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손 혜성
아이손 혜성(영어: Comet ISON), 또는 공식 명칭 C/2012 S1은 2012년 9월 21일 비탈리 넵스키(Виталий Невский, 비테브스크, 벨로루시) 및 아르티옴 노비쵸노크 (Артём Новичонок, 콘도포가, 러시아)에 의해 발견된 선그레이징 혜성이다.[4] 혜성은 키슬로보스크의 국제 과학 광학 네트워크의 0.4미터 반사 망원경으로 발견되었다.[1] 데이터 처리는 자동화된 소행성 탐색 프로그램 CoLiTec에 의해 처리되었다.[5] 2011년 12월 28일 레몬산 천문대에서 촬영한 사진 및 2012년 1월 28일 판스타스에 의해 발견된 사진도 포함되었다.[6] 후속 관측은 2012년 9월 22일 Remanzacco 천문대 팀이 iTelescope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1][7] 발견은 소행성 센터에 의해 9월 24일 공표되었다.[6] 스위프트(SWIFT)에 의한 관측에서는 혜성의 핵이 직경 약 5km일 것으로 예측되었다.[8] 이후 핵의 크기는 직경이 겨우 2km 정도일 것으로 예측되었다.[9] 화성정찰위성(MRO)의 관측에서는 핵의 크기가 800미터 이하일 것으로 예측했다.[10]
아이손 혜성 (C/2012 S1) | ||
발견 | ||
---|---|---|
발견자 | 비탈리 넵스키 아르티옴 노비쵸노크 아이손-키슬로보스크, 러시아 0.4미터 반사망원경 사용 (관측소 코드 D00)[1] | |
궤도 성질 | ||
근일점(q) | 0.01244 AU (q)[2] | |
주기(P) | ~400,000년 쌍곡선 궤도 (역기점 2050)[3] | |
궤도 이심률(e) | 0.9999947[2] 1.0002 (역기점 2050)[3] | |
물리적 성질 | ||
절대등급 | +6 |
아이손 혜성은 2013년 11월 28일 근일점 통과 당시, 처음에 태양의 열과 조석력에 의해 분해되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11][12] 그러나, 그날 미국 항공 우주국에서 시행하는 프로그램이었던 CIOC(아이손 혜성 관측 캠페인; Comet ISON Observing Campaign) 팀의 구성원들이 코마와 비슷한 형태를 발견하여, 작은 파편이 근일점에서 생존했을 가능성을 보였다.[11][12][13][14][15] 협정세계시 기준 2013년 11월 29일, 이 혜성의 밝기는 +5등성 이하로 어두워졌다.[16] 2013년 11월 30일에는 +7등성 이하로 떨어졌다.[17] 12월 1일에는 소호 태양 관측 위성의 관측 영역을 벗어나면서, 더 어두워졌다.[18][19] 12월 2일, CIOC 멤버들은 마침내 아이손 혜성이 모두 분해되었다고 발표했으나,[20] NASA에서는 비활성화된 아이손 혜성의 잔해가 남아 있을 가능성을 계속 조사하고 있다.[21] 12월 18일, 허블 우주 망원경은 파편 관측에 실패했다.[22] 관측은 +25등성이 한계였으며, +25등성은 혜성의 파편 크기가 직경 160미터 이상일 때의 밝기이다. 즉, 아이손 혜성의 잔해가 계속 존재한다면, 그 크기는 160미터 이하일 것으로 추정된다. 2014년 1월 5일경, 호세 프란시스코 헤르난데스(Jose Francisco Hernandez)가 아이손 혜성의 잔해로 보이는 사진을 촬영했다.[23]
아이손 혜성은 1973년~1974년에 대혜성이 될 것이라 기대되었던 코후테크 혜성과 종종 비교되는데, 코후테크 혜성 역시 예측이 빗나가 결국 흐지부지되고 말았다.
궤도
편집아이손 혜성은 2013년 11월 28일 태양 중심으로부터 0.0124AU (약 186만 km) 떨어진 지점(근일점)을 통과했다.[2] 태양의 반지름을 고려하면, 아이손 혜성은 태양 표면으로부터 116만 5천 km 떨어진 지점을 통과한 셈이 된다.[24] 궤도 특성은 쌍곡선 궤도이며, 때문에 이 혜성은 오르트 구름에서 갓 만들어진 새로운 혜성일 것으로 보인다.[25][26] 근일점 부근의 태양-혜성 이체 문제의 궤도 해답에서, 이 혜성의 주기는 약 400,000년일 것으로 추측되었다.[27] 허나, 이 혜성이 매우 높은 이심률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태양의 중심 좌표는 일심좌표에 비해 훨씬 안정하다.[28] 장주기 혜성의 주기는 보통 혜성의 접촉 궤도가 혜성이 태양계의 중심을 떠나고 난 이후 계산될 때, 같이 계산된다. NASA의 제트추진연구소의 호라이즌 시스템을 사용한 결과, 2050년 1월 1일 역기점에서 쌍곡선 궤도의 해답을 내놓았다.[3] 아이손 혜성은 2013년 10월 1일 화성으로부터 0.07248AU 떨어진 지점을 통과했고, 2013년 12월 26일 지구로부터 0.43AU 떨어진 곳을 통과했다.[29]
발견 후 얼마 되지 않아서, 아이손 혜성과 1680년 대혜성의 궤도 요소가 놀랄 정도로 비슷하여, 두 혜성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였다.[30] 그러나 이후 관측에서, 두 혜성은 서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31]
지구는 2014년 1월 14일~15일에 아이손 혜성의 궤도 부근을 지났고, 궤도에 있는 작은 혜성 먼지 입자들이 유성우 또는 야광운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었으나,[32][33] 두 사건은 매우 불확실하다. 왜냐하면 지구는 단지 아이손 혜성의 궤도 부근을 통과하고, 꼬리를 직접적으로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유성우가 일어날 가능성이 극히 낮기 때문이다.[34] 게다가 단 한 번 태양계를 방문하는 비주기 혜성이 지구에 유성우를 일으킨 경우는 매우 희귀하다.[35] 또한 야광운이 발생한 가능성도 마찬가지로 매우 낮다. 또한 과거에 같은 상황이 왔을 때도 이러한 경우는 일어나지 않았다.[35]
밝기, 관측, 그리고 가시성
편집발견 당시, 아이손 혜성의 밝기는 +18.8등성 정도였고, 이는 육안으로 보기에는 매우 어두웠지만,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대형 망원경으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정도였다.[36][37] 그러고 나서 이 혜성은 보통의 대부분의 혜성처럼 밝기가 점점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다.
적어도 수십 기의 탐사선이 아이손 혜성을 촬영했다.[21] 이것은 처음에 스위프트 감마선 관측 위성에 의해 촬영되었고, 이후 딥 임팩트 탐사선이 2013년 1월 및 2월에 촬영했으며, 이때부터 꼬리가 보이기 시작했다. 2013년 4월 및 5월에 허블 우주 망원경이 아이손 혜성을 관측하여, 아이손 혜성의 크기, 색깔, 범위, 그리고 방출된 먼지의 분극을 측정했다. 6월에는 스피처 우주 망원경이 아이손 혜성을 관측하였고, 혜성으로부터 이산화탄소가 하루에 1000 톤 정도 방출되고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38] 2013년 6월 5일부터 8월 29일까지 아이손 혜성의 이각은 태양으로부터 30도 미만이었다.[39] 어떠한 회전 변이성도 위의 4가지 우주 망원경에 의해 관측되지 않았다. 아마추어 천문가인 브루스 게리(Bruce Gary)는 2013년 8월 12일, 아이손 혜성이 지평선으로부터 6도 떨어져 있고, 태양으로부터의 이각이 19도일 때 재발견하였다.[40] 이 혜성의 밝아지는 속도가 예상보다 느려졌기 때문에, 2013년 10월 초까지만 해도 이 혜성은 소형 망원경으로만 볼 수 있었다.[41]
2013년 10월 1일, 아이손 혜성은 화성으로부터 0.07248 AU 떨어진 곳을 통과했다. 9월 29일부터 10월 2일까지, 화성 정찰 위성(MRO)이 아이손 혜성을 발견했다.[42] 두 대의 스테레오(STEREO) 관측 위성이 10월 둘째주부터 아이손 혜성을 관측하기 시작했다.[43] 2013년 10월 아이손 혜성의 이미지로부터 혜성이 녹색으로 빛나기 시작했으며, 시아노겐 및 이원자 탄소(C2)를 방출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44] 2013년 10월 31일, 아이손 혜성은 10×50 규격 쌍안경으로 보이기 시작했다.[45]
2013년 11월 14일, 일부 천문가들에 의해 어두운 곳에서 아이손 혜성이 육안으로 보이기 시작했다고 보고되었다.[46] 그것은 같은 시기 육안으로 보이기 시작한 혜성인 C/2013 R1과 비슷한 형태로 보였다. 아이손 혜성은 11월 중순까지 +6등성 이하로 빛났으며,[39][47] 게다가 +4등성으로 밝아질 때까지 대중에 의해 관측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되지 않았다.[41] 11월 17일에서 18일에 아이손 혜성이 밝아지기 시작했을 때, 이 혜성은 이때부터 비로소 많은 사람들에 의해 육안으로 보이기 시작했으며, 처녀자리의 스피카 부근을 지났다.[48] 그러나 보름달과 새벽의 여명에 의해, 아이손 혜성은 광학적 도움 없이 대중이 쉽게 볼 수는 없었다. 11월 22일, 아이손 혜성은 수성보다 낮게 뜨기 시작했다.[49] 소호 태양 관측 위성은 11월 27일부터 LASCO 장비로 관측을 시작했다.[43][50] 11월 27일, 이 혜성은 -2등성으로 밝아졌고,[note 1][51] 전갈자리 델타 부근을 지났다.[52] 11월 28일 근일점 통과 때, 만약 그것이 온전히 살아남았다면 극도로 밝아졌을 것이다. 그러나 혜성의 밝기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특히 태양에 가까이 다가갈 때의 예측은 더더욱 어렵다. 처음에, 언론에서는 이 혜성이 -17등성, 즉 보름달보다 60배 더 밝아질 것으로 기대했지만,[25][26] 이후의 더 많은 관측 데이터로 계산한 결과, 아이손 혜성은 겨우 -3등성에서-5 등성 정도, 즉 금성의 밝기 정도로 밝아질 것으로 예상되었다.[47][53] 그와 비교하여, 1935년 이후 가장 밝은 혜성은 1965년의 이케야-세키 혜성으로, 최대밝기 -10등성을 기록한 혜성이다.[54] 2013년 11월 29일, 이 혜성은 +5등성 이하로 어두워졌다.[16] 2013년 11월 30일이 지날 때쯤, 이 혜성의 밝기는 +7등성 이하로 더욱 어두워졌다.[17]
2013년 2월의 연구에서, 총 1,897개의 관측 데이터가 광도 곡선을 산출하는 데 쓰였다. 산출된 광도 곡선에서 아이손 혜성은 보통의 선그레이징 혜성처럼 광도가 증가하는 형태를 띠었다.[56] 만약 초기의 이러한 양상으로 계속 가서 근일점을 통과했다면, 이 혜성의 최대 밝기는 -17등성 정도였을 것이다. 그러나 이후 판스타스 혜성(C/2011 L4) 같은, 오르트 구름에서 갓 생긴 혜성처럼, 밝아지는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슬로다운 이벤트)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아이손 혜성의 최대 밝기는 근일점에서 온전히 살아남았다고 할 지라도 이전의 예측처럼 그렇게 극도로 빛나지 않을 것이며, 아무리 밝아 봤자 -6등성 정도까지 밝아질 것으로 예상되었다.[53] 이 혜성은 갓 태어난 혜성(baby comet)인 것으로 확인되었다.[56] 근일점 통과 시 혜성의 표면온도는 약 2,700도 정도로 계산되었고, 이는 철을 녹일 수 있을 정도의 열이다. 또, 아이손 혜성은 근일점에서 로슈 한계 이내에 있으므로, 이 혜성이 근일점을 통과하면서 중력에 의해 분해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아이손 혜성은 태양에 제일 가까이 다가갈 때 제일 밝을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태양으로부터 겨우 1도도 채 안되는 곳을 통과하고 태양의 강한 빛 때문에 관측하기 매우 어려웠다.[57] 아이손 혜성은 2013년 12월 중순부터 하순까지 북반구 천문학자들이 집중적으로 다시 탐색했었다.[58] 만약 이 혜성이 온전히 살아남았었다면, 이 혜성은 2014년 1월 이전까지 육안으로 볼 수 있었을 것이다.[25][37] 또 이 혜성은 천구를 지나면서 북극성으로부터 2도 떨어진 지점을 지났을 것이다.[37]
혜성의 명명
편집아이손 혜성의 공식 명칭은 C/2012 S1이다.[note 2][59] 이 혜성의 이름은 "아이손"(ISON)이라 명명되었는데, 이는 발견한 단체 이름이 국제 과학 광학 네트워크(ISON)이기 때문이다. 초기 발견 보고에서 이 천체는 소행성으로 인식되어 지구 근접 소행성 목록에 추가되기도 했었다. 이후 국제 과학 광학 네트워크에 속한 팀의 후속 관측 보고가 이루어지자, 국제 천문 연맹에서 이 혜성의 이름을 "ISON"(아이손)으로 공표했다.[60]
언론 적용 범위
편집2012년 이 혜성이 발견된 이후, 몇몇 언론에서는 이 혜성을 "세기의 혜성"(Comet of the Century)이라 이름붙이며 보름달보다 더 밝아질 것으로 예상했다.[61] Astronomy Now 칼럼니스트는 2012년 9월에 "만약 예상이 실현될 경우 아이손 혜성은 인류 역사상 최고의 혜성 중 하나가 될 것이다."라고 썼다.[25] 2013년 10월에는 데일리 메일 칼럼니스트가 아이손 혜성을 "세기의 혜성"이라 묘사하면서 보름달보다 15배 이상 밝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썼다.[62]
그러나 천문학자인 칼 바탐스(Karl Battams)는 언론의 아이손 혜성에 대한 추측(보름달보다 더 밝아질 것)에 대해 비판하면서, CIOC 멤버들은 아이손 혜성이 그 정도로 밝아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63]
주해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Guido, Ernesto; Sostero, Giovanni; Howes, Nick (2012년 9월 24일). “New Comet: C/2012 S1 (ISON)”. Associazione Friulana di Astronomia e Meteorologia. 2012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MPEC 2013-W16 : COMET C/2012 S1 (ISON)”. IAU Minor Planet Center. 2013년 11월 26일. 2013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Horizons output. “Barycentric Osculating Orbital Elements for Comet C/2012 S1 (ISON)”. 《NASA》. 2012년 11월 25일에 확인함. (Solution using the Solar System Barycenter and barycentric coordinates. Select Ephemeris Type:Elements and Center:@0)
- ↑ Trigo-Rodríguez, J. M.; Meech, K. J.; Rodriguez, D.; Sánchez, A.; Lacruz, J.; Riesen, T. E. (2013). 《Post-discovery Photometric Follow-up of Sungrazing Comet C/2012 S1 ISON》 (PDF). 44th Lunar and Planetary Science Conference. 18–22 March 2013. The Woodlands, Texas. #1576.
- ↑ “Open the Great Comet Comet C/2012 S1 (ISON)”. 《Neoastrasoft.com》. 2012년 10월 12일. 2014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MPEC 2012-S63: Comet C/2012 S1 (ISON)”. IAU Minor Planet Center. 2012년 9월 24일. CK12S010. 2012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Atkinson, Nancy (2012년 9월 25일). “New 'Sun-Skirting' Comet Could Provide Dazzling Display in 2013”. 《Universe Today》. 2012년 9월 28일에 확인함.
- ↑ Reddy, Francis (2013년 3월 29일). “NASA's Swift Sizes Up Comet ISON”. 《NASA.gov》. 2013년 4월 23일에 확인함.
- ↑ Plait, Phil (2013년 11월 21일). “12 Cool Facts about Comet ISON”. 《Slate (magazine)》. 2013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 Fox, Karen C. (2013년 12월 10일). “Fire vs. Ice: The Science of ISON at Perihelion”. 《NASA.gov》. 2014년 1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Battams, Karl (2013년 11월 28일). “Schrödinger's Comet”. CIOC. 2014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MacRobert, Alan (2013년 11월 28일). “Latest Updates on Comet ISON”. 《Sky & Telescope》. 2013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 https://twitter.com/SungrazerComets/status/406252924705071104
- ↑ Plait, Phil (2013년 11월 28일). “ISON Update for 22:00 UTC Nov. 28”. 《Slate (magazine)》. 2013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 Chang, Kenneth (2013년 11월 29일). “Comet ISON, Presumed Dead, Shows New Life”. 《The New York Times》. 2013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Battams, Karl (2013년 11월 29일). “In ISON's Wake, a Trail of Questions”. CIOC. 2014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https://twitter.com/SungrazerComets/status/406940937919533056
- ↑ Comet ISON's leftovers fade away, right before a satellite's eyes. Boyle, Alan. NBC News. (November 30, 2013.) Retrieved December 9, 2013.
- ↑ “comet ISON's current status”. NASA Comet ISON Observing Campaign. 2013년 11월 30일. 2014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Battams, Karl (2013년 12월 2일). “In Memoriam”. CIOC. 2013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Fox, Karen C. (2013년 12월 2일). “NASA Investigating the Life of Comet ISON”. 《NASA.gov》. 2019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Levay, Zolt (2013년 12월 20일). “BREAKING NEWS: Comet ISON Is Still Dead”. 《Hubblesite.org》. 2013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Possible C/2012 S1? - By Jose Francisco Hernandez
- ↑ Pickup, Alan (2013년 10월 13일). “Starwatch: The brightening of ISON”. 《The Guardian》. 2013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Grego, Peter (2012년 9월 25일). “New comet might blaze brighter than the full Moon”. 《Astronomy Now》. 2013년 9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Hecht, Jeff (2012년 9월 25일). “Newly spotted comet may outshine the full moon”. 《New Scientist》. 2013년 8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28일에 확인함.
- ↑ Plait, Phil (2013년 11월 25일). “Is Comet ISON Heading for Interstellar Space?”. 《Slate (magazine)》. 2013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 Kaib, Nathan A.; Becker, Andrew C.; Jones, R. Lynne; Puckett, Andrew W.; Bizyaev, Dmitry; Dilday, Benjamin; Frieman, Joshua A.; Oravetz, Daniel J.; Pan, Kaike; Quinn, Thomas; Schneider, Donald P.; Watters, Shannon (2009). “2006 SQ372: A Likely Long-Period Comet from the Inner Oort Cloud”. 《The Astrophysical Journal》 695 (1): 268–275. arXiv:0901.1690. Bibcode:2009ApJ...695..268K. doi:10.1088/0004-637X/695/1/268.
- ↑ “JPL Close-Approach Data: C/2012 S1 (ISON)”. 《NASA.gov》. 2012년 11월 15일. 2012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 Bortle, J. (2012년 9월 24일). “Re: C/2012 S1 (ISON), Some Further Thoughts”. 《comets-ml》 (메일링 리스트) (Yahoo! Groups). 2013년 8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5일에 확인함.
- ↑ “Let History Be Our Guide?”. 《Comet ISON Observing Campaign》. 2013년 7월 22일. 2013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일에 확인함.
- ↑ King, Bob (2012년 10월 19일). “Wassup with comets Hergenrother, L4 PanSTARRS and S1 ISON”. 《Astro Bob》. Areavoices.com. 2013년 1월 1일에 확인함.
- ↑ Phillips, Tony (2013년 4월 19일). “Comet ISON Meteor Shower”. 《NASA.gov》. 2013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23일에 확인함.
- ↑ Sekhar, A.; Asher, D. J. (2013년 10월 11일). “Meteor showers on Earth from sungrazing comets” (PDF).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arXiv:1310.3171. Bibcode:2013arXiv1310.3171S. 2013년 12월 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Comet ISON - Latest Updates, FAQ and Viewing Guide”. 《Nightskyinfo.com》. 2013년 7월 22일에 확인함.
- ↑ Rao, Joe (2012년 9월 25일). “Newfound Comet Could Look Spectacular in 2013”. 《Space.com》. 2012년 9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Bakich, Michael E. (2012년 9월 25일). “Comet ISON will light up the sky”. 《Astronomy》. 2019년 5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28일에 확인함.
- ↑ “NASA's Spitzer Observes Gas Emission From Comet ISON”. 《NASA》. 2013년 7월 23일. 2013년 8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Elements and Ephemeris for C/2012 S1 (ISON)”. IAU Minor Planet Center. 2013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23일에 확인함.
- ↑ Gary, Bruce (2013년 8월 12일). “Comet ISON Observations by an Amateur Observer: Recovery Observation”. 《BruceGary.net》. 2013년 10월 4일에 확인함.
- ↑ 가 나 Dickinson, David (2013년 9월 23일). “Comet ISON: A Viewing Guide from Now to Perihelion”. 《Universe Today》. 2013년 10월 4일에 확인함.
- ↑ Delamere, Alan; McEwen, Alfred. “First HiRISE Images of Comet ISON”. University of Arizona (HiRISE). 2013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Anticipated STEREO observations of Comet ISON”. NASA STEREO Science Center. 2013년 2월 27일. 2013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Atkinson, Nancy (2013년 10월 24일). “Why Is Comet ISON Green?”. 《Universe Today》. 2013년 10월 31일에 확인함.
- ↑ González, Juan José (2013년 10월 31일). “C/2012 S1, C/2012 X1, C/2013 R1, 2P”. Yahoo! Groups: Comet Observations. 2013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31일에 확인함. (just a few days ago we saw the first reports of ground-based observers being able to view ISON through binoculars) Archived 2014년 2월 19일 - 웨이백 머신
- ↑ Flanders, Tony (2013년 11월 14일). “Comet ISON Comes to Life!”. 《Sky & Telescope》. 2013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Bortle, John (2013년 6월 13일). “Comet ISON approaches”. 《Sky & Telescope》. 2013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14일에 확인함.
- ↑ Atkinson, Nancy (2013년 11월 15일). “Whoa. Take a Look at Comet ISON Now”. 《Universe Today》. 2013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 King, Bob (2013년 11월 11일). “Mercury enters early morning comet traffic jam”. 《Astro Bob》. Areavoices.com. 2013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18일에 확인함.
- ↑ “LASCO image 27 November 16:08”. 2013년 1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24일에 확인함.
- ↑ Battams, Karl (2013년 11월 27일). “Very quick update”. CIOC. 2014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 Musgrave, Ian (2013년 11월 28일). “Is Comet C/2012 S1 ISON on Track?”. 《Astroblog》. 2013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ISON Updates from the CIOC”. 《Sungrazing Comets》. U.S. Navy. 2013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Brightest comets seen since 1935”. International Comet Quarterly. 2012년 9월 28일에 확인함.
- ↑ “Hubble captures Comet ISON”. 《SpaceTelescope.org》. 2013년 4월 24일. 2020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Ferrín, Ignacio (2013). “Secular Light Curves of Comets C/2011 L4 Panstarrs and C/2012 S1 ISON Compared to 1P/Halley”. arXiv:1302.4621v1 [astro-ph].
- ↑ Beatty, Kelly (2012년 9월 27일). “A "Dream Comet" Heading Our Way?”. 《Sky & Telescope》. 2012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28일에 확인함.
- ↑ Dickinson, David (2012년 9월 25일). “Will we have a Christmas comet in 2013?”. 《Canada.com》. 2013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30일에 확인함.
- ↑ “Comet ISON - Latest Updates, FAQ and Viewing Guide”. 《Nightskyinfo.com》. 2013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Comet C/2012 S1 (ISON)”. Harvard University Cometary Science Archive. 2012. 2013년 11월 22일에 확인함.
- ↑ Chang, Kenneth (2013년 11월 27일). “Comet Nears Sun, Offering Planetary Clues”. 《The New York Times》. 2013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Griffiths, Sarah (2013년 10월 18일). “Dazzling 'comet of the century' is still intact! Icy ball 15 times brighter than the moon might be visible in December - IF it survives”. 《Daily Mail》. 2013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Atkinson, Nancy (2013년 7월 30일). “Rumors of Comet ISON 'Fizzling' May be Greatly Exaggerated”. 《Universe Today》. 2013년 10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ISONCampaign.org, NASA 아이손 혜성 관측 캠페인
- 아이손 혜성 관측 도구, NASA 태양계 탐사
- C/2012 S1 (ISON), 국제천문연맹 소행성 센터
- C/2012 S1 (ISON), NASA 제트추진연구소 소천체 센터
- C/2012 S1 (ISON), 요시다 세이이치
- C/2012 S1 (ISON), 게리 크롱크
- "STEREO 관측이 예상한 아이손 혜성", NASA 스테레오 과학 센터
- "아이손 혜성의 위험한 여행", NASA
- 언론 및 대중 매체
- 육안에서의 아이손 혜성, NASA 태양계 탐사
- 사이언스캐스트: 세기의 혜성, Science@NASA, 유튜브 (story)
- NASA의 딥 임팩트 탐사선이 아이손 혜성을 촬영하다, JPL 뉴스
- SOHO LASCO C3 장비로 본 아이손 혜성의 경로, 빌 톰슨
- 아이손 혜성 및 4417 레카르(Lecar) 소행성의 타임랩스 이미지, Erik Bryssinck
- 소행성 센터 관측 자료
- MPEC 2013-W16 (2013년 11월 26일 : 6120 obs : Epoch 2013 Dec 14 e=0.9999947 q=0.0124439 includes nongravitational parameters)
- MPEC 2013-W13 (2013년 11월 25일 : 5586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19 q=0.0124479)
- MPEC 2013-S75 (2013년 10월 30일 : 4308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20 q=0.0124441)
- MPEC 2013-S08 (2013년 9월 16일 : 3997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19 q=0.0124442)
- MPEC 2013-R59 (2013년 9월 6일 : 3897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19 q=0.0124441)
- MPEC 2013-H38 (2013년 4월 23일 : 3442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20 q=0.0124437)
- MPEC 2013-G31 (2013년 4월 9일 : 3307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21 q=0.0124435)
- MPEC 2013-F47 (2013년 3월 25일 : 3121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22 q=0.0124434)
- MPEC 2013-F20 (2013년 3월 18일 : 3047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22 q=0.0124434)
- MPEC 2013-E40 (2013년 3월 9일 : 2799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22 q=0.0124437)
- MPEC 2013-D50 (2013년 2월 23일 : 2372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20 q=0.0124436)
- MPEC 2013-C52 (2013년 2월 12일 : 1999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19 q=0.0124439)
- MPEC 2013-A85 (2013년 1월 14일 : 1418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16 q=0.0124445)
- MPEC 2012-Y30 (2012년 12월 26일 : 1000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15 q=0.0124443)
- MPEC 2012-X53 (2012년 12월 11일 : 812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14 q=0.0124453)
- MPEC 2012-W54 (2012년 11월 27일 : 706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14 q=0.0124475)
- MPEC 2012-V101 (2012년 11월 15일 : 538 obs)
- MPEC 2012-U109 (2012년 10월 26일 : 418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13 q=0.0124484)
- MPEC 2012-T73 (2012년 10월 12일 : 272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08 q=0.0124472)
- MPEC 2012-T08 (2012년 10월 3일 : 163 obs : Epoch 2013 Dec 14 e=1.0000013 : (1/a)_orig = +0.00005808, (1/a)_fut = +0.000007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