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하계 올림픽 배구
제31회 하계 올림픽 배구 경기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8월6일부터 21일까지 열렸다. 남녀 배구 24개 팀과 비치발리볼 48개 팀의 선수 384명이 대회에 참가했다. 실내 경기는 마라카낭지뉴 경기장에서, 비치발리볼은 코파카바나 해변에서 열렸다.[1][2]
2016년 하계 올림픽 배구 | |
---|---|
![]() Voleibol nos Jogos Olímpicos de 2016 | |
개최국 | ![]() |
개최 도시 | 리우데자네이루 |
개최 기간 | 2016년 8월 6일 ~ 21일 |
경기장 | 지나시우 두 마라카나지뉴 (실내 경기)
코파카바나 해변 (비치발리볼) |
참가 선수 | 384명 |
세부 종목 | 4개 종목 (남자: 2개, 여자: 2개) |
« 2012 2020 » |
2016년 하계 올림픽 배구 | ||||
---|---|---|---|---|
배구![]() | ||||
경기 | 남자 | 여자 | ||
선수 명단 | 남자 | 여자 | ||
비치발리볼![]() | ||||
경기 | 남자 | 여자 |
세부 종목
편집아래 종목에서 각각 메달이 수여된다.
- 남자 배구 (12 팀, 144명)
- 여자 배구 (12 팀, 144명)
- 남자 비치발리볼 (24 팀, 48명)
- 여자 비치발리볼 (24 팀, 48명)
예선
편집남녀 배구는 주최국과 2015년 월드컵 배구 대회 성적 상위 2개 팀을 뺀 나머지 팀들이 대륙별 예선전과 세계 예선전을 거쳐 국가 올림픽 위원회당 한 팀씩 참가했다. 비치발리볼은 주최국, 2015년 세계선수권 1위, 세계 순위 상위 15개팀, 각 대륙컵 우승팀, 세계 예선 1-2위팀이 국가별로 최대 2팀까지 본선에 참가했다.[3][4][5]
남자 예선
편집남자 배구 예선 통과 국가 목록이다.
본선 진출 자격 | 날짜 | 장소 | 할당 | 국가 |
---|---|---|---|---|
주최국 | 2009년 10월2일 | 덴마크 코펜하겐 | 1 | 브라질 |
2015년 월드컵 1-2위 | 2015년 9월8~23일 | 일본 | 2 | 미국 |
이탈리아 | ||||
남미 대표 | 2015년 10월9~11일 | 베네수엘라 마이케티아 | 1 | 아르헨티나 |
유럽 대표 | 2016년 1월5~10일 | 독일 베를린 | 1 | 러시아 |
북중미 대표 | 2016년 1월8~10일 | 캐나다 에드몬턴 | 1 | 쿠바 |
아프리카 대표 | 2016년 1월7~12일 | 콩고 브라자빌 | 1 | 이집트 |
아시아·오세아니아 대표 | 2016년 5월28일~6월5일 | 일본 도쿄 | 1 | 이란 |
세계 예선1 상위팀 | 3 | 폴란드 | ||
프랑스 | ||||
캐나다 | ||||
세계 예선2 1위 | 2016년 6월3~5일 | 멕시코 멕시코시티 | 1 | 멕시코 |
합계 | 12 |
여자 예선
편집여자 배구 예선 통과 국가 목록이다.
본선 진출 자격 | 날짜 | 장소 | 할당 | 국가 |
---|---|---|---|---|
주최국 | 2009년 10월2일 | 덴마크 코펜하겐 | 1 | 브라질 |
2015년 월드컵 1-2위 | 2015년 8월22일~9월6일 | 일본 | 2 | 중화인민공화국 |
세르비아 | ||||
유럽 대표 | 2016년 1월4~9일 | 튀르키예 앙카라 | 1 | 러시아 |
북중미 대표 | 2016년 1월7~9일 | 미국 링컨 | 1 | 미국 |
남미 대표 | 2016년 1월6~10일 | 아르헨티나 바릴로체 | 1 | 아르헨티나 |
아프리카 대표 | 2016년 2월12~16일 | 카메룬 야운데 | 1 | 카메룬 |
아시아·오세아니아 대표 | 2016년 5월14~22일 | 일본 도쿄 | 1 | 일본 |
세계 예선1 상위팀 | 3 | 이탈리아 | ||
네덜란드 | ||||
대한민국 | ||||
세계 예선2 1위 | 2016년 5월20~22일 | 푸에르토리코 산후앙 | 1 | 푸에르토리코 |
합계 | 12 |
비치발리볼 예선
편집본선 진출 자격 | 날짜 | 장소 | 할당 | 국가 | |
---|---|---|---|---|---|
남자 | 여자 | ||||
주최국 | 2009년 10월2일 | 덴마크 코펜하겐 | 2 | 브라질 | 브라질 |
세계선수권 우승팀 | 2015년 6월26일~7월5일 | 네덜란드 | 2 | 브라질 | 브라질 |
비치발리볼 세계 순위 상위팀 |
2016년 6월12일 | 스위스 로잔 | 30 | 네덜란드 | 미국 |
미국 | 독일 | ||||
네덜란드 | 캐나다 | ||||
미국 | 네덜란드 | ||||
스페인 | 오스트레일리아 | ||||
라트비아 | 이탈리아 | ||||
러시아 | 독일 | ||||
이탈리아 | 스페인 | ||||
폴란드 | 폴란드 | ||||
이탈리아 | 스위스 | ||||
오스트리아 | 캐나다 | ||||
폴란드 | 스위스 | ||||
독일 | 미국 | ||||
캐나다 | 아르헨티나 | ||||
멕시코 | 중국 | ||||
아시아 대륙컵 1위 | 2016년 4월15일~6월26일 (최종 라운드) |
오스트레일리아 케언스 | 2 | 카타르 | 오스트레일리아 |
아프리카 대륙컵 1위 | 여러 지역 | 2 | 튀니지 | 이집트 | |
유럽 대륙컵 1위 | 노르웨이 슈타반저 | 2 | 오스트리아 | 네덜란드 | |
남미 대륙컵 1위 | 여러 지역 | 2 | 칠레 | 베네수엘라 | |
북중미 대륙컵 1위 | 멕시코 구야마스 | 2 | 쿠바 | 코스타리카 | |
국제 배구 연맹 대륙컵 1-2위 |
2016년 7월6~10일 | 러시아 소치 | 4 | 캐나다 | 체코 |
러시아 | 러시아 | ||||
합계 | 48 | 24 | 24 |
본선 경기장
편집실내 경기 | 비치발리볼 |
---|---|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
마라카낭지뉴 경기장 | 코파카바나 해변 |
수용 인원: 11,800명 | 수용 인원: 12,000명 |
남자 배구
편집본선 경기는 조별 예선 리그와 8강 이후 토너먼트로 진행된다.
조별 예선
편집12개국 팀이 두 조로 나뉘어 리그전을 펼친 뒤, 각조 상위 4개 팀이 8강에 진출한다. 3-0 또는 3-1로 이기면 승점 3점, 3-2로 이기면 승점 2점, 2-3으로 지면 승점 1점이 부여된다. 0-3 또는 1-3으로 지면 승점이 없다.[6]
A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이탈리아 | 5 | 4 | 1 | 12 | 13 | 5 | 2.600 | 432 | 375 | 1.152 | 8강 |
2 | 캐나다 | 5 | 3 | 2 | 9 | 10 | 7 | 1.429 | 378 | 378 | 1.000 | |
3 | 미국 | 5 | 3 | 2 | 9 | 10 | 8 | 1.250 | 419 | 405 | 1.035 | |
4 | 브라질 (H) | 5 | 3 | 2 | 9 | 11 | 9 | 1.222 | 467 | 442 | 1.057 | |
5 | 프랑스 | 5 | 2 | 3 | 6 | 8 | 9 | 0.889 | 386 | 367 | 1.052 | |
6 | 멕시코 | 5 | 0 | 5 | 0 | 1 | 15 | 0.067 | 283 | 398 | 0.711 |
순위 결정방식: 1) 이긴 경기 수 2) 승점 3) 세트 득실률 4) 점수 득실률 5) 승자승.
(H) 홈경기.
B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아르헨티나 | 5 | 4 | 1 | 12 | 12 | 4 | 3.000 | 394 | 335 | 1.176 | 8강 |
2 | 폴란드 | 5 | 4 | 1 | 12 | 14 | 5 | 2.800 | 447 | 389 | 1.149 | |
3 | 러시아 | 5 | 4 | 1 | 11 | 13 | 6 | 2.167 | 432 | 367 | 1.177 | |
4 | 이란 | 5 | 2 | 3 | 7 | 8 | 9 | 0.889 | 389 | 392 | 0.992 | |
5 | 이집트 | 5 | 1 | 4 | 3 | 3 | 12 | 0.250 | 286 | 362 | 0.790 | |
6 | 쿠바 | 5 | 0 | 5 | 0 | 1 | 15 | 0.067 | 300 | 403 | 0.744 |
순위 결정방식: 1) 이긴 경기 수 2) 승점 3) 세트 득실률 4) 점수 득실률 5) 승자승.
8강 토너먼트
편집8강전 | 4강전 | 결승전 | ||||||||
8월17일 18:00 | ||||||||||
A1 이탈리아 | 3 | |||||||||
8월19일 | ||||||||||
B4 이란 | 0 | |||||||||
이탈리아 | 3 | |||||||||
8월17일 14:00 | ||||||||||
미국 | 2 | |||||||||
A3 미국 | 3 | |||||||||
8월21일 | ||||||||||
B2 폴란드 | 0 | |||||||||
이탈리아 | 0 | |||||||||
8월17일 10:00 | ||||||||||
브라질 | 3 | |||||||||
A2 캐나다 | 0 | |||||||||
8월19일 | ||||||||||
B3 러시아 | 3 | |||||||||
러시아 | 0 | |||||||||
8월17일 22:15 | ||||||||||
브라질 | 3 | 3·4위전 | ||||||||
A4 브라질 | 3 | |||||||||
8월21일 | ||||||||||
B1 아르헨티나 | 1 | |||||||||
미국 | 3 | |||||||||
러시아 | 2 | |||||||||
여자 배구
편집본선 경기는 남자와 마찬가지로 조별 예선 리그와 8강 이후 토너먼트로 진행된다.
조별 예선
편집12개국 팀이 두 조로 나뉘어 리그전을 펼친 뒤, 각조 상위 4개 팀이 8강에 진출한다. 3-0 또는 3-1로 이기면 승점 3점, 3-2로 이기면 승점 2점, 2-3으로 지면 승점 1점이 부여된다. 0-3 또는 1-3으로 지면 승점이 없다.[7]
A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브라질 (H) | 5 | 5 | 0 | 15 | 15 | 0 | — | 377 | 272 | 1.386 | 8강 |
2 | 러시아 | 5 | 4 | 1 | 12 | 12 | 4 | 3.000 | 393 | 323 | 1.217 | |
3 | 대한민국 | 5 | 3 | 2 | 9 | 10 | 7 | 1.429 | 384 | 372 | 1.032 | |
4 | 일본 | 5 | 2 | 3 | 6 | 7 | 9 | 0.778 | 347 | 364 | 0.953 | |
5 | 아르헨티나 | 5 | 1 | 4 | 2 | 3 | 14 | 0.214 | 319 | 407 | 0.784 | |
6 | 카메룬 | 5 | 0 | 5 | 1 | 2 | 15 | 0.133 | 328 | 410 | 0.800 |
순위 결정방식: 1) 이긴 경기 수 2) 승점 3) 세트 득실률 4) 점수 득실률 5) 승자승.
(H) 홈경기.
B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미국 | 5 | 5 | 0 | 14 | 15 | 5 | 3.000 | 470 | 400 | 1.175 | 8강 |
2 | 네덜란드 | 5 | 4 | 1 | 11 | 14 | 7 | 2.000 | 455 | 425 | 1.071 | |
3 | 세르비아 | 5 | 3 | 2 | 10 | 12 | 6 | 2.000 | 410 | 394 | 1.041 | |
4 | 중화인민공화국 | 5 | 2 | 3 | 7 | 9 | 9 | 1.000 | 398 | 389 | 1.023 | |
5 | 이탈리아 | 5 | 1 | 4 | 3 | 4 | 12 | 0.333 | 351 | 374 | 0.939 | |
6 | 푸에르토리코 | 5 | 0 | 5 | 0 | 0 | 15 | 0.000 | 277 | 379 | 0.731 |
순위 결정방식: 1) 이긴 경기 수 2) 승점 3) 세트 득실률 4) 점수 득실률 5) 승자승.
8강 토너먼트
편집8강전 | 4강전 | 결승전 | ||||||||
8월16일 22:15 | ||||||||||
A1 브라질 | 2 | |||||||||
8월18일 | ||||||||||
B4 중화인민공화국 | 3 | |||||||||
중화인민공화국 | 3 | |||||||||
8월16일 10:00 | ||||||||||
네덜란드 | 1 | |||||||||
A3 대한민국 | 1 | |||||||||
8월20일 | ||||||||||
B2 네덜란드 | 3 | |||||||||
중화인민공화국 | 3 | |||||||||
8월16일 18:00 | ||||||||||
세르비아 | 1 | |||||||||
A2 러시아 | 0 | |||||||||
8월18일 | ||||||||||
B3 세르비아 | 3 | |||||||||
세르비아 | 3 | |||||||||
8월16일 14:00 | ||||||||||
미국 | 2 | 3·4위전 | ||||||||
A4 일본 | 0 | |||||||||
8월20일 | ||||||||||
B1 미국 | 3 | |||||||||
네덜란드 | 1 | |||||||||
미국 | 3 | |||||||||
배구 심판
편집국제 배구 연맹이 선정한 심판 20명이 이번 대회 실내 남녀 배구 경기 진행을 맡는다.[8]
- 에르냔 카사미켈라(Hernán Casamiquela)
- 아르투로 디 지아코모(Arturo Di Giacomo)
- 로게리우 에스피칼스키(Rogerio Espicalsky)
- 파울루 투르시(Paulo Turci)
- 쟝리우(Liu Jiang)
- 데니 세스페데스(Denny Cespedes)
- 나스르 샤반(Nasr Shaaban)
- 하이케 크라프트(Heike Kraft)
- 모함마드 샤미리(Mohammad Shahmiri)
- 파브리치오 파스칼리(Fabrizio Pasquali)
- 루이스 마시아스(Luis Macias)
- 피오트르 두데크(Piotr Dudek)
- 이브라힘 알나마(Ibrahim Al-Naama)
- 안드레이 제노비치(Andrey Zenovich)
- 블라디미르 시모노비치(Vladimir Simonović)
- 주라야 모크리(Juraj Mokrý)
- 강주희
- 수사나 로드리게스(Susana Rodríguez)
- 타오우피크 부다야(Taoufik Boudaya)
- 패트리시아 롤프(Patricia Rolf)
비치발리볼
편집비치발리볼은 두명이 짝을 이룬 24개 팀이 출전해 승부를 겨룬다. 참가팀은 나라별로 배정된다. 주최국과 2015년 네덜란드 세계선수권 우승국, 2016년 6월13일 기준 상위 15개팀 소속 국가, 대륙컵 상위 5개팀 소속 국가, 세계 최종 예선 상위 2개 국가에 총 24개팀을 배정한다. 한 나라당 최대 2개 팀이 참가할 수 있다.[9][10]
남자 비치발리볼
편집확정된 남자 비치발리볼 참가 국가와 팀.[9][10][11][12][13]
남자 조별 예선
편집조별 예선에서는 이기면 승점 2점, 지면 승점 1점을 얻는다. 몰수패의 경우는 승점이 없다.
순위는 승점으로 결정된다. 같은 조에서 두 팀의 승점이 같으면, 전 경기 점수 득실률로 순위를 정하되 득실률도 같으면 같은 순위를 준다. 세 팀의 승점이 같으면, 세 팀간 경기의 점수 득실률로 순위를 정하되 이 또한 같으면 같은 순위를 준다. 네 팀의 승점이 같으면, 전 경기 점수 득실률로 순위를 정한다.[14]
각 조의 상위 2개 팀과 각 조 3위 가운데 가장 성적이 좋은 2개 팀(총 14개 팀)이 16강에 진출한다. 3위 중 상위 두개 팀은 승점, 세트 득실률, 점수 득실률, 시드 순위로 결정한다. 나머지 조별 3위 4개 팀은 패자 부활전을 벌여, 2개 팀이 16강에 합류한다.[15]
A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이탈리아 란기에리 / 카람불라 | 3 | 2 | 1 | 5 | 4 | 3 | 1.333 | 127 | 119 | 1.067 | 16강 진출 |
2 | 브라질 알리손 / 브루누 슈미트 | 3 | 2 | 1 | 5 | 5 | 2 | 2.500 | 140 | 128 | 1.094 | |
3 | 오스트리아 도플러 / 호르스트 | 3 | 2 | 1 | 5 | 4 | 4 | 1.000 | 133 | 145 | 0.917 | |
4 | 캐나다 빈스톡 / 샥터 | 3 | 0 | 3 | 3 | 2 | 6 | 0.333 | 137 | 145 | 0.945 |
B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네덜란드 브라우에르 / 메이우선 | 3 | 3 | 0 | 6 | 6 | 1 | 6.000 | 138 | 121 | 1.140 | 16강 진출 |
2 | 러시아 바르수크 / 리아민 | 3 | 2 | 1 | 5 | 4 | 2 | 2.000 | 113 | 104 | 1.087 | |
3 | 폴란드 로시아크 / 칸토르 | 3 | 1 | 2 | 4 | 2 | 4 | 0.500 | 113 | 116 | 0.974 | 패자 부활전 |
4 | 독일 뵈커만 / 플뤼겐 | 3 | 0 | 3 | 3 | 1 | 6 | 0.167 | 117 | 140 | 0.836 |
C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미국 루시너 / 돌하우저 | 3 | 3 | 0 | 6 | 6 | 1 | 6.000 | 146 | 107 | 1.364 | 16강 진출 |
2 | 멕시코 비르헨 / 온티베로스 | 3 | 2 | 1 | 5 | 4 | 3 | 1.333 | 123 | 108 | 1.139 | |
3 | 이탈리아 니콜라이 / 루포 | 3 | 1 | 2 | 4 | 4 | 4 | 1.000 | 144 | 142 | 1.014 | 패자 부활전 |
4 | 튀니지 나세우르 / 벨하즈 | 3 | 0 | 3 | 3 | 0 | 6 | 0.000 | 70 | 126 | 0.556 |
D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쿠바 디아스 / 곤잘레스 | 3 | 3 | 0 | 6 | 6 | 2 | 3.000 | 159 | 142 | 1.120 | 16강 진출 |
2 | 브라질 페드루 솔베르그 / 에반드루 | 3 | 1 | 2 | 4 | 4 | 5 | 0.800 | 167 | 159 | 1.050 | |
3 | 캐나다 샬크 / 색스턴 | 3 | 1 | 2 | 4 | 3 | 5 | 0.600 | 138 | 149 | 0.926 | 패자 부활전 |
4 | 라트비아 사모일로프스 / 스메딘스 | 3 | 1 | 2 | 4 | 4 | 5 | 0.800 | 150 | 164 | 0.915 |
E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러시아 세메노프 / 크라실니코프 | 3 | 3 | 0 | 6 | 6 | 1 | 6.000 | 134 | 103 | 1.301 | 16강 진출 |
2 | 네덜란드 뉘메르도르 / 파렌호르스트 | 3 | 2 | 1 | 5 | 5 | 3 | 1.667 | 142 | 126 | 1.127 | |
3 | 폴란드 피얄레크 / 프루델 | 3 | 1 | 2 | 4 | 3 | 5 | 0.600 | 126 | 142 | 0.887 | 패자 부활전 |
4 | 칠레 그리말트 / 그리말트 | 3 | 0 | 3 | 3 | 1 | 6 | 0.167 | 105 | 136 | 0.772 |
F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스페인 에레라 / 가비라 | 3 | 2 | 1 | 5 | 5 | 4 | 1.250 | 153 | 147 | 1.041 | 16강 진출 |
2 | 카타르 제퍼슨 / 체리프 | 3 | 2 | 1 | 5 | 4 | 4 | 1.000 | 135 | 145 | 0.931 | |
3 | 오스트리아 후버 / 자이들 | 3 | 1 | 2 | 4 | 4 | 4 | 1.000 | 145 | 140 | 1.036 | |
4 | 미국 깁 / 패터슨 | 3 | 1 | 2 | 4 | 3 | 4 | 0.750 | 125 | 126 | 0.992 |
남자 16강 토너먼트
편집조별 예선에서 3위를 한 팀 가운데 성적이 가장 좋은 2개 팀은 자동으로 16강에 진출하고, 나머지 4개 팀은 패자 부활전을 벌여 이긴 두 팀이 16강에 합류한다.[15]
패자 부활전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오스트리아 도플러 / 호르스트 | 3 | 2 | 1 | 5 | 4 | 4 | 1.000 | 133 | 145 | 0.917 | 16강 진출 |
2 | 오스트리아 후버 / 자이들 | 3 | 1 | 2 | 4 | 4 | 4 | 1.000 | 145 | 140 | 1.036 | |
3 | 이탈리아 니콜라이 / 루포 (A) | 3 | 1 | 2 | 4 | 4 | 4 | 1.000 | 144 | 142 | 1.014 | 패자 부활전 |
4 | 캐나다 샬크 / 색스턴 (A) | 3 | 1 | 2 | 4 | 3 | 5 | 0.600 | 138 | 149 | 0.926 | |
5 | 폴란드 피얄레크 / 프루델 (E) | 3 | 1 | 2 | 4 | 3 | 5 | 0.600 | 126 | 142 | 0.887 | |
6 | 폴란드 로시아크 / 칸토르 (E) | 3 | 1 | 2 | 4 | 2 | 4 | 0.500 | 113 | 116 | 0.974 |
패자 부활전 | ||||
---|---|---|---|---|
8월11일 | 이탈리아 니콜라이 / 루포 | 2 | 폴란드 로시아크 / 칸토르 | 1 |
8월11일 | 캐나다 샬크 / 색스턴 | 2 | 폴란드 피얄레크 / 프루델 | 0 |
16강 토너먼트
편집16강전 | 8강전 | 4강전 | 결승전 | |||||||||||
8월12일 | ||||||||||||||
이탈리아 란기에리 / 카람불라 | 0 | |||||||||||||
8월15일 | ||||||||||||||
이탈리아 니콜라이 / 루포 | 2 | |||||||||||||
이탈리아 니콜라이 / 루포 | 2 | |||||||||||||
8월13일 | ||||||||||||||
러시아 바르수크 / 리아민 | 1 | |||||||||||||
브라질 페드루 솔베르그 / 에반드루 | 1 | |||||||||||||
8월16일 | ||||||||||||||
러시아 바르수크 / 리아민 | 2 | |||||||||||||
이탈리아 니콜라이 / 루포 | 2 | |||||||||||||
8월12일 | ||||||||||||||
러시아 세메노프 / 크라실니코프 | 1 | |||||||||||||
러시아 세메노프 / 크라실니코프 | 2 | |||||||||||||
8월15일 | ||||||||||||||
카타르 제퍼슨 / 체리프 | 0 | |||||||||||||
러시아 세메노프 / 크라실니코프 | 2 | |||||||||||||
8월12일 | ||||||||||||||
쿠바 디아스 / 곤잘레스 | 1 | |||||||||||||
오스트리아 도플러 / 호르스트 | 0 | |||||||||||||
8월18일 | ||||||||||||||
쿠바 디아스 / 곤잘레스 | 2 | |||||||||||||
이탈리아 니콜라이 / 루포 | 0 | |||||||||||||
8월13일 | ||||||||||||||
브라질 알리손 / 브루누 슈미트 | 2 | |||||||||||||
미국 루시너 / 돌하우저 | 2 | |||||||||||||
8월15일 | ||||||||||||||
오스트리아 후버 / 자이들 | 0 | |||||||||||||
미국 루시너 / 돌하우저 | 1 | |||||||||||||
8월13일 | ||||||||||||||
브라질 알리손 / 브루누 슈미트 | 2 | |||||||||||||
브라질 알리손 / 브루누 슈미트 | 2 | |||||||||||||
8월16일 | ||||||||||||||
스페인 에레라 / 가비라 | 0 | |||||||||||||
브라질 알리손 / 브루누 슈미트 | 2 | |||||||||||||
8월12일 | ||||||||||||||
네덜란드 브라우에르 / 메이우선 | 1 | 동메달 결정전 | ||||||||||||
멕시코 비르헨 / 온티베로스 | 0 | |||||||||||||
8월15일 | 8월18일 | |||||||||||||
네덜란드 뉘메르도르 / 파렌호르스트 | 2 | |||||||||||||
네덜란드 뉘메르도르 / 파렌호르스트 | 0 | 러시아 세메노프 / 크라실니코프 | 0 | |||||||||||
8월13일 | ||||||||||||||
네덜란드 브라우에르 / 메이우선 | 2 | 네덜란드 브라우에르 / 메이우선 | 2 | |||||||||||
캐나다 빈스톡 / 샥터 | 0 | |||||||||||||
네덜란드 브라우에르 / 메이우선 | 2 | |||||||||||||
여자 비치발리볼
편집확정된 여자 비치발리볼 참가 국가와 팀.[9][10][12][13][16]
여자 조별 예선
편집조별 예선에서는 이기면 승점 2점, 지면 승점 1점을 얻는다. 몰수패의 경우는 승점이 없다.
각 조별 순위, 16강 진출팀 결정 방식은 남자부와 같다.[14][15]
A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브라질 라리사 / 탈리타 | 3 | 3 | 0 | 6 | 6 | 0 | — | 126 | 84 | 1.500 | 16강 진출 |
2 | 폴란드 콜로신스카 / 브조스테크 | 3 | 2 | 1 | 5 | 4 | 3 | 1.333 | 117 | 120 | 0.975 | |
3 | 러시아 비를로바 / 유콜로바 | 3 | 1 | 2 | 4 | 2 | 5 | 0.400 | 127 | 141 | 0.901 | 패자 부활전 |
4 | 미국 펜드릭 / 스위트 | 3 | 0 | 3 | 3 | 2 | 6 | 0.333 | 127 | 152 | 0.836 |
B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스페인 릴리아나 / 엘사 | 3 | 3 | 0 | 6 | 6 | 0 | — | 127 | 101 | 1.257 | 16강 진출 |
2 | 브라질 아가타 / 바르바라 | 3 | 2 | 1 | 5 | 4 | 3 | 1.333 | 134 | 120 | 1.117 | |
3 | 체코 헤르마노바 / 슬루코바 | 3 | 1 | 2 | 4 | 3 | 5 | 0.600 | 132 | 145 | 0.910 | 패자 부활전 |
4 | 아르헨티나 갈라이 / 클루그 | 3 | 0 | 3 | 3 | 1 | 6 | 0.167 | 106 | 133 | 0.797 |
C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미국 월시 제닝스 / 로스 | 3 | 3 | 0 | 6 | 6 | 1 | 6.000 | 142 | 101 | 1.406 | 16강 진출 |
2 | 중국 왕 / 유에 | 3 | 2 | 1 | 5 | 4 | 3 | 1.333 | 124 | 124 | 1.000 | |
3 | 스위스 포레 / 베르제데프레 | 3 | 1 | 2 | 4 | 4 | 5 | 0.800 | 165 | 171 | 0.965 | |
4 | 오스트레일리아 아르타초 / 레어드 | 3 | 0 | 3 | 3 | 1 | 6 | 0.167 | 110 | 145 | 0.759 |
D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독일 루트비히 / 발켄호르스트 | 3 | 3 | 0 | 6 | 6 | 1 | 6.000 | 138 | 103 | 1.340 | 16강 진출 |
2 | 캐나다 브로더 / 발자스 | 3 | 2 | 1 | 5 | 4 | 3 | 1.333 | 121 | 118 | 1.025 | |
3 | 이탈리아 멘네가티 / 지옴비니 | 3 | 1 | 2 | 4 | 4 | 4 | 1.000 | 138 | 128 | 1.078 | |
4 | 이집트 엘고바시 / 나다 | 3 | 0 | 3 | 3 | 0 | 6 | 0.000 | 78 | 126 | 0.619 |
E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캐나다 패번 / 밴슬리 | 3 | 3 | 0 | 6 | 6 | 0 | — | 126 | 102 | 1.235 | 16강 진출 |
2 | 스위스 하이드리히 / 줌커 | 3 | 2 | 1 | 5 | 4 | 3 | 1.333 | 131 | 110 | 1.191 | |
3 | 독일 보르거 / 뷔테 | 3 | 1 | 2 | 4 | 2 | 4 | 0.500 | 104 | 117 | 0.889 | 패자 부활전 |
4 | 네덜란드 판헤스텔 / 반데르플리스트 | 3 | 0 | 3 | 3 | 1 | 6 | 0.167 | 105 | 137 | 0.766 |
F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오스트레일리아 보덴 / 클랜시 | 3 | 3 | 0 | 6 | 6 | 1 | 6.000 | 145 | 112 | 1.295 | 16강 진출 |
2 | 네덜란드 메펠린크 / 판이어셀 | 3 | 2 | 1 | 5 | 5 | 2 | 2.500 | 144 | 121 | 1.190 | |
3 | 베네수엘라 파소 / 아구도 | 3 | 1 | 2 | 4 | 2 | 4 | 0.500 | 93 | 119 | 0.782 | 패자 부활전 |
4 | 코스타리카 알파로 / 차를레스 | 3 | 0 | 3 | 3 | 0 | 6 | 0.000 | 96 | 126 | 0.762 |
여자 16강 토너먼트
편집조별 예선에서 3위를 한 팀 가운데 성적이 가장 좋은 2개 팀은 자동으로 16강에 진출하고, 나머지 4개 팀은 패자 부활전을 벌여 이긴 두 팀이 16강에 합류한다.[15]
패자 부활전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얻은 세트 | 잃은 세트 | 세트 득실 | 얻은 점수 | 잃은 점수 | 점수 득실 | 통과 |
---|---|---|---|---|---|---|---|---|---|---|---|---|
1 | 이탈리아 멘네가티 / 지옴비니 | 3 | 1 | 2 | 4 | 4 | 4 | 1.000 | 138 | 128 | 1.078 | 16강 진출 |
2 | 스위스 포레 / 베르제데프레 | 3 | 1 | 2 | 4 | 4 | 5 | 0.800 | 165 | 171 | 0.965 | |
3 | 체코 헤르마노바 / 슬루코바 (E) | 3 | 1 | 2 | 4 | 3 | 5 | 0.600 | 132 | 145 | 0.910 | 패자 부활전 |
4 | 독일 보르거 / 뷔테 (A) | 3 | 1 | 2 | 4 | 2 | 4 | 0.500 | 104 | 117 | 0.889 | |
5 | 베네수엘라 파소 / 아구도 (E) | 3 | 1 | 2 | 4 | 2 | 4 | 0.500 | 93 | 119 | 0.782 | |
6 | 러시아 비를로바 / 유콜로바 (A) | 3 | 1 | 2 | 4 | 2 | 5 | 0.400 | 127 | 141 | 0.901 |
패자 부활전 | ||||
---|---|---|---|---|
8월11일 | 체코 헤르마노바 / 슬루코바 | 1 | 러시아 비를로바 / 유콜로바 | 2 |
8월11일 | 독일 보르거 / 뷔테 | 2 | 베네수엘라 파소 / 아구도 | 0 |
16강 토너먼트
편집16강전 | 8강전 | 4강전 | 결승전 | |||||||||||
8월12일 | ||||||||||||||
브라질 라리사 / 탈리타 | 2 | |||||||||||||
8월14일 | ||||||||||||||
독일 보르거 / 뷔테 | 0 | |||||||||||||
브라질 라리사 / 탈리타 | 2 | |||||||||||||
8월13일 | ||||||||||||||
스위스 하이드리히 / 줌커 | 1 | |||||||||||||
네덜란드 메펠린크 / 판이어셀 | 1 | |||||||||||||
8월16일 | ||||||||||||||
스위스 하이드리히 / 줌커 | 2 | |||||||||||||
브라질 라리사 / 탈리타 | 0 | |||||||||||||
8월13일 | ||||||||||||||
독일 루트비히 / 발켄호르스트 | 2 | |||||||||||||
캐나다 패번 / 밴슬리 | 2 | |||||||||||||
8월14일 | ||||||||||||||
캐나다 브로더 / 발자스 | 0 | |||||||||||||
캐나다 패번 / 밴슬리 | 0 | |||||||||||||
8월13일 | ||||||||||||||
독일 루트비히 / 발켄호르스트 | 2 | |||||||||||||
스위스 포레 / 베르제데프레 | 0 | |||||||||||||
8월17일 | ||||||||||||||
독일 루트비히 / 발켄호르스트 | 2 | |||||||||||||
독일 루트비히 / 발켄호르스트 | 2 | |||||||||||||
8월12일 | ||||||||||||||
브라질 아가타 / 바르바라 | 0 | |||||||||||||
미국 월시 제닝스 / 로스 | 2 | |||||||||||||
8월14일 | ||||||||||||||
이탈리아 멘네가티 / 지옴비니 | 0 | |||||||||||||
미국 월시 제닝스 / 로스 | 2 | |||||||||||||
8월13일 | ||||||||||||||
오스트레일리아 보덴 / 클랜시 | 0 | |||||||||||||
폴란드 콜로신스카 / 브조스테크 | 1 | |||||||||||||
8월16일 | ||||||||||||||
오스트레일리아 보덴 / 클랜시 | 2 | |||||||||||||
미국 월시 제닝스 / 로스 | 0 | |||||||||||||
8월12일 | ||||||||||||||
브라질 아가타 / 바르바라 | 2 | 동메달 결정전 | ||||||||||||
중국 왕 / 유에 | 0 | |||||||||||||
8월14일 | 8월14일 | |||||||||||||
브라질 아가타 / 바르바라 | 2 | |||||||||||||
브라질 아가타 / 바르바라 | 2 | 브라질 라리사 / 탈리타 | 1 | |||||||||||
8월12일 | ||||||||||||||
러시아 비를로바 / 유콜로바 | 0 | 미국 월시 제닝스 / 로스 | 2 | |||||||||||
러시아 비를로바 / 유콜로바 | 2 | |||||||||||||
스페인 릴리아나 / 엘사 | 0 | |||||||||||||
심판
편집국제 배구 연맹이 선정한 심판 16명이 남녀 비치발리볼 경기 진행을 맡는다.[17]
- 지오바니 베이크(Giovanni Bake)
- 조나스 페르소네니(Jonas Personeni)
- 호세 마리오 파드론(José Maria Padron)
- 차랄람포스 파파도굴라스(Charalampos Papadogoulas)
- 다비데 크레센티니(Davide Crescentini)
- 로만 프리스바킨(Roman Pristovakin)
- 오스발도 수마빌(Osvaldo Sumavil)
- 마리오 페루(Mário Ferro)
- 엘리지르 마르틴스 데 올리베이라(Elizir Martins de Oliveira)
- 후안 카를로스 사베드라(Juan Carlos Saavedra)
- 루시 기유메트(Lucie Guillemette)
- 카를로스 리베라 로드리게스(Carlos L. Rivera Rodriguez)
- 대니얼 에이폴(Daniel Apol)
- 왕리준(Lijun Wang)
- 사토미 마리코(Mariko Satomi)
- 끄릿사다 파나세리(Kritsada Panaseri)
메달 집계
편집최종 순위
편집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브라질 | 2 | 1 | 0 | 3 |
2 | 독일 | 1 | 0 | 0 | 1 |
2 | 중국 | 1 | 0 | 0 | 1 |
4 | 이탈리아 | 0 | 2 | 0 | 2 |
5 | 세르비아 | 0 | 1 | 0 | 1 |
6 | 미국 | 0 | 0 | 3 | 3 |
7 | 네덜란드 | 0 | 0 | 1 | 1 |
합계 | 4 | 4 | 4 | 12 |
메달리스트
편집종목 | 금 | 은 | 동 | |||
---|---|---|---|---|---|---|
남자 배구 자세히 |
브라질 | 이탈리아 | 미국 | |||
여자 배구 자세히 |
중화인민공화국 | 세르비아 | 미국 | |||
남자 비치발리볼 자세히 |
브라질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
여자 비치발리볼 자세히 |
독일 | 브라질 | 미국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Rio 2016: Beach Volleyball”. 2016년 리우올림픽 조직위. 2015년 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8일에 확인함.
- ↑ “Rio 2016: Volleyball”. 2016년 리우올림픽 조직위. 2015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8일에 확인함.
- ↑ “Rio 2016 – FIVB Volleyball Qualification System” (PDF). 국제 배구 연맹. 2015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Kauffman, Bill (2012년 12월 4일). “FIVB Discusses 2016 Olympic Qualification”. 미국 올림픽 위원회.
- ↑ “FIVB announces Rio 2016 Olympic Qualification System for beach volleyball”. 국제 배구 연맹. 2014년 5월 6일.
- ↑ “Men's Olympic Games Pools Confirmed”. 국제 배구 연맹. 2016년 6월 6일. 2016년 6월 10일에 확인함.
- ↑ “RIO 2016 Women's Volleyball Pools Unveiled”. 국제 배구 연맹. 2016년 5월 23일. 2016년 6월 10일에 확인함.
- ↑ “VOLLEYBALL LIST OF REFEREES”. 국제 배구 연맹. 2016년 6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FIVB Rio 2016 Olympic Qualification Process for beach volleyball”. 국제 배구 연맹. 2016년 6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FIVB Rio 2016 Olympic Qualification Process for beach volleyball(new)”. 국제 배구 연맹. 2016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Men's Olympic Ranking Teams Confirmed”. 국제 배구 연맹. 2016년 6월 12일. 2016년 6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EIGHT MORE COPACABANA OLYMPIC BEACH VOLLEYBALL CHAIRS FILLED”. 국제 배구 연맹. 2016년 6월 27일. 2016년 6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Canada, Czech Republic and Russia claim Olympic tickets in Sochi”. 국제 배구 연맹. 2016년 7월 10일. 2016년 7월 13일에 확인함.
- ↑ 가 나 “Pool Ranking Criteria”. 국제 배구 연맹. 2016년 8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Beach Volleyball Formula”. 국제 배구 연맹. 2016년 8월 1일에 확인함.
- ↑ “Women's Olympic Ranking Teams Confirmed”. 국제 배구 연맹. 2016년 6월 12일. 2016년 6월 14일에 확인함.
- ↑ “BEACH VOLLEYBALL LIST REFEREES”. 국제 배구 연맹. 2016년 6월 2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