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동계 아시안 게임
2025년 동계 아시안 게임, 공식 명칭 제9회 동계 아시안 게임(중국어: 第九届亚洲冬季运动会)은 2025년 2월 7일부터 14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에서 개최 예정인 동계 아시안 게임이다. 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 이후 두 번째로 하얼빈에서 열린 동계 아시안 게임이자 창춘에서 열린 2007년 대회 이후로 18년 만에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열리는 세 번째 동계 아시안 게임이다.
![]() 제9회 동계 아시안 게임 | |
---|---|
![]() 2025년 동계 아시안 게임 로고 | |
대회 개요 | |
개최 도시 | 중화인민공화국 하얼빈 |
모토 | 겨울의 꿈에 한 마음이 된 아시아[A] |
참가국 | 34개국 |
참가 선수 | 1,275명 |
종목 | 11개 스포츠 64개 종목 |
개회식 | 2025년 2월 7일 |
폐회식 | 2025년 2월 14일 |
주경기장 | 하얼빈 국제회전체육중심 |
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
![]() | 2029 네옴 ![]() |
유치 과정
편집2023년 7월 8일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42차 OCA 총회에서 2025년 동계 아시안 게임 개최지로 중국 하얼빈이 선정되었다.[1] 하얼빈은 이번 대회 개최지에 유일하게 입후보한 도시이다.[2]
공식 입후보 도시
편집- 하얼빈: 2023년 6월 28일, 하얼빈 정부는 2025년 동계 아시안 게임 유치에 관한 언론 브리핑을 열었고, 정부 관계자는 유치를 위한 모든 준비가 기본적으로 완료되었다고 밝혔다.[3][4]
입후보에 관심을 보였던 도시
편집도시 | NOC | 라운드 1 |
---|---|---|
중화인민공화국 하얼빈 | 중화인민공화국 | 유일한 입후보 도시 |
대회 준비
편집슬로건과 마스코트
편집2024년 1월 11일 동계 아시안 게임 조직위원회는 이번 대회 슬로건과 엠블럼, 마스코트를 발표했다. 슬로건은 "겨울의 꿈에 한 마음이 된 아시아"(중국어: 冰雪同梦,亚洲同心 빙쉐퉁멍,야저우퉁신[*])이다. 마스코트는 "빈빈"(濱濱)과 "니니"(妮妮)로 2023년 9월 헤이룽장성의 동북호림원에서 태어난 시베리아호랑이 두 마리를 모티브로 "하얼빈이 당신을 환영합니다"라는 의미에 동북 지역의 독특한 자연 및 문화유산인 호랑이를 의인화해 올림픽 정신과 디자인을 통합했다고 밝혔다.[6]
성화 및 메달
편집2024년 10월 30일, 동계 아시안 게임 100일 카운트기간을 앞두고 조직위원회는 대회 성화와 메달 디자인, 올해 아시안 게임의 대표가를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성화의 주제는 "파도"로 전체 높이는 약 735 mm이며 하얼빈의 시화인 수수꽃다리를 모티브로 했으며 끄트머리를 꽃에 있는 암술의 속이 비어 있는 디자인을 사용해 입체적인 효과를 냈다. 메달의 경우 "경기정신"을 주제로 앞면에는 올해 동계 아시안 게임 로고와 함께 하얼빈 대극원의 선을 본 딴 디자인을, 뒷면에는 이번 스키 부문 경기장인 야불리 스키 리조트와 샤오싱안링산맥 요소와 함께 상단에 아시안 올림픽 평의회 로고인 태양 가운데에 북홍마노를 상감으로 새겨넣었다. 리본 디자인은 타이양섬풍경구의 태양문을 형상화했다.[7]
대회 노래인 대표가는 《얼빈의 눈》(尔滨的雪)이라는 제목으로 왕핑주가 작사, 창스레이가 작곡했으며 이양첸시, 단이춘이 뮤직 비디오 가수로 출연했다. 2022년 동계 올림픽 폐막식 출연진 및 제작진의 갈라송인 《우리는 함께》(我们在一起)를 개사한 노래다.[8]
경기장
편집2024년 2월 27일 OCA은 2025년 동계 아시안 게임이 개최되는 경기장을 확정 발표했다.[9]
경기장 | 종목 | 수용 정원 | 각주 |
---|---|---|---|
하얼빈 빙구관 | 아이스하키(남자) | 5,304 | [10] |
하얼빈 국제회전체육중심 | 개회식 및 폐회식 | 17,000 | |
하얼빈시 핑팡구 컬링관 | 컬링 | 216 | [11] |
하얼빈 체육대학 대학생 활빙관 | 아이스하키(여자) | 2,200 | [12] |
헤이룽장성 빙상훈련중심 속활관 | 피겨스케이팅 및 쇼트트랙 | 2,767 | [13] |
헤이룽장성 빙상훈련중심 종합관 | 스피드스케이팅 | 1,594 | [14] |
야불리 스키 리조트 | 알파인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프리스타일, 스키마운티니어링, 스노보드 | [15] |
종목
편집2023년 10월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는 아시안 게임에서 열릴 스포츠를 발표했다. 이번 2025년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는 11개 동계 스포츠에서 총 64개 종목의 경기가 열린다.[16] 빙상 종목은 컬링, 피겨스케이팅, 스피드스케이팅, 쇼트트랙, 아이스하키 5개 종목이 열린다. 올해 아시안 게임부터는 스키마운티니어링이 처음으로 개최된다.[17] 스키점프 종목의 경우 지난 대회를 마지막으로 평의회 투표 결과 개최 종목에서 떨어졌다.
괄호 안의 숫자는 각 종목의 메달 갯수를 뜻한다.
일정
편집2024년 2월 27일 OCA가 2025년 동계 아시안 게임 경기 일정을 발표했다.[9] 경기 종목 중에서는 스피드스케이팅이 총 14개로 가장 많은 금메달이 걸려 있으며 그 다음으로 쇼트트랙이 총 9개의 금메달이 걸려 있다.
OC | 개회식 | ● | 경기 | 1 | 결승전 | CC | 폐회식 |
종목/날짜→ | 2025년 2월 | 종목 | ||||||||||||
---|---|---|---|---|---|---|---|---|---|---|---|---|---|---|
3 월 |
4 화 |
5 수 |
6 목 |
7 금 |
8 토 |
9 일 |
10 월 |
11 화 |
12 수 |
13 목 |
14 금 | |||
개/폐회식 | OC | CC | ||||||||||||
알파인스키 | 1 | 1 | 2 | |||||||||||
바이애슬론 | 2 | 2 | 4 | |||||||||||
크로스컨트리 스키 | 2 | 1 | 1 | 2 | 6 | |||||||||
컬링 | ● | ● | ● | ● | 1 | ● | ● | ● | ● | ● | 2 | 3 | ||
피겨스케이팅 | ● | 2 | 2 | 4 | ||||||||||
프리스타일 스키 | 2 | 2 | 1 | 4 | 2 | 11 | ||||||||
아이스하키 | ● | ● | ● | ● | ● | ● | ● | ● | ● | ● | ● | 2 | 2 | |
쇼트트랙 | ● | 5 | 4 | 9 | ||||||||||
스키마운티니어링 | 2 | 1 | 3 | |||||||||||
스노보드 | 2 | 2 | ● | 2 | 6 | |||||||||
스피드스케이팅 | 4 | 3 | 3 | 4 | 14 | |||||||||
총 경기 | 17 | 13 | 7 | 10 | 5 | 8 | 4 | 64 | ||||||
누적 경기 | 17 | 30 | 37 | 47 | 52 | 60 | 64 | |||||||
종목/날짜→ | 3 월 |
4 화 |
5 수 |
6 목 |
7 금 |
8 토 |
9 일 |
10 월 |
11 화 |
12 수 |
13 목 |
14 금 |
종목 | |
2025년 2월 |
참가국
편집총 34개 올림픽 위원회가 이번 아시안 게임에 출전할 예정으로 2017년 한 대회에서 총 30개국이 출전했던 최고 기록을 뛰어넘었다.[18] 부탄, 캄보디아,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번 대회에서 처음으로 동계 아시안 게임에 출전할 예정이다.[18] 아프가니스탄과 바레인은 지난 2017년 대회에는 불참했다가 이번 대회에 복귀했으며, 2017년 대회에 출전했던 동티모르는 이번 대회에서는 불참했다. 또한 이번 동계 아시안 게임은 선수 규모도 역대 최대치를 기록해 총 1,275명(남자 755명, 여자 520명)이 출전한다.[19]
- 아프가니스탄 (3)
- 바레인 (18)
- 부탄 (1)[20]
- 캄보디아 (4)
- 중화인민공화국 (170)[21] (개최국)
- 홍콩 (74)[22]
- 인도 (76)
- 인도네시아 (6)[23]
- 이란 (14)[24]
- 일본 (155)[25]
- 요르단 (1)[26]
- 카자흐스탄 (138)[27]
- 쿠웨이트 (33)[28]
- 키르기스스탄 (50)[29]
- 레바논 (17)[30]
- 마카오 (22)
- 말레이시아 (8)
- 몽골 (36)
- 네팔 (4)[3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 파키스탄 (2)[32]
- 필리핀 (20)[33]
- 카타르 (15)
- 사우디아라비아 (8)
- 싱가포르 (23)
- 대한민국 (149)[34]
- 스리랑카 (4)
- 중화 타이베이 (67)[35]
- 타지키스탄 (4)[36]
- 태국 (85)
- 투르크메니스탄 (25)
- 아랍에미리트 (9)
- 우즈베키스탄 (26)
- 베트남 (1)[37]
결과
편집순위 | 국가 | 합계 |
---|
후원사 및 광고
편집2025년 동계 아시안 게임 스폰서 |
---|
공식 파트너 |
공식 스폰서 |
공식 독점공급업체 |
방송
편집같이 보기
편집- 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 - 중국 하얼빈 개최
- 2022년 아시안 게임 - 중국 항저우 개최
각주
편집내용
출처
- ↑ Huiying, Zhou (2024년 7월 8일). “Harbin wins bid to host 9th Asian Winter Games”. 《China Daily》 (Beijing, China). 2024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McKay, Duncan (2023년 7월 8일). “Harbin in China awarded 2025 Asian Winter Games for second time”. 《Insidethegames.biz》. Dunsar Media. 2024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Liang, Kexin; Li, Pengju (2023년 5월 27일). “Mobilization Meeting for Harbin's Bid to Host the 2025 Asian Winter Games was held; Zhang Qixiang delivered speech (哈尔滨市申办2025年亚洲冬季运动会动员会议召开 张起翔讲话)”. 冰城+ app. 2023년 5월 27일에 확인함.
- ↑ Liu, Huan. “Harbin to bid for 2025 Asian Winter Games; preparation work basically completed 哈尔滨市将申办2025年第九届亚冬会 申办准备工作已基本就绪” (중국어). China News Service. 2023년 6월 28일에 확인함.
- ↑ Kwon, Jong-oh. “Korea Sports Association promotes hosting of 2025 Asian Winter Games (대한체육회, 2025 동계 아시안게임 개최 추진)”. KBS News. 2023년 5월 27일에 확인함.
- ↑ 林芷瑩 (2024년 1월 11일). “2025年哈爾濱舉辦第九屆亞冬會 口號、會徽、吉祥物正式亮相”. 《香港01》. 2024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追光丨燃情冰雪!亚冬会火炬、奖牌亮相-新华网”. 《sports.news.cn》. 2024년 10월 30일에 확인함.
- ↑ 九磅九万便士. “北京2022年冬奥会闭幕式《我们在一起》"每一个冬天都想起,我们在一起"_哔哩哔哩_bilibili”. 《www.bilibili.com》 (중국어 간체). 2024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OCA announces competition schedule for 9th AWG Harbin 2025”. Olympic Council of Asia. 2024년 2월 27일. 2024년 3월 1일에 확인함.
- ↑ “哈尔滨市冰球馆”. Harbin2025.com. 2024년 9월 26일. 2025년 1월 14일에 확인함.
- ↑ “哈尔滨市平房区冰壶馆”. Harbin2025.com. 2024년 9월 26일. 2025년 1월 14일에 확인함.
- ↑ “哈尔滨体育学院大学生滑冰馆”. Harbin2025.com. 2024년 9월 26일. 2025년 1월 14일에 확인함.
- ↑ “黑龙江省冰上训练中心综合馆(短道速滑、花样滑冰比赛场馆)”. Harbin2025.com. 2025년 1월 5일. 2025년 1월 14일에 확인함.
- ↑ “黑龙江省冰上训练中心速滑馆(速度滑冰比赛场馆)”. Harbin2025.com. 2025년 1월 5일. 2025년 1월 14일에 확인함.
- ↑ “黑龙江省亚布力体育训练基地(黑龙江省亚布力滑雪场)”. Harbin2025.com. 2025년 1월 5일. 2025년 1월 14일에 확인함.
- ↑ “OCA announces sports programme for 9th Asian Winter Games Harbin 2025”. 《www.oca.asia/》. Olympic Council of Asia. 2023년 10월 18일. 2024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Barker, Philip (2023년 10월 24일). “Ski mountaineering to make Asian Winter Games debut at Harbin 2025”. 《Insidethegames.biz》. Dunsar Media. 2024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HAWGOC confirms record entry of NOCs, athletes for Harbin 2025”. 《www.oca.asia/》. Olympic Council of Asia. 2025년 1월 21일. 2025년 1월 21일에 확인함.
- ↑ “Record-high 34 countries and regions will participate in Harbin Asian Winter Games”. 《China Daily》 (Beijing, China). Xinhua. 2025년 1월 22일. 2025년 1월 22일에 확인함.
- ↑ “Bhutan Confirms Participation in the 9th Asian Winter Games Harbin 2025”. 《www.bhutanolympiccommittee.org/》. Thimphu, Bhutan: Bhutan Olympic Committee. 2025년 1월 22일. 2025년 1월 22일에 확인함.
- ↑ “Gu Ailing leads China's 170-athlete squad for 9th Asian Winter Games in Harbin”. 《China Daily》 (Beijing, China). Xinhua. 2025년 1월 24일. 2025년 1월 24일에 확인함.
- ↑ Ball, Josh (2025년 1월 9일). “Skiers? Curlers? Hong Kong has them as it names its largest ever Asian Winter Games team”. 《South China Morning Post》 (Hong Kong: SCMP Publishers). 2025년 1월 9일에 확인함.
- ↑ “A historic step: Indonesia debuts at 2025 Asian Winter Games”. 《Antara》 (Jakarta, Indonesia). 2025년 1월 25일. 2025년 1월 25일에 확인함.
- ↑ “Iran to send 14 athletes to 2025 Asian Winter Games”. 《Tehran Times》 (Tehran, Iran: Mehr News Agency). 2024년 12월 17일. 2024년 1월 9일에 확인함.
- ↑ “開催場所:ハルビン(中華人民共和国)編成数” [Number of Team Japan athletes]. 《www.joc.or.jp》 (일본어). Japanese Olympic Committee. 2024년 11월 26일. 2025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المتزلج "الزوايدة" يترقب مشاركته بدورة الألعاب الآسيوية الشتوية ويتطلع للمستقبل” [Skier Al-Zawaida looks forward to participating in the Asian Winter Games and looks forward to the future]. 《www.joc.jo/》 (아랍어). Amman, Jordan: Jordan Olympic Committee. 2025년 1월 12일. 2025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Omirgazy, Dana (2025년 1월 15일). “Kazakhstan Gearing up for IX Asian Winter Games”. 《Astana Times》 (Astana, Kazakhstan).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Kuwait prepares record delegation for Asian Winter Games in Harbin”. 《Arab Times》 (Kuwait City, Kuwait). 2025년 1월 15일.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Kyrgyzstan to field 50 athletes at Asian Winter Games”. 《www.oca.asia/》. Olympic Council of Asia. 2025년 1월 8일.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Feature: Lebanon's winter athletes excited to compete at 2025 Asian Winter Games”. 《Xinhua》 (Beijing, China). 2025년 1월 25일. 2025년 1월 25일에 확인함.
- ↑ “Nepal to participate in ninth Asian Winter Games”. 《The DMN News》 (Kathmandu, Nepal). 2025년 1월 5일. 2025년 1월 13일에 확인함.
- ↑ Javed, Afzal (2024년 1월 10일). “Pakistani athletes set to compete in Asian Winter Games”. 《Aaj News》 (Karachi, Pakistan). 2024년 1월 10일에 확인함.
- ↑ “PH to send 20 athletes to Asian Winter Games in China”. 《ABS-CBN News》 (Quezon City, Philippines). 2025년 1월 2일. 2025년 1월 9일에 확인함.
- ↑ Ko, Bong-jun (2025년 1월 20일). “Team Korea to gear up for 2025 winter Asiad with launch ceremony in Seoul”. 《Korea JoongAng Daily》 (South Korea). 2025년 1월 20일에 확인함.
- ↑ “Team Taiwan readies for Asian Winter Games”. 《Taiwan Today》 (Taipei, Taiwan). 2025년 1월 17일. 2025년 1월 17일에 확인함.
- ↑ “Варзишгарони тоҷик дар Бозиҳои навбатии зимистонаи осиёӣ иштирок менамоянд” [Tajik athletes to participate in next Asian Winter Games]. 《www.dushanbetv.tj》 (타지크어). Dushanbe TV. 2024년 12월 30일. 2024년 1월 10일에 확인함.
- ↑ Chien, Minh (2025년 1월 3일). “Việt Nam cử 1 VĐV dự Đại hội thể thao mùa đông châu Á 2025” [Vietnam sends 1 athlete to the 2025 Asian Winter Games]. 《www.thethao.sggp.org.vn/》 (베트남어). Ho Chi Minh City, Vietnam. 2025년 1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