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ife
eLife는 생물의학과 생명과학 분야의 비상업적 동료평가 오픈 액세스 과학 학술지이다. 2012년에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 막스 플랑크 협회, 웰컴 트러스트에 의해 창간되었다.[2] 이들 단체는 eLife지에 2016년에 2600만 달러를 기부하기도 하였다.[3]
eLife | |
---|---|
![]() | |
약어 (ISO 4) | eLife |
분야 | 생물의학, 생명과학 |
출판 정보 | |
출판사 | eLife Sciences Publications Ltd[1] |
출판 역사 | 2012 ~ |
출판 주기 | 상시 |
오픈 액세스 | 오픈 액세스임 |
라이선스 | CC-BY 3.0, CC-BY 4.0, and CC0 |
피인용지수 (2020) | 8.140 |
색인 | |
ISSN | 2050-084X |
CODEN | ELIFA8 |
OCLC 번호 | 813236730 |
외부 링크 | |
2021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마이클 에이슨이 편집장으로 근무한다.[4][5] 인류유전학, 신경과학, 생물리학, 역학, 생태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과학자들이 편집한다.[6]
각주
편집- ↑ “About”. 《eLife》.
- ↑ Matt McGrath (2012년 4월 10일), 《Trust pushes for open access to research》, BBC
- ↑ Callaway, Ewen (2016년 6월 2일). “Open-access journal eLife gets £25-million boost”. 《Nature》 534 (7605): 14–15. Bibcode:2016Natur.534...14C. doi:10.1038/534014a. PMID 27251251.
- ↑ “eLife welcomes Michael Eisen as Editor-in-Chief”. 《eLife》 (영어). 2019년 3월 5일. 2019년 3월 5일에 확인함.
- ↑ Freya Boardman-Pretty (2011년 11월 5일), “Open-access science journal leaves editing to the experts”, 《Times Higher Education》
- ↑ 《Communicating the latest advances in life science and biomedicine》, eLife, 2015년 10월 6일에 확인함
이 글은 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