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은 2024년 9월 5일부터 2025년 6월 10일까지 진행되는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으로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올라온 2차 예선 각 조 1위 9팀과 각 조 2위 9팀, 총 18개국들이 A조, B조, C조 6개국으로 나뉘어 홈 &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을 치러 각 조 1위와 2위팀은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 직행하며 각 조 3위와 4위 팀은 4차 예선에 진출하여 마지막 본선 2장 티켓을 놓고 각 조당 3팀씩 붙게 된다.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개최기간2024년 9월 5일 ~ 2025년 6월 10일
통계
최다 득점카타르 알무이즈 알리 (5골)
« 2022
2030 »

참가국

편집

(2차 예선)
1위 2위
A조   카타르   쿠웨이트
B조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C조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D조   오만   키르기스스탄
E조   이란   우즈베키스탄
F조   이라크   인도네시아
G조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H조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I조   오스트레일리아   팔레스타인

시드 배정과 대진 추첨

편집

3차 예선 대진 추첨은 2024년 6월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시행될 것이다.

포트 1 포트 2 포트 3
  1.   일본 (17위)
  2.   이란 (20위)
  3.   대한민국 (22위)
  1.   오스트레일리아 (23위)
  2.   카타르 (35위)
  3.   이라크 (55위)
  1.   사우디아라비아 (56위)
  2.   우즈베키스탄 (62위)
  3.   요르단 (68위)
포트 4 포트 5 포트 6
  1.   아랍에미리트 (69위)
  2.   오만 (76위)
  3.   바레인 (81위)

경기 일정

편집
Matchday Date
경기일 1 2024년 9월 5일(목)
경기일 2 2024년 9월 10일(화)
경기일 3 2024년 10월 10일(목)
경기일 4 2024년 10월 15일(화)
경기일 5 2024년 11월 14일(목)
경기일 6 2024년 11월 19일(화)
경기일 7 2025년 3월 20일(목)
경기일 8 2025년 3월 25일(화)
경기일 9 2025년 6월 5일(목)
경기일 10 2025년 6월 10일(화)

경기 결과

편집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이란 (X) 6 5 1 0 12 5 +7 16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25 Mar 20 Mar 4-1 1-0 10 Jun
2   우즈베키스탄 6 4 1 1 8 5 +3 13 0-0 1-0 10 Jun 20 Mar 1-0
3   아랍에미리트 6 3 1 2 12 4 +8 10 4차 예선 0-1 5 Jun 5-0 3-0 1-1
4   카타르 6 2 1 3 10 17 −7 7 5 Jun 3-2 1-3 3-1 20 Mar
5   키르기스스탄 6 1 0 5 6 13 −7 3 2-3 2-3 10 Jun 25 Mar 1-0
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6 0 2 4 5 9 −4 2 2-3 0-1 25 Mar 2-2 5 Jun
2024년 11월 20일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FIFA
(X) 최소 4차예선 진출 확보; 그러나 아직도 월드컵 본선 직행 가능..
우즈베키스탄   1 -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잘롤리딘 마샤리포프   20′
관중: 24,205
심판:   아흐마드 아부 바카르 사이드 알 카프
이란   1 - 0   키르기스스탄
메흐디 타레미   34′
관중: 12,077
심판:   아라키 유스케
카타르   1 - 3   아랍에미리트
이브라힘 알 하산   38′   68′ 하리브 알마즈미
  80′ 할레드 이브라힘
  90+4′ 알리 살레
관중: 33,952
심판:   숀 에번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 2   카타르
리일성   19′
강국철   51′
  31′ (페널티) 아크람 아피프
  44′ 알모에즈 알리
관중: 140
심판:   무함마드 나즈미 빈 바사루딘
키르기스스탄   2 - 3   우즈베키스탄
조엘 코조   15′
오딜존 압두라흐마노프   35′
  17′ 엘도르 쇼무로도프
  45′ 후스니딘 알리쿨로프
  72′ 오스톤 우루노프
관중: 13,282
심판:   아흐메드 알 알릴리
아랍에미리트   0 - 1   이란
  45+3′ 메흐디 가예디
관중: 17,826
심판:   김종혁

우즈베키스탄   0 - 0   이란
관중: 33,829
심판:   숀 에번스
카타르   3 - 1   키르기스스탄
알모에즈 알리   39′
타미를란 코주바예프   63′ (자책골)
이브라힘 알 하산   81′
  76′ 알리마르돈 슈쿠로프
관중: 25,195
심판:   무하마드 타키
아랍에미리트   1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야흐야 알가사니   66′   86′ 정일관
관중: 8,536
심판:   아담 마하드메

-


우즈베키스탄   1 - 0   아랍에미리트
오타벡 슈쿠로프   76′ (페널티)
관중: 32,773
심판:   마닝
키르기스스탄   1 -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흐리스티얀 브라우즈만   11′
관중: 9769
심판:   할레드 알-호이시
이란   4 - 1   카타르
사르다르 아즈문   42′48′
모함마드 모헤비   65′90+8′
  17′ 알모에즈 알리
관중: 7890
심판:   아라키 유스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 3   이란
메흐디 타레미   56′ (자책골)
김유성   59′
  29′ 메흐디 가예디
  41′45′ 모함마드 모헤비
심판:   사둘로 굴무로디
카타르   3 - 2   우즈베키스탄
알무이즈 알리   25′41′
루카스 멘데스   90+12′
  75′80′ 아보스벡 파이줄라예프
관중: 10,759
심판:   김종혁
아랍에미리트   3 - 0   키르기스스탄
하리브 알마즈미   15′89′
마르쿠스 멜로니   35′
관중: 6238
심판:   아흐메드 알 카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 - 1   우즈베키스탄
  44′ 아보스벡 파이줄라예프
심판:   아흐마드 알 알리
키르기스스탄   2 - 3   이란
조엘 코조   51′63′ (페널티)   12′ 메흐디 타레미
  33′ 살레흐 하르다니
  76′ 사르다르 아즈문
아랍에미리트   5 - 0   카타르
파비우 리마   4′45′ (페널티)45+5′56′ (페널티)
야흐야 알가사니   73′
관중: 13,825
심판:   할리드 살레 알 투라이스

이란   v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v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우즈베키스탄   v   키르기스스탄

이란   v   우즈베키스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v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v   이란
아랍에미리트   v   우즈베키스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v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v   카타르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대한민국 6 4 2 0 11 4 +7 14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3-2 25 Mar 20 Mar 10 Jun 0-0
2   이라크 6 3 2 1 5 3 +2 11 5 Jun 0-0 1-0 20 Mar 1-0
3   요르단 6 2 3 1 9 5 +4 9 4차 예선 0-2 10 Jun 4-0 1-1 20 Mar
4   오만 6 2 0 4 6 9 −3 6 1-3 0-1 5 Jun 4-0 1-0
5   쿠웨이트 6 0 4 2 5 11 −6 4 1-3 0-0 1-1 25 Mar 5 Jun
6   팔레스타인 6 0 3 3 4 8 −4 3 1-1 25 Mar 1-3 10 Jun 2-2
2024년 11월 20일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FIFA
대한민국   0 - 0   팔레스타인
이라크   1 - 0   오만
아이멘 후세인   13′
관중: 63,720
심판:   할리드 알-투라이스
요르단   1 - 1   쿠웨이트
무사 알타마리   14′   90+2′ (페널티) 유세프 나세르
관중: 13,555
심판:   아델 알-나크비

팔레스타인   1 - 3   요르단
웨삼 아부 알리   41′   4′50′ 야잔 알나이마트
  72′ 누르 알라왑데
관중: 3012
심판:   마제드 모함메드 알 샴라니
오만   1 - 3   대한민국
정승현   45+2′ (자책골)   10′ 황희찬
  81′ 손흥민
  90+11′ 주민규
관중: 27,144
심판:   마닝
쿠웨이트   0 - 0   이라크
관중: 58,000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요르단   0 - 2   대한민국
  38′ 이재성
  67′ 오현규
관중: 14,655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오만   4 - 0   쿠웨이트
압둘 라흐만 알 무샤이프리   17′58′
무흐센 알 가사니   30′
압둘라 파와즈   79′
관중: 25,891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이라크   1 - 0   팔레스타인
아이멘 후세인   31′
관중: 44,773
심판:   아델 알 나크비

대한민국   3 - 2   이라크
오세훈   41′
오현규   74′
이재성   83′
  50′ 아이멘 후세인
  90+5′ 이브라힘 바예시
관중: 35,198
심판:   루스탐 룻풀린
요르단   4 - 0   오만
야잔 알나이마트   26′54′
알리 올완   49′ (페널티)87′
관중: 14,515
심판:   할리드 알-투라이스
팔레스타인   2 - 2   쿠웨이트
유세프 나세르   31′ (페널티)80′
관중: 1827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쿠웨이트   1 - 3   대한민국
모함마드 다함   60′   10′ 오세훈
  19′ (페널티) 손흥민
  73′ 배준호
오만   1 - 0   팔레스타인
무센 알 가사니   83′
관중: 21,754
심판:   푸밍
이라크   0 - 0   요르단
관중: 65,000
심판:   모하메드 알 호이시

팔레스타인   1 - 1   대한민국
자이드 쿤바르   12′   16′ 손흥민
심판:   아라키 유스케
오만   0 - 1   이라크
  36′ 유세프 아민
관중: 26,377
심판:   오마르 모하메드 알 알리
쿠웨이트   1 - 1   요르단
모함마드 다함   68′   21′ 야잔 알나이마트

대한민국   v   오만
심판:  
이라크   v   쿠웨이트
요르단   v   팔레스타인

대한민국   v   요르단
팔레스타인   v   이라크
쿠웨이트   v   오만

이라크   v   대한민국
오만   v   요르단
쿠웨이트   v   팔레스타인

대한민국   v   쿠웨이트
요르단   v   이라크
팔레스타인   v   오만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일본 (X) 6 5 1 0 22 2 +20 16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1-1 10 Jun 25 Mar 20 Mar 7-0
2   오스트레일리아 6 1 4 1 6 5 +1 7 5 Jun 20 Mar 0-0 0-1 3-1
3   인도네시아 6 1 3 2 6 9 −3 6 4차 예선 0-4 0-0 2-0 25 Mar 5 Jun
4   사우디아라비아 6 1 3 2 3 6 −3 6 0-2 10 Jun 1-1 0-0 20 Mar
5   바레인 6 1 3 2 5 10 −5 6 0-5 2-2 2-2 5 Jun 0-1
6   중화인민공화국 6 2 0 4 6 16 −10 6 1-3 25 Mar 2-1 1-2 10 Jun
2024년 11월 20일까지의 경기 결과가 갱신되었다. 출처: FIFA
(X) 최소 4차예선 진출 확보; 그러나 아직도 월드컵 본선 직행 가능..
오스트레일리아   0 - 1   바레인
  89′ (자책골) 해리 사우타
관중: 24,644
심판:   오마르 모하메드 아흐메드 하산 알 알리
일본   7 - 0   중화인민공화국
엔도 와타루   12′
미토마 가오루   45+2′
미나미노 다쿠미   52′58′
이토 준야   77′
마에다 다이젠   86′
구보 다케후사   90+5′
사우디아라비아   1 - 1   인도네시아
무사브 알 주와이르   45+3′   19′ 라그나르 오랏망운
관중: 42,385
심판:   아담 마하드메

중화인민공화국   1 - 2   사우디아라비아
알리 라자미   14′ (자책골)   38′90′ 하산 카데시
관중: 48,628
심판:   나스룰로 카비로프
인도네시아   0 - 0   오스트레일리아
관중: 70,059
심판:   살만 아흐마드 팔라히
바레인   0 - 5   일본
관중: 22,729
심판:   루스탐 룻풀린

오스트레일리아   3 - 1   중화인민공화국
루이스 밀러   45+2′
크레이그 굿윈   53′
니샨 벨루필레이   90+2′
  20′ 셰원넝(谢文能)
관중: 46,291
심판:   나즈미 나사루딘
바레인   2 - 2   인도네시아
모하메드 마룬   15′90+9′   45+3′ 라그나르 오랏망운
  74′ 라파엘 스트라위크
관중: 10,731
심판:   아흐메드 알 카프
사우디아라비아   0 - 2   일본
  14′ 가마다 다이치
  81′ 오가와 고키

일본   1 - 1   오스트레일리아
캐머런 버지스   76′ (자책골)   58′ (자책골) 다니구치 쇼고
관중: 58,730
심판:   아흐메드 알-알리
중화인민공화국   2 - 1   인도네시아
바이허라무 아부두와이리   21′
장위닝 (張玉寧)   44′
  86′ 톰 헤이
관중: 37,133
심판:   오마르 알-알리
사우디아라비아   0 - 0   바레인
관중: 35,437
심판:   살만 아흐마드 팔라히

오스트레일리아   0 - 0   사우디아라비아
관중: 27,491
심판:   알리 사이드 알 나크비
바레인   0 - 1   중화인민공화국
  90+1′ 장위닝 (張玉寧)
관중: 7921
심판:   아담 마하드메
인도네시아   0 - 4   일본
  35′ (자책골) 저스틴 허브너
  40′ 미나미노 다쿠미
  49′ 모리타 히데마사
  69′ 스가와라 유키나리
관중: 60,304
심판:   모우드 보냐디파르드

인도네시아   2 - 0   사우디아라비아
마르셀리노 페르디난   31′56′
관중: 55,970
심판:   루스탐 룻풀린
중화인민공화국   1 - 3   일본
린량밍   49′   39′53′ 오가와 고키
  45+5′ 이타쿠라 고
관중: 45,336
심판:   무하마드 타키
바레인   2 - 2   오스트레일리아
마흐디 압둘자바르   75′77′   1′90+6′ 쿠시니 옝기
심판:   고형진

일본   v   바레인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v   인도네시아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v   중화인민공화국
심판:  

일본   v   사우디아라비아
심판:  
중화인민공화국   v   오스트레일리아
심판:  
인도네시아   v   바레인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v   일본
심판:  
바레인   v   사우디아라비아
심판:  
인도네시아   v   중화인민공화국
심판:  

일본   v   인도네시아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v   오스트레일리아
심판:  
중화인민공화국   v   바레인
심판: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내용주


참조주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입국 및 홈경기 개최 거부로 FIFA-AFC 홈경기 금지 제재를 받아 모든 홈경기를 중립 홈경기로 치를 것이다.
  2. 2024년 이란-이스라엘 분쟁 관련 안보 문제 때문에, 아시아 축구연맹은 이란 대 카타르 경기를 제3국 중립구장으로 변경하였다.
  3. “Latest update on AFC Asian Qualifiers™ - Road to 26”. 《the-AFC.com》.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24년 10월 10일. 2024년 10월 10일에 확인함. 
  4. 팔레스타인은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때문에 모든 홈경기를 중립 홈경기로 치를 것이다.
  5. 팔레스타인 축구협회는 2024년 8월 8일 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쿠웨이트, 알제리,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카타르 등에서 홈경기 제안을 받았고, 첫 홈경기 장소를 말레이시아로 결정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