초등학교, 예미초등학교 등지에서 벽에 균열이 생겼다. 이 지진은 대한민국 전 지역에서 감지되었으며 영월군 중동면, 신동읍, 정선군 남면 일부 지역에서 최대진도 VII이 감지되었다.[3]
감진지역 | 피해 및 감진정도 | |
---|---|---|
영월군 | 영월읍 | 내성초등학교 보와 벽체 사이 미세 균열 |
중동면 | 석항리 연산초등학교 교실 벽 다수 균열, 천장텍스 추락, 지구본 파손, 석항우체국 벽 균열, 화장실 타일 1개 파손 농협 연쇄점 유리창에 금이 가고 물건 낙하, 중동면 석항출장소 벽에 세로 균열 석항휴게소 기사식당 실내외 벽 균열. 석항리 민가 가옥 블록 벽 균열(10~20 cm), 지붕 용마루, 슬레이트 낙하, 집지붕 수직으로 진동 외룡리 옥동천변 자갈벽이 3 m정도 붕괴, 옥동리 하동면사무소 기둥 외벽 시멘트 낙하, 실내벽 세로 균열, 옥동초등학교 실내외벽 균열 | |
상동읍 | 내덕리 내덕초등학교 : 벽 미세균열 | |
정선군 | 신동읍 | 덕천리 연포분교 교실벽 수십군데 균열, 천포리 조립식 담 5 m 붕괴, 가옥 지붕기와 일부 낙하 예미리 의림상회 벽 균열, 천장텍스 일부 파손, 예미초등학교 복도, 계단, 교실, 벽 수십군데 균열, 천장텍스 일부 파손, 관사 외벽벽돌 낙하, 폐가 조립식 담 붕괴 신동읍사무소 1층 사무실 벽이음새 수직 균열, 지하실 벽 균열, 조동리 지붕기와 일부 낙하, 외벽 일부 균열 함백초등학교 교실벽 미세균열, 함백고등학교 2층 신축건물과 구건물 이음새 균열 (약 1 cm), 교실벽 균열 함백중학교 화장실 타일 낙하, 함백여자중학교 교실내 균열 (4개소), 예미리 앞산 서쪽 낙석 |
정선읍 | 정선중학교 수십개소 미세 균열 발생 | |
남면 | 심한 진동과 함께 가옥 미세균열 및 창문 파손, 문곡중학교 기둥 이음새 및 벽 균열, 문곡리 남면사무소 외벽타일 낙하, 문곡1리 액자, 꽃병 낙하 광덕리 일반가옥 균열, 문틈 벌어짐, 광탄-남창간 낙석, 무능3리 큰 폭발음과 함께 문이 열렸다 닫혔다 하면서 유리창 파손 | |
고한읍 | 고한리 고한여자중학교 교실 4층 미세균열, 유리창 파손, 고한초등학교 체육관 균열 | |
북면 | 여량리 여량중학교 2, 3층 교실 내 수개소 미세균열 | |
동면 | 몰운리 테이블 위 유리 파손, 선동초등분교 1층 수십군데 균열, 덕우리 봉양초등학교 미세균열 화암리 단층집 흙벽 붕괴, 1층 벽돌집 유리창 파손, 여관 옆 식당건물 기와가 내려앉음, 식당 선반위 물건 낙하, 화암장 사람들이 모두 뛰어나옴 화암리 동면사무소 수십군데 벽 균열, 천장 석고보드 및 스피커 낙하, 우체국 벽에 미세균열, 천정 어긋남, 문곡-무능리 간 낙석 | |
사북읍 | 건물이 심하게 흔들리는 매우 강한 지진동, 책상 위 물컵이 1분간 왔다갔다 이동, 유리창 일부 파손 | |
강원도 | 강릉시 | 옥계면에서 지진동 세게 느껴짐, 아파트 4층에서 벽시계가 앞뒤로 진동, 초당동 건물창문이 진동, 방바닥이 2~3회 진동 |
삼척시 | 밖에 덤프트럭이 지나가는 것과 같이 건물이 10초 이상 심하게 진동, 유리창 진동, 하장면 갈전리에서 웅 하면서 건물과 유리창이 심하게 진동, 선반 물건 낙하 근덕면 용화리에서 10초이상 집과 창문이 심하게 진동, 집이 흔들리는 것이 눈에 보임, 원덕읍 원덕리에서 꽝 소리와 함께 건물과 창문이 심하게 진동 | |
동해시 | 건물과 창문 진동, 꽃병, 화분, 어항 진동, 북평동 유리 낙하, 현대아파트 화분 요동 | |
정선군 | 발이 떨릴 정도로 큰 진동, 동호호텔 엘레베이터 안에서 심한 진동 감지 | |
평창군 | 건물 창문 심하게 진동, 커피잔의 물 쏟아짐, 발밑으로 땅속에 큰 물건이 굴러가는 듯한 느낌 용평면 면사무소 건물과 창문이 10초간 좌우로 심하게 진동, 방바닥이 좌우로 진동 진부면 하진부리에서 웅 하면서 10초간 건물과 창문이 심하게 진동 | |
영월군 | 한전 : 폭파하듯이 울리면서 건물이 좌우 진동, 벽선반 물건 낙하 | |
원주시 | 단계동에서 세워놓은 철제 집기 진동, 꽝 소리와 함께 창문 진동, 행구동에서 책상이 수직 진동하는 느낌, 단구동에서 책상, 창문과 가구 문짝이 진동 | |
인제군 | 창문 진동, 남면 신남리 2층집 TV위 화분이 흔들림, 밖에 탱크가 지나가는 듯한 진동, 창문과 나무 진동 | |
철원군 | 2-3층 건물과 창문 진동, 4층건물 군청의 탁상시계가 넘어짐 | |
춘천시 | 고층아파트-창문 진동, 휘청하는 느낌, 건물 외부의 사람도 어지러울 느낌, 주전자가 넘어져 물이 쏟아짐, 3층 시청건물이 매우 흔들림, 창문과 진열된 물건이 소리내어 흔들림 | |
속초시 | 기상대 : 창문이 가볍게, 고층아파트가 휘청하는 느낌 | |
고성군 | 옆에 차 지나가는 정도로 느낌 | |
홍천군 | 건물이 심하게 흔들리고 창문이 진동함. 불안정한 물건이 선반에서 낙하 | |
횡성군 | 군청사무소 건물과 창문이 10여초 이상 수평으로 진동 | |
충북 | 제천시 | 시청 창문이 흔들리고 커피잔과 냄비가 흔들리며 아파트가 무너지는 느낌의 진동, 집 전체와 방바닥이 굉장히 심하게 진동, 신월동사무소 의자가 좌우로 10 cm 정도 이동하면서 흔들림 |
단양군 | 건물이 심하게 흔들리고 도로공사 패널이 넘어짐, 꽝 하는 소리와 함께 읍사무소 건물과 창문이 심하게 진동해 모두 놀라 뛰어나옴 가스폭발하듯이 큰 소리가 났으며 아스팔트 도로에 균열이 가고 군청 건물과 창문이 진동 | |
충주시 | 시청 벽 균열, 3-4층 건물이 매우 흔들려 놀라 밖으로 뛰어나감, 아파트 14층 베란다 쪽 큰 창문이 1-2분간 진동 충주시외버스터미널 건물이 흔들려 사람들이 뛰어나옴 | |
청주시 | 건물 전체가 심하게 흔들림, 탁자 위 음료수 심하게 흔들림, 고층아파트 난화분이 넘어지고 석유난로 자동소화, 물컵의 수면이 10초간 진동 | |
보은군 | 기상대 건물이 10초간 심하게 진동 | |
옥천군 | 기상대 건물이 10초간 심하게 진동, 깜짝 놀랄 정도로 학교 건물이 심하게 진동 | |
영동군 | 집과 기상대 건물이 진동 | |
대전광역시 | 도마동 사무실 건물이 큰 소리와 함께 심하게 진동, 둔산동에서 선반 위 TV와 책상 위 컴퓨터 흔들림, 월평동 아파트에서 진동이 심해 깜짝 놀람 비래동에서 벽이 소를 내며 진동하고 창문이 심하게 흔들려 공포를 느낌, 용전동에서 꽝 소리와 함께 2~3초 심한 진동 후 2차 흔들림이 강하게 느껴짐 정림동에서 선반 위 가벼운 물건 낙하, 옥외에서 승용차가 휘청함 |
단층과의 관계
편집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이 지역은 옥천 습곡대와 평행 또는 사교(斜交)하는 각동 단층과 옥동 단층 사이 북동 내지 북북동(N10~20°E) 주향의 단층대에 속하는 곳으로 이들 단층의 최초 형성시기는 상부 고생대로 추정되며, 단층대를 따라 중생대의 대동층군을 변형시킨 것으로 보아 중생대에 활동한 것으로 분석되나 지진활동을 보아 향후 큰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설명하였다.[6] 진원 단층의 방향은 스러스트가 포함된 주향 이동 단층이며 진원 단층의 방향은 주향 180±20°, 경사 50±5°, 면선각 150±5° 또는 주향 292±3°, 경사 65±5°, 면선각 30±10°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응력의 주 압축 방향은 동북동-서남서 경향을 가진다. 영월 지진의 진앙 부근에는 단곡 단층과 같이 북동 10~20°주향의 단층 또는 선상구조가 분포한다.[7]
단층 면해
편집지진의 발진기구는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주 압력에 의하여 발생한 남-북 방향의 주향 성분이 우세한 역단층임이 밝혀졌다.[7]
지역별 진도
편집주요 지역별 MM진도는 다음과 같다.
진도 | 지역 |
---|---|
VII | 영월, 정선 일부 지역 |
V | 강릉, 동해, 삼척, 원주, 홍천, 춘천 |
IV | 포항, 경주, 밀양, 산청, 진주, 부산, 남원, 광주, 서울, 인천 |
III | 영광, 무안, 보성, 순천, 여수, 울산 |
II | 목포, 해남, 완도, 제주도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1978-2000 지진관측보고” (PDF) (보도 자료). 대한민국 기상청. 2001년 3월. 131쪽. 2021년 5월 3일에 확인함.
- ↑ [1] 정선군 사북읍 남쪽과 영월군 상동읍 경계 지역이다.
- ↑ 가 나 다 라 경재복; 이기화 (1996년). “1996년 12월 13일 영월지진의 피해 및 진도 분석 (Analysis on the Damage and Intensity of the 13 December 1996 Yeongweol Earthquake)”.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6 (3): 165-184.
- ↑ “1996년 12월 13일 ML 4.5 영월 지진의 지진원 상수”.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2009년.
- ↑ “1978-2000 지진관측보고” (PDF). 대한민국 기상청.
- ↑ 지헌철 (1997년). “경상분지에서의 지진연구 (IV)”.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가 나 박창업; 신진수; 지헌철; 강익범; 류용규 (1998년). “1996년 12월 13일 영월지진의 진원단층면 방향 (Fault plane solutions of the December 13, 1996 Yeongweol earthquake)”. 《지구물리학회》 1 (1): 2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