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은 2024년 9월 5일부터 2025년 6월 10일까지 진행되는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으로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올라온 2차 예선 각 조 1위 9팀과 각 조 2위 9팀, 총 18개국들이 A조, B조, C조 6개국으로 나뉘어 홈 &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을 치러 각 조 1위와 2위팀은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 직행하며 각 조 3위와 4위 팀은 4차 예선에 진출하여 마지막 본선 2장 티켓을 놓고 각 조당 3팀씩 붙게 된다.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 |
---|---|
개최기간 | 2024년 9월 5일 ~ 2025년 6월 10일 |
통계 | |
최다 득점 | 알무이즈 알리 (5골) |
« 2022 2030 » |
참가국
편집조 (2차 예선) |
1위 | 2위 |
---|---|---|
A조 | 카타르 | 쿠웨이트 |
B조 | 일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C조 | 대한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
D조 | 오만 | 키르기스스탄 |
E조 | 이란 | 우즈베키스탄 |
F조 | 이라크 | 인도네시아 |
G조 | 요르단 | 사우디아라비아 |
H조 | 아랍에미리트 | 바레인 |
I조 | 오스트레일리아 | 팔레스타인 |
시드 배정과 대진 추첨
편집3차 예선 대진 추첨은 2024년 6월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시행될 것이다.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
포트 4 | 포트 5 | 포트 6 |
|
경기 일정
편집Matchday | Date |
---|---|
경기일 1 | 2024년 9월 5일(목) |
경기일 2 | 2024년 9월 10일(화) |
경기일 3 | 2024년 10월 10일(목) |
경기일 4 | 2024년 10월 15일(화) |
경기일 5 | 2024년 11월 14일(목) |
경기일 6 | 2024년 11월 19일(화) |
경기일 7 | 2025년 3월 20일(목) |
경기일 8 | 2025년 3월 25일(화) |
경기일 9 | 2025년 6월 5일(목) |
경기일 10 | 2025년 6월 10일(화) |
경기 결과
편집A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
1 | 이란 (X) | 6 | 5 | 1 | 0 | 12 | 5 | +7 | 16 |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 — | 25 Mar | 20 Mar | 4-1 | 1-0 | 10 Jun | |
2 | 우즈베키스탄 | 6 | 4 | 1 | 1 | 8 | 5 | +3 | 13 | 0-0 | — | 1-0 | 10 Jun | 20 Mar | 1-0 | ||
3 | 아랍에미리트 | 6 | 3 | 1 | 2 | 12 | 4 | +8 | 10 | 4차 예선 | 0-1 | 5 Jun | — | 5-0 | 3-0 | 1-1 | |
4 | 카타르 | 6 | 2 | 1 | 3 | 10 | 17 | −7 | 7 | 5 Jun | 3-2 | 1-3 | — | 3-1 | 20 Mar | ||
5 | 키르기스스탄 | 6 | 1 | 0 | 5 | 6 | 13 | −7 | 3 | 2-3 | 2-3 | 10 Jun | 25 Mar | — | 1-0 | ||
6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6 | 0 | 2 | 4 | 5 | 9 | −4 | 2 | 2-3 | 0-1 | 25 Mar | 2-2 | 5 Jun | — |
2024년 11월 20일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FIFA
(X) 최소 4차예선 진출 확보; 그러나 아직도 월드컵 본선 직행 가능..
(X) 최소 4차예선 진출 확보; 그러나 아직도 월드컵 본선 직행 가능..
우즈베키스탄 | 1 - 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잘롤리딘 마샤리포프 20′ |
키르기스스탄 | 2 - 3 | 우즈베키스탄 |
---|---|---|
조엘 코조 15′ 오딜존 압두라흐마노프 35′ |
17′ 엘도르 쇼무로도프 45′ 후스니딘 알리쿨로프 72′ 오스톤 우루노프 |
카타르 | 3 - 1 | 키르기스스탄 |
---|---|---|
알모에즈 알리 39′ 타미를란 코주바예프 63′ (자책골) 이브라힘 알 하산 81′ |
76′ 알리마르돈 슈쿠로프 |
아랍에미리트 | 1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야흐야 알가사니 66′ | 86′ 정일관 |
-
키르기스스탄 | 1 - 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흐리스티얀 브라우즈만 1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 3 | 이란 |
---|---|---|
메흐디 타레미 56′ (자책골) 김유성 59′ |
29′ 메흐디 가예디 41′, 45′ 모함마드 모헤비 |
라오스 신국립경기장, 비엔티안 (라오스)[1]
카타르 | 3 - 2 | 우즈베키스탄 |
---|---|---|
알무이즈 알리 25′, 41′ 루카스 멘데스 90+12′ |
75′, 80′ 아보스벡 파이줄라예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 - 1 | 우즈베키스탄 |
---|---|---|
44′ 아보스벡 파이줄라예프 |
라오스 신국립경기장, 비엔티안 (라오스)[1]
B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
1 | 대한민국 | 6 | 4 | 2 | 0 | 11 | 4 | +7 | 14 |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 — | 3-2 | 25 Mar | 20 Mar | 10 Jun | 0-0 | |
2 | 이라크 | 6 | 3 | 2 | 1 | 5 | 3 | +2 | 11 | 5 Jun | — | 0-0 | 1-0 | 20 Mar | 1-0 | ||
3 | 요르단 | 6 | 2 | 3 | 1 | 9 | 5 | +4 | 9 | 4차 예선 | 0-2 | 10 Jun | — | 4-0 | 1-1 | 20 Mar | |
4 | 오만 | 6 | 2 | 0 | 4 | 6 | 9 | −3 | 6 | 1-3 | 0-1 | 5 Jun | — | 4-0 | 1-0 | ||
5 | 쿠웨이트 | 6 | 0 | 4 | 2 | 5 | 11 | −6 | 4 | 1-3 | 0-0 | 1-1 | 25 Mar | — | 5 Jun | ||
6 | 팔레스타인 | 6 | 0 | 3 | 3 | 4 | 8 | −4 | 3 | 1-1 | 25 Mar | 1-3 | 10 Jun | 2-2 | — |
2024년 11월 20일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FIFA
오만 | 4 - 0 | 쿠웨이트 |
---|---|---|
압둘 라흐만 알 무샤이프리 17′, 58′ 무흐센 알 가사니 30′ 압둘라 파와즈 79′ |
C조
편집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
1 | 일본 (X) | 6 | 5 | 1 | 0 | 22 | 2 | +20 | 16 |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 — | 1-1 | 10 Jun | 25 Mar | 20 Mar | 7-0 | |
2 | 오스트레일리아 | 6 | 1 | 4 | 1 | 6 | 5 | +1 | 7 | 5 Jun | — | 20 Mar | 0-0 | 0-1 | 3-1 | ||
3 | 인도네시아 | 6 | 1 | 3 | 2 | 6 | 9 | −3 | 6 | 4차 예선 | 0-4 | 0-0 | — | 2-0 | 25 Mar | 5 Jun | |
4 | 사우디아라비아 | 6 | 1 | 3 | 2 | 3 | 6 | −3 | 6 | 0-2 | 10 Jun | 1-1 | — | 0-0 | 20 Mar | ||
5 | 바레인 | 6 | 1 | 3 | 2 | 5 | 10 | −5 | 6 | 0-5 | 2-2 | 2-2 | 5 Jun | — | 0-1 | ||
6 | 중화인민공화국 | 6 | 2 | 0 | 4 | 6 | 16 | −10 | 6 | 1-3 | 25 Mar | 2-1 | 1-2 | 10 Jun | — |
2024년 11월 20일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FIFA
(X) 최소 4차예선 진출 확보; 그러나 아직도 월드컵 본선 직행 가능..
(X) 최소 4차예선 진출 확보; 그러나 아직도 월드컵 본선 직행 가능..
사우디아라비아 | 1 - 1 | 인도네시아 |
---|---|---|
무사브 알 주와이르 45+3′ | 19′ 라그나르 오랏망운 |
인도네시아 | 2 - 0 | 사우디아라비아 |
---|---|---|
마르셀리노 페르디난 31′, 56′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내용주
- 참조주
- ↑ 가 나 다 라 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입국 및 홈경기 개최 거부로 FIFA-AFC 홈경기 금지 제재를 받아 모든 홈경기를 중립 홈경기로 치를 것이다.
- ↑ 2024년 이란-이스라엘 분쟁 관련 안보 문제 때문에, 아시아 축구연맹은 이란 대 카타르 경기를 제3국 중립구장으로 변경하였다.
- ↑ “Latest update on AFC Asian Qualifiers™ - Road to 26”. 《the-AFC.com》.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24년 10월 10일. 2024년 10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팔레스타인은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때문에 모든 홈경기를 중립 홈경기로 치를 것이다.
- ↑ 팔레스타인 축구협회는 2024년 8월 8일 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쿠웨이트, 알제리,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카타르 등에서 홈경기 제안을 받았고, 첫 홈경기 장소를 말레이시아로 결정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