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쪽어깨신경

상지의 신경
(Dorsal scapular nerve에서 넘어옴)

등쪽어깨신경(dorsal scapular nerve) 또는 견갑배신경(肩胛背神經)은 팔신경얼기의 가지로, 큰마름근, 작은마름근, 어깨올림근에 분포한다. 신경은 어깨뼈척주 쪽, 즉 안쪽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등쪽어깨신경 증후군은 날개어깨뼈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어깨에 통증을 유발하고 움직임을 제한시킨다.

등쪽어깨신경
앞에서 본 오른쪽 팔신경얼기. 등쪽어깨신경은 'Dorsalis scapulae'로 그림의 왼쪽에 위에서 두 번째로 표시되어 있다.
정보
기원팔신경얼기의 C5
분포 구조큰마름근, 작은마름근, 어깨올림근
식별자
라틴어nervus dorsalis scapulae
영어dorsal scapular nerve
TA98A14.2.03.011
TA26409
FMA65279

구조

편집

등쪽어깨신경은 팔신경얼기가 기원이며 보통 팔신경얼기 뿌리(척수신경 C5앞가지)에서 시작된다.[1][2][3] C5를 떠난 후 등쪽어깨신경은 보통 중간목갈비근을 관통하고, 어깨올림근과 마름근의 깊은 쪽에서 계속된다.[1]

등쪽어깨동맥이 동반하여 주행한다.[4]

기능

편집

등쪽어깨신경은 마름근으로 가는 운동신경 성분을 운반한다. 이로 인해 어깨뼈척주를 향해 안쪽으로 당겨진다. 또한 어깨올림근에도 운동신경으로서 분포한다. 어깨올림근은 어깨뼈를 올리는 작용을 한다.[2][3] 이 작용은 어깨뼈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5]

임상적 중요성

편집

등쪽어깨신경 손상은 손상된 쪽의 어깨뼈가 정상 상태의 어깨뼈보다 정중선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하고 있을 때 시진을 통해 보통 판단할 수 있다. 환자는 어깨를 뒤쪽으로 당기는 게 불가능할 수 있다. 등쪽어깨신경만이 손상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고, 목갈비근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보통 보고된다.[6]

빗장위(supraclavicular) 신경 차단 시에는 일반적으로 마취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수술 뒤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7]

등쪽어깨신경 증후군

편집

등쪽어깨신경 증후군(dorsal scapular nerve syndrome) 또는 견갑배신경 증후군신경 압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날개어깨뼈가 가장 흔한 증상이다. 어깨 통증도 나타날 수 있다. 신경이 분포하는 큰마름근, 작은마름근, 어깨올림근은 쇠약해진다. 움직임의 범위 역시 제한될 수 있다. 치료는 주로 보존요법을 시행한다.[8]

추가 이미지

편집

각주

편집
  1. Tubbs, R. Shane; Goodrich, Dylan; Watanabe, Koichi; Loukas, Marios (2015년 1월 1일), Tubbs, R. Shane; Rizk, Elias; Shoja, Mohammadali M.; Loukas, Marios, 편집., “Chapter 43 - Anatomic Landmarks for Selected Nerves of the Head, Neck, and Upper and Lower Limbs”, 《Nerves and Nerve Injuries》 (영어) (San Diego: Academic Press), 575–588쪽, doi:10.1016/b978-0-12-410390-0.00045-7, ISBN 978-0-12-410390-0, 2020년 11월 2일에 확인함 
  2. Felten, David L.; O'Banion, M. Kerry; Maida, Mary Summo (2016), “Peripheral Nervous System”, 《Netter's Atlas of Neuroscience》 (영어) (Elsevier), 153–231쪽, doi:10.1016/b978-0-323-26511-9.00009-6, ISBN 978-0-323-26511-9, 2020년 11월 2일에 확인함 
  3. Ma, Yun-tao (2011년 1월 1일), Ma, Yun-tao, 편집., “CHAPTER 8 - Neuroanatomy of Acu-Reflex Points”, 《Acupuncture for Sports and Trauma Rehabilitation》 (영어) (Saint Louis: Churchill Livingstone), 88–131쪽, doi:10.1016/b978-1-4377-0927-8.00008-7, ISBN 978-1-4377-0927-8, 2020년 11월 2일에 확인함 
  4. Chang, Ke-Vin; Lin, Chih-Peng; Lin, Chia-Shiang; Wu, Wei-Ting; Karmakar, Manoj K; Özçakar, Levent (2017년 1월 4일). “Sonographic tracking of trunk nerves: essential for ultrasound-guided pain management and research”. 《Journal of Pain Research》 10: 79–88. doi:10.2147/JPR.S123828. ISSN 1178-7090. PMC 5222601. PMID 28115867. 
  5. Loftus, Brian; Athni, Sudhir; Cherches, Igor (2010년 1월 1일). 〈Chapter 2 - Clinical Neuroanatomy〉. 《Neurology Secrets》 (영어) 5판. Mosby. 18–54쪽. doi:10.1016/b978-0-323-05712-7.00002-7. ISBN 978-0-323-05712-7. 
  6. Akuthota, Venu; Herring, Stanley A. (2009년 5월 28일). 《Nerve and Vascular Injuries in Sports Medicin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 9780387766003 – Google Books 경유. 
  7. Williams, Brain A.; Neumann, Krystof J.; Goel, Shiv K.; Wu, Christopher L. (2008). 〈14 - Postoperative Pain and Other Acute Pain Syndromes〉. 《Raj's Practical Management of Pain》 (영어) 4판. Mosby. 299–334쪽. doi:10.1016/B978-032304184-3.50017-0. ISBN 978-0-323-04184-3. 
  8. Rea, Paul (2015년 1월 1일). 〈Chapter 2 - Upper Limb Nerve Supply〉. 《Essential Clinically Applied Anatomy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n the Limbs》 (영어). Academic Press. 41–100쪽. doi:10.1016/B978-0-12-803062-2.00002-4. ISBN 978-0-12-803062-2.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