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칸센 N700계 전동차

히타치 중공업에서 제작한 고속입선용 전동차
(N700A계에서 넘어옴)

신칸센 N700계 전동차(일본어: 新幹線N700系電車)는 도카이도 신칸센, 산요 신칸센, 큐슈 신칸센용으로 개발된 신칸센 차량이다. 300계, 500계, 700계를 대체할 차기 주력 차종으로서 2007년 7월 1일의 운전 시각표 개정과 동시에 영업운전이 시작되었다. 2007년 굿 디자인 선정상품이다.[1][2]

신칸센 N700계 전동차
주행중인 N700계 전동차(Z0편성) (2009년 4월 8일 촬영)
주행중인 N700계 전동차(Z0편성)
(2009년 4월 8일 촬영)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비즈니스 및 장거리 여행객 수송용
제작사 가와사키 중공업
긴키 차량
닛폰차량제조
히타치 제작소
제작 연도 2005년 ~ 2020년
생산량 201편성 2,976량
사용량 183편성 2,816량
제원
양 수 16 (도카이도 신칸센, 산요 신칸센), 8 (큐슈신칸센)
차량 정원 선두차 65~75명
중간차 38~100명
그린차 64~68명
편성 정원 F,G,K,X편성 1,323명
S,R편성 546명
전장 25,000(선두차량은 27,050) mm
전폭 3,360 mm
전고 3,600 mm
편성 중량 713 t
궤간 (mm) 1,435
성능
전기 방식 교류 25,000V, 60Hz
제어 방식 도시바, 히타치, 미쓰비시 VVVF-IGBT
기동가속도 2.6 km/h/s
영업 최고 속도 260 (큐슈신칸센 기준) km/h
285 (도카이도 신칸센 기준) km/h
300 (산요 신칸센 기준) km/h
전동기 출력 305 kW
편성 출력 17,080(1만8천880마력) kW
구동 장치 3상 유도전동기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MT비 F,G,K,X편성 14M2T
S,R편성 6M2T
보안 장치 ATC-1형, ATC-NS
비고 제51회(2008년) 블루리본상 수상
2007년 굿 디자인 상품선정

개요

편집

N700계는 700계를 기본으로 새로운 고속성과 쾌적성 그리고 환경 성능 향상의 일환으로, 도카이 여객철도(이하 JR 도카이)와 서일본 여객철도(이하 JR 서일본) 및 차량 메이커에 의해 공동 개발된 신칸센용 전동차다.[3]

명칭

편집

개발 발표 당시에는 700N로 불렸고 N700계는 통칭이었지만, 2004년 5월 28일에 N700계가 정식 형식 명칭으로 발표되었으며, N은 new, next등의 의미를 담은 것이다. 덧붙여 동일본 여객철도(이하 JR동일본)에서 1994년 이후에 제조된 신형 차량의 번호 앞에 'E'를 붙이고 있지만(East, 즉 동일본여객철도를 의미), 도카이여객철도서일본여객철도에서 앞에 알파벳을 붙인 형식은 N700계가 처음이다.

연혁

편집

개발

편집

일본국유철도(현 JR)의 분할 민영화 이후, 신칸센의 서비스 향상을 도모한 서일본여객철도는 최고 영업 속도 300km/h로 운행할 수 있는 500계를 개발했지만, 선형이 비교적 좋지 않고 최고 속도가 270km/h인 도카이도 신칸센을 달리기에는 성능이 과도하게 좋았고, 1편성(16량)당 약 50억엔에 달하는 고비용이 문제가 되었다. 또한 당시의 주류 차량이었던 300계에 비해 차량마다 정원이 달라 운용의 공용화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로 9편성 밖에 생산되지 않았고, 그 다음에는 범용성을 중시해 도카이여객철도와 함께 최고 영업 속도 285km/h의 700계를 개발하게 되었다. 700계는, 최고 영업 속도가 220km/h에 불과한 100계의 대체 차량으로 많은 편성이 제조되어 신칸센의 고속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500계와 다르게 직류전동기를 채용한 탓으로 속도증속에 많은 결함이 생기면서 좀 더 보완된 새로운 신칸센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서일본여객철도는 항공기와 경쟁 때문에 500계와 동등한 최고 영업 속도 300km/h의 고속 성능과 500계보다 느린 700계의 보완을 위해, 도카이여객철도시나가와역 개업에 따른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 개수의 증가, 500계보다 느린 700계의 보완, 디지털ATC(ATC-NS)의 도입에 수반해 보다 높은 가감속 성능을 가지는 신차량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그 양 회사의 수요를 실현하기 위해 공동 개발된 것이 N700계이다.

현재,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에서 전 구간의 약 1/3 정도의 구간에서만 최고 영업 속도인 270km/h을 낼 수 있지만, 틸팅 시스템을 탑재한 N700계는 지금까지 250km/h 제한이 걸려있던 곡선 반경 2500m인 구간(60곳)을 270km/h로 주행할 수 있어 전 구간의 약 2/3 이상에서 270km/h을 낼 수 있게 되었다. 이 틸팅 시스템의 탑재와 가감속 성능의 향상에 의해 도쿄 ~ 신오사카 구간의 경우 기존의 500계, 700계 노조미 열차에 비해 5분 정도의 주행시간 단축을 달성했다.

신칸센에서 정차역이 1개 증가할 때마다 소요시간은 대략 5분가량 늘어나지만, 운전시각표 개정 후에 N700계로 운전하는 노조미 100호의 경우, 신요코하마역에 추가로 정차함에도 불구하고 소요시간이 4분 단축되었다(2시간 30분 → 2시간 26분).

영업운전 개시

편집

N700계는 2007년 6월 16일, 6월 17일, 6월 24일 시승회를 거쳐, 같은 해 7월 1일에 있었던 운행 시간표 개정과 함께 6편성(도카이여객철도 5편성(Z1Z5), 서일본여객철도 1편성(N1))이 영업 운전을 개시했다. 당시 시나가와 ~ 하카타간 편도 왕복 1편성, 도쿄 ~ 하카타간 2.5왕복(하행 2편성·상행 3편성), 도쿄 ~ 신오사카 구간 1회 왕복 운행을 시작했다. 이후로도 순차별로 노조미로 투입될 계획이며, 연말에는 약 30편성의 노조미 등급에 사용될 예정이다.

영업 개시 당일에는 주요 역에서 출발식이 거행되었다. 도카이여객철도의 경우 시나가와 역(6:00발 노조미 99호)·신오사카 역(6:00발 100호)·나고야 역(6:50 발 100호), 서일본여객철도의 경우 하카타 역(12:28발 26호)·히로시마 역(13:30발 26호)·오카야마 역(14:06발 26호)에서 각각 출발식을 실시하였으며, 열차의 출발을 보류했다. 또, 도쿄역(6:00발 1호)에서는 꽃다발 증정식뿐이었다. 덧붙여 오사카 투입용으로서는 첫 번째 전동차인 노조미 100호의 1등차는, 발매 개시와 거의 동시에 매진되었다.

세부 모델

편집

신칸센 N700계 0번대 전동차

편집

신칸센 N700계 0번대 전동차(일본어: 新幹線N700系電車0番台)는 2007년 4월에 최초로 도입한 열차로 도카이 여객철도가 소유하고 있으며 Z편성으로 운행했다. 같은 해 7월노조미 등급 열차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2012년 2월가와사키 중공업에서 마지막 편성이 인도되었다. 이후 제동 시스템 및 기타 기능을 개선을 위해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마이너 체인지 작업을 하면서 X편성으로 변경과 동시에 차량 번호도 2000번대로 변경했다.

신칸센 N700계 1000번대 전동차

편집

신칸센 N700계 1000번대 전동차(일본어: 新幹線N700系電車1000番台)는 2012년 8월도카이 여객철도에서 도입했으며 기존 신칸센 700계 전동차를 대체하기 위해 6편성이 우선 도입되었고 G편성으로 운행하고 있다. 2013년 2월 8일에 최초로 운행에 들어갔다. 기존 신칸센 N700계 2000번대 전동차, 신칸센 N700계 2000번대 전동차와 달리 N700A 로고가 추가되었다. 기존 모델에서 개선된 점은 ATC, 대차 진동 감지 및 열차 제동이 개선되었다. 도카이 여객철도는 향후 18편성이 추가로 도입을 검토했으며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순차별로 기존 신칸센 700계 전동차를 교체했다.[4][5]

신칸센 N700계 2000번대 전동차

편집

신칸센 N700계 2000번대 전동차(일본어: 新幹線N700系電車2000番台)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Z편성이 X편성으로 개조되면서 2000번대로 부여된 전동차로 도카이 여객철도가 보유하고 있다. 마이너 체인지 모델의 경우 N700A 로고가 새롭게 추가되었다.[6][7]

신칸센 N700계 3000번대 전동차

편집

신칸센 N700계 3000번대 전동차(일본어: 新幹線N700系電車3000番台)는 2007년 6월에 최초로 도입한 열차로 서일본 여객철도가 소유하고 있으며 N편성으로 운행했다. 같은 해 7월부터 최초로 운행을 시작했으며 2010년까지 순차별로 도입했다.[8] 이후 제동 시스템 및 기타 기능을 개선을 위해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마이너 체인지 작업을 하면서 K편성으로 변경과 동시에 차량 번호도 5000번대로 변경했다.[8]

신칸센 N700계 4000번대 전동차

편집

신칸센 N700계 4000번대 전동차(일본어: 新幹線N700系電車4000番台)는 2013년 12월부터 도입된 열차로 서일본여객철도가 소유하고 있으며 F편성으로 운행한다. 신칸센 N700계 1000번대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N700A 로고가 추가되었다. 2014년 2월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2015년부터 2016년까지 3편성이 추가로 도입되었다.[9][10] 2019년까지 12편성이 추가로 도입되었다.

신칸센 N700계 5000번대 전동차

편집

신칸센 N700계 5000번대 전동차(일본어: 新幹線N700系電車5000番台)는 2013년 10월에 마이너 체인지 작업으로 기존 N편성 차량이 K편성으로 개조된 차량으로 서일본 여객철도가 소유하고 있다. 신칸센 N700계 2000번대 전동차와 마찬가지로 N700A 로고가 새롭게 추가되었다.[8]

신칸센 N700계 7000번대 전동차

편집

신칸센 N700계 7000번대 전동차(일본어: 新幹線N700系電車7000番台)는 서일본 여객철도가 소유하고 있으며 2011년 3월 12일큐슈신칸센산요 신칸센간 상호 직결 운행의 일환으로, 도입된 차량으로 8량으로 구성되었다. S편성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2008년 10월에 최초로 하카타 종합차량사업소로 인도되었고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순차별로 도입했다.[11][12]

신칸센 N700계 8000번대 전동차

편집

신칸센 N700계 8000번대 전동차(일본어: 新幹線N700系電車8000番台)는 큐슈여객철도가 소유하고 있으며 2011년 3월 12일큐슈신칸센산요 신칸센간 상호 직결 운행의 일환으로, 도입된 차량으로 8량으로 구성되었다. R편성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2010년 7월에 최초로 인도되었고 같은 해 8월부터 시험 운행을 시작했다.[13][14]

신칸센 N700계 9000번대 전동차

편집

신칸센 N700계 9000번대 전동차(일본어: 新幹線N700系電車9000番台)는 2005년 3월에 최초로 나온 시제차로 도카이 여객철도가 소유하고 있으며 도입 당시 Z0편성으로 도입했다. 1호차부터 4호차까지 히타치 제작소, 5호차부터 14호차까지 일본차량제조, 15호차부터 16호차까지 가와사키 중공업이 제작되었다.

2013년에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고 X편성에서 Z편성으로 도입되었고 N700A 로고가 추가되었다. Z0편성의 경우 도카이 여객철도의 시범 운행 열차로 운행하기 때문에 상용 운행을 하지 않으며 2014년에 X0편성으로 부여했으나 9000번대를 그대로 유지했다.[5][7][15] 2019년 2월에 퇴역 후 3량은 그대로 보존했다가 같은 해 7월 17일부터 아이치현 나고야시에 위치한 SC 말레브 철도 공원에서 전시되었다.

구조 및 성능

편집

외관

편집
 
N700계의 선두부 노즈(2007년 7월 22일, 도쿄역)

선두부는 700계의 '에어로 스트림'형태를 개량한 '에어로 더블 윙'으로 불리는 형상으로, 길이는 10.7m이다. 선두 형상의 길이를 억제하면서, 미기압 파형장의 피크를 나누는 것으로 최대치를 억제하여 소음의 억제와 선두차량의 정원 확보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도장은 현행의 700계와 같지만 독자적인 엠블럼을 차체 측면에 내걸었다. 객실 창문은 경량화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면적이 700계의 약 60% 정도로 소형화되었다. 행선지 표시기는 JR 도카이의 신칸센용 전동차로는 처음으로 전광식(풀컬러 LED)을 채용했다.

또한 새롭게 개발한 고성능 세미 액티브 제진제어장치를 모든 차량에 설치하여 진동을 최대한 억제하였으며, 차량 간에는 댐퍼를 장비하고 있지만 지금까지처럼 링에 의한 연결이 아니라 댐퍼를 차량 간에서 비스듬하게 기울여 상하 방향으로 직접 차량에 연결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 차량 사이에 전주(全周)다이어프램을 채용하여 연결부를 신축성 고무 소재로 거의 완전하게 가려버리는 것을 통해 차체 측면의 공기 저항과 차량 내외의 소음 경감을 달성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에너지 절약에도 기여하게 되었다. 또, 형상을 바꾼 전주 다이어프램도 시험주행에서 테스트되고 있다.

이후에 등장한 신칸센 E5계 전동차·신칸센 E6계 전동차에도 전주 다이어프램이 채용되어 있다.

문은 양 선두차의 운전석측에 있는 승무원용 출입문과 승객용 출입문만 플러그 도어이며, 그 외에는 모두 통상의 미닫이가 되어 있다. 이것은 소음 대책과 비용 저감의 양립을 위한 구조이지만, 한 편성 안에서 플러그 도어와 미닫이가 혼재하는 드문 차량이 되었다.

팬터그래프도 0계 이래 기초중의 기초라고도 말할 수 있는 부분의 설계를 기본적으로 재검토하는 것을 통해 소형화·경량화를 도모했다. 또한 시제차량은 800계의 U-001편성과 같이 카메라, 센서, 투광기로 구성되는 가선검측장치를 갖추었다. 그리고 차체 경사시 가선과의 접촉 상황등의 확인을 한 뒤에 제거되었다.

또한 표지등도 JR 도카이의 신칸센 영업용 차량으로서는 처음으로 HID램프를 사용하고 있다.

 
선두차량 천장의 단차

선두차량의 높이는 3,500mm인 부분과 3,600mm인 부분이 있다. 때문에 편성 중앙 근처의 승객용 출입문 부근에는 단차가 있다. 중간 차량은 3,600mm이다. 이 단차는 전두부 쪽의 형상에 더해 미기압파 경감과 공력저항 경감 등을 목적으로 한 공력상의 처리라 한다.

 
차량 연결부의 전주 다이어프램(2007년 5월 21일, 신오사카 역)

성능

편집
 
N700계(왼쪽)과 500계(오른쪽)
 
내주(内周)체결식
(N700계 Z·N편성)
 
중앙체결식
(N700A G·X·F·K편성)

N700계의 기동가속도는 신칸센 차량으로서는 최고인 2.6km/h/s[16]로 대략 3분에 270km/h까지 가속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300km/h까지는 4분). 영업 운행에서의 최고속도는 500계와 같은 300km/h이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주전동기의 출력을 향상(275kW(700계) → 305kW)하여 MT비(전동차(M차)와 부수차(T차)의 비율)도 변경(12:4(700계) → 14:2)했다.

제동 장치는 MT비의 재검토에 수반하여 700계에서 사용되고 있었던 T차의 와전류 브레이크를 없애고 상용제동에서는 M차 14량의 회생제동으로 제동력을 얻도록 했다. ATC의 교체에 수반하여 설치된 디지털 ATC(ATC-NS)가 탑재되어 제동거리와 폐색간격의 최적화를 실시한다.

주행시의 에너지 소비도 차체경사장치의 적용으로 일부 곡선 구간에서 가감속이 불필요해진 점 등에 따라 700계보다 더 향상되어 도카이도 구간에서의 시험운행 결과 270km/h 주행시의 이용객 1인당 소비 에너지가 13.23kWh(700계 14.7kWh, 100계의 220km/h 주행시 13.9kWh)로 나타났다. 이는 700계에 비해 19% 정도 향상된 것이다. 산요 구간에서는 9% 향상되었다.

제동장치는 각 대차에 기본 제동장치로 300계나 700계와 같은 캘리퍼식 차륜 디스크 브레이크를 장비하고 있다. Z·N편성(기존 N700계)에서는 디스크 로터를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를 그 내주(内周)에서 체결하는 내주체결식을 채용했지만, G·X·F·K편성(개조 A를 포함한 N700A)에서는 디스크 로터의 중앙에서 체결하는 중앙체결식을 채용했다. 이는 기존 내주체결식의 경우 제동시 열에 의해 디스크가 열변형으로 휘어 브레이크 라이닝과의 접촉 면적이 감소해 제동력의 저하가 발생할 수가 있기 때문에, 디스크 로터의 중앙에서 체결함으로써 그 변형을 줄여 제동력의 저하를 막고 제동장치를 경량화하는 방법으로서 고안된 것이다[17]. 본 계열(16량 편성)에서는 14M2T편성이 되어 전동차 비율이 올라 300계나 700계에서 사용된 T차의 와전류제동이 폐지되고 그만큼의 제동력을 14량의 M차 회생제동장치에서 받도록 했다.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의 노후 치환에 따라 디지털 ATC(ATC-NS)차상 장치가 탑재돼 제동거리와 폐색 간격을 최적화한다. 선행 시제차량(Z0편성)의 경우 계획상으로는 700계에 이어 와전류제동이 채용될 예정이었으나, 제동 부담률 개선과 중량 증가를 피하기 위해 취소되었다.

대차

편집
 
N700계의 대차 커버(2006년 7월 23일, JR 도카이 하마마쓰 공장에서 촬영)

대차는 300계 이래 실적이 있는 코일스프링과 원통적층고무를 병용한 윙 용수철 식 저널박스 장치의 볼스터리스 대차이며, 저널박스의 상부와 대차 프레임 사이에 축 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500계와 700계와는 달리 JR 서일본 편성이 되는 N편성 차량도 JR 도카이와 같은 원통고무병용 저널박스 지지방식을 채용했다.

700계에서는 선두차량 진행방향 측의 대차에만 공력저항 경감용 커버가 붙어 있었지만 N700계에서는 대차의 전동(轉動)음과 공력음을 저감하기 위해서 모든 대차에 대차 커버가 채용되었다. 선행 시제차량(Z0편성)에서 시험 도중 커버의 형상이 변경되어 변경 뒤의 것이 양산형 차량에도 채용되었다. 선두차량의 대차 커버도 700계의 그것보다 공기의 흐름을 고려한 3차원적인 모양으로 되어 있다. 경량화와 재활용 측면을 고려하여 CFRP가 채용되어 있다.

구동방식은 보통차는 신형 치형형상(歯型形状)의 채용과 치차 중심간 거리를 확대하여 백래시(Backlash)를 줄인 저소음형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 그린차의 경우 JR 도카이의 700계 C19편성 이후 그린차에서 실적이 있는 TD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 본격적으로 채용되었다. JR 서일본의 700계는 그린차를 포함하여 모두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었지만, 이 계열(S편성을 제외)은 JR 도카이 소유 차량과 모두 공통이다. 이전에는 고속운전시 내구성의 측면에서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이 채용되어 왔지만, TD 카르단에 이용되는 굴곡판의 내구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보수가 용이하고 소음이 적은 이 방식이 채용되었다.

차체경사장치·세미 액티브 서스펜션

편집
 
N700계 차체 하부의 견인장치의 센터피봇 부근에 설치된 비례전자변 릴리프 방식에 의한 무단계 감쇠력 조정식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

이전에는 255km/h로 감속해야 했던 도카이도 구간의 반경 2,500m의 곡선을 최고속도 그대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신칸센 차량으로는 처음으로 공기 용수철에 의한 차체 경사 장치(최대 경사각 1도)를 채용하고, 거기에 700계에서는 일부의 차량에만 탑재되었던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을 성능 향상(700계: 4모드 선택 전환 제어→ N700계: 무단계 제어)과 함께 모든 차량에 탑재시켜 승차감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비례전자식 릴리프 변(일본어: 比例電磁式リリーフ弁)에 의한 무단계제어 방식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을 채용하여, 대차의 견인장치와 센터피봇 부근의 대차 프레임과 차체 사이에 침목방향으로 설치되어 감쇠력을 무단계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18] 또, 터널과 개활지 구간에서의 선로 데이터 맵을 기반으로 각각의 구간에서 최적화된 제어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기능도 있다. 700계에서는 일부 차량에만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 계열에서는 전 차량에 탑재하여 승차감 개선을 꾀했다.

차체 경사 기능은 대부분이 반경 4000m 이상 커브인 산요 구간에서는 사용하지 않지만, 기능을 완전히 기능을 정지시키지 않고 차체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제어(0도 제어 또는 수평 제어)로 활용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있다.

 
N700계의 팬터그래프(2006년 7월 23일, JR 도카이 하마마쓰 공장에서 촬영)
 
팬터그래프와 커버

팬터그래프도 0계 이래의 기초 설계를 원점으로부터 재검토하여 소형·경량화를 도모하였다. 기본적으로는 싱글암형이지만, 종래의 700계 등에서 보여지는 타입보다 하부(관절 부분보다 아래쪽) 암이 극단적으로 짧아지고, 그 관절부와 틀부분도 유선형 커버로 완전하게 덮인 신개발 팬터그래프를 채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싱글암 팬터그래프보다 풍절음(바람 가르는 소리)이 줄어들었으며 가선 추종성이 한층 더 향상되었다.

종전 500계가 속도 증속을 목표로 채용한 익형 팬터그래프와는 달리 검수시분을 단축시켰다.

팬터그래프 커버와 차음판의 형상은 700계와 거의 같은 것을 채용하고 있다. 시제차량에는 차체경사시 가선과의 접촉 상황 등을 확인하기 위해 800계 U001 편성과 같이 카메라와 센서, 그리고 투광기로 구성되는 가선 검측장치가 설치되어 있었다.

내장

편집

세미 틸팅 장치 채용에 의해 전체 폭이 700계에 비해 20mm 좁아졌지만, 차체 벽면을 얇게 하는 등의 노력으로 700계와 같은 수준의 차내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반면 창문은 700계보다 작다.

창문

편집

보통차는 TEIJIN제의 특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창문을 채용하고 있다. 종래의 복층유리 표면에 특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수지 시트를 붙여 맞춘 콤퍼짓(composite) 타입보다 내구성이 강하고, 부재 사용량을 반으로 줄이는 등 단위면적당 질량을 약 30% 정도 경량화하는데 성공했다.

 
그린차의 싱크로나이즈드 컴포트 시트(2007년 9월 30일, 도쿄역에서 촬영)
 
보통석(2007년 9월 30일, 도쿄역에서 촬영)

좌석

편집

시트피치는 100계 이후 표준인, 보통차 1,040mm, 그린차 1,160mm이다. 단 1호차(783형)와 16호차(784형)는 선두 형상 때문에 1,023mm로 줄어 있다.

300계 이후의 차량은 편성중량 경량화를 위해 우레탄을 적층시킨 구조의 좌석을 채용했지만, 안정감 측면에서 평판이 좋지 않기 때문에 복합 용수철 구조로 개량되었다.

보통차 좌석의 등받이는 새로 개발된 폴리에스테르 쿠션이다. 우레탄에 비해 약 20% 정도 가볍고, 투습성도 뛰어나다. 또한 통근형 전동차용 좌석보다 착석시 안정감이 향상되었다. 탄력성이 오래 가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폴리에스테르 소재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완전 순환형 리사이클 시스템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보통차의 경우 700계와 비교해서 좌석의 폭이 10mm 확대된 440mm로(중앙의 B자리를 제외), 그린차는 새롭게 개발된 '싱크로나이즈드 컴포트 시트'가 채용되었다. 이것은 리클라이닝과 함께 좌면 뒷부분이 내려가는 타입으로 안정감이 개선되었다. 그 밖에도 휘도를 높인 독서등이나 발밑을 따뜻하게 하는 기능(레그 워머)을 새로 채용했다.

좌석에는 쿠라레 그룹제 매직 테이프와 '세프톤 컴파운드'도 사용되었다. 매직 테이프는 그린·보통차의 헤드레스트 커버용(이전부터)·좌석 표피 모서리 부분 고정용(이전부터)·좌석 표피 고정용(신규)·쿠션 패드용(신규)으로 채용되었다. 또한 스위밍 고글의 밴드나 점프로프의 줄 부분에도 사용되고 있는 '세프톤 컴파운드'는 좌석의 팔걸이에 사용되었다. 종래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보다 부드러워져 촉감 향상이나 딱딱한 물체가 움직임으로써 발생하는 불쾌한 소리가 줄어들었다.

또한 테이블은 A4사이즈의 노트북 컴퓨터를 둘 수 있는 사이즈로 확대되어 양산차량에서는 그린차의 모든 좌석과 보통차의 창가(A, E자리)·맨 앞·맨 뒤 좌석에는 스마트 기기용 콘센트가 설치된다. 1편성의 정원인 1,323명의 약 60%에 해당하는 수가 준비된다.

차내설비

편집

지상 설비가 완성되는 2009년 봄부터 무선 LAN에 의한 인터넷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지상에서 차내에는 2Mbps, 차내에서 지상에는 1Mbps가 될 예정). 다만 산요 구간에서는 터널의 수가 많기 때문에 개량비용이 높아지며, JR 후쿠치야마 선 탈선사고를 계기로 안전 대책을 무엇보다 우선할 방침이어서 당장 개량 계획을 세울 수 없는 형편이기 때문에 일단은 도카이도 구간에서만 실시될 예정이다.

화장실은 모두 서양식으로 통일되는 것과 동시에 신칸센 차량으로는 처음으로 오스트메이트 대응 화장실이 설치되었다(11호차). 또한 일부 화장실에는 기저귀 교환대, 11호차의 다목적실에는 베이비 체어도 설치되어 있다.

국철 시절부터 흡연은 제일 큰 문제가 되어 왔다. 특히 300계 이후 차량은 고속 성능으로 인하여 차내에서 한 번 담배를 피우면 그 차량 한 량 전체로 퍼져 냄새가 번져 JR도카이·서일본·동일본에서 많은 민원이 들어왔다. 그래서 N700계 양산차량은 700계 이전의 차량과 달리 전좌석 금연이며, 강제배연장치·JR 도카이 코마키 연구시설이 개발한 광촉매 탈취 장치를 갖춘 흡연실(정원 24명)을 3·7·10·15호차의 데크 부분에 6개소 구비했다. 흡연실에 가까운 좌석은 흡연 희망자를 우선해 지정석권을 발행한다. 흡연자를 위해 배려한 셈이다.

이 외에 철도차량으로서는 최초로 모든 승강구 부근과 운전실 출입구에 방범 카메라를 설치하여 승무원실의 모니터에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었다. 이것은 승강구에 비치되어 있는 비상용 도어 코크가 장난으로 조작되는 경우가 많아 잦은 열차 지연의 원인이 되었으며, 전화실이나 흡연실 등의 개인실 부분이 증가하여 그런 공간을 악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이런 경우에 대해 방범 카메라에 의한 억제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차내 조명에는 마쓰시타 전공제의 LED 조명도 채용되었다. 한 편성마다 그린차의 통로에 26개, 운전석에 12대가 각각 채용되어 있다.

 
산요신칸센 구간을 주행하는 N700계 Z28편성(오카야마역 - 아이오이 역, 2009년 4월 8일)

산요·큐슈 신칸센(가고시마 루트) 직통용

편집
 
N700계 S1편성(오카야마역 - 아이오이 역, 2009년 4월 8일)

2011년 봄 큐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 전 구간 개통으로 운행 중인 산요 신칸센·큐슈 신칸센 직통열차 사쿠라미즈호로 운행하기 위해 N700계를 베이스로 만든 신형 차량을 JR 서일본과 JR 큐슈에서 공동으로 개발하여 8량 편성으로 JR 서일본이 19개 편성, JR 큐슈가 10개 편성으로 합계 29편성(232량)을 제조하게 되었다. 이는 종래의 산요 신칸센용 차량으로는 하카타역 - 신토스 역 간과 신야쓰시로 역 이남의 급구배 구간(최대 35‰)을 주행할 수 없기 때문으로 신형 차량에서는 전차량 전동차가 된다. 덧붙여 일부 보도에 의하면 히카리 레일스타로 쓰이고 있는 700계 7000번대는 큐슈 신칸센 전 구간 개업 후에는 산요 신칸센의 고다마로 전용될 예정이다. 또한 JR큐슈 측에서도 2010년 이후는 신칸센의 신조 차량을 800계에서 N700계로 이행한다.

2008년 10월에는 JR서일본 소속 양산 선행 차량으로 N700계 7000번대가 되는 1편성 8량이 하카타 종합 차량소에 반입되었다.

JR서일본 소속 차량의 편성 기호는 S(JR큐슈 소속의 편성 기호는 R)이다. 2008년 10월 24일 하카타 역 - 신야마구치역간에서 공식 시운전이 실시되어 11월 이후에는 산요신칸센 내에서의 주행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이 항목에서는 N700계 Z·N편성과 S편성과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Z·N편성과의 공통 항목에 대해서는 앞서 서술한 각 항목도 참조.

차량 구조
Z·N편성과 같은 알루미늄 합금제 더블스킨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19]. 거기에 한층 더 소음 저감을 위해 차체 천장 중앙부에 있는 고압인통선의 덮개를 차체 지붕 중앙부의 형재와 일체화 구조로 하여 인통선 자체는 형재 안을 관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4 - 5호차간에는 고압인통선 케이블 헤드가 탑재되고 있다. 그 케이블 헤드의 경사각이 소음을 줄이기 위해 5도로 되어 있다(Z·N편성의 것과는 형상이 다르다). 때문에 전집막(全集幌)과 케이블이 닿아 버리므로 절연 관계상 4 - 5호차 간의 전집막의 천정 부분이 철거되어 있다.
도장
바디 칼라에는 도자기의 청자를 연상시키는 흰색 남색을 사용하였으며, 감색 남색과 금빛의 측면 라인이 1개 있다.
양 선두차량과 홀수 호차의 측면에는 로고 마크가 붙여져 있다. 이는, JR 서일본과 JR 큐슈 등 두 양사가 상호 협력하에 산요·큐슈 신칸센을 직결 운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성능
큐슈 구간에서의 35‰ 상구배 유닛 컷 기동시, 보통 차량 성능으로는 기동이 불가능하다. 때문에 구배 기동시에만 견인력을 증가시키는(큐슈 구간에서만 사용 가능) 것을 통해 구배 기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최고속도는 Z·N편성과 같이 300km/h로, 큐슈 신칸센내에서는 260km/h가 될 예정이지만, 큐슈 신칸센에서의 증속도 검토되고 있다.
전원·제어장치
4량 1유닛으로 구성된다(MC+M1+M'+M2). M'차에 주변환 장치, M1, M2차에 주변환 장치를 2대씩 탑재하고 있다. 각 차량의 형식에 대해서는 #형식 및 차종을 참조.
가고시마츄오 N700계 S, R편성표 신오사카
편성 1호차
781형(MC)
2호차
788형(M1)
3호차
786형(M')
4호차
787형(M2)
5호차
787형(M2w)
6호차
766형(M'hS)
7호차
788형(M1h)
8호차
782형(M'C)
S1 보통차
7001
60명
보통차
7001
100명
보통차
7001
80명
보통차
7001
80명
보통차
7501
72명
보통·그린차
7001
60명
보통차
7701
38명
보통차
7001
56명
전(全) 전동차가 되어, 양 선두차량이 전동 제어차가 되었다. 때문에 ATC 소음 대책으로 선두 대차용 주전동기에 실드 커버와 지퍼 튜브가 설치되어 있다.
대차
이미 800계 기준으로 되어 있는 JR 큐슈의 검수설비 문제상 500계, 700계 E·B편성, 800계의 대차를 베이스로 축량식(軸梁式) 저널박스 지지방식 WDT208 대차를 탑재하여 구동 방식도 기존대로 WN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을 채용한다.
  • 모든 호차에 세미 액티브 댐퍼의 채용
    • 세미 액티브 댐퍼의 제어는 Z·N편성과 같이 비례 전자식 릴리프 밸브에 의한 무단제어의 것을 채용하여 감쇠력을 무단계로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터널과 일반 구간에서의 선로 데이터 맵을 바탕으로 각각의 구간에서 최적의 제어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기능이 있다.
  • 차축 베어링의 직경을 130mm로 확대
    • 베어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축 외경을 확대했다. 또한 베어링의 하중 분포를 최적화하기 위해 저널박스의 형상을 변경했다.
  • 큐슈 구간에서의 주행을 고려한 화산재 대책
    • WN 구동부의 먼지 제거를 수세식으로 변경하는 것을 통해 화산재가 많은 큐슈 구간에서의 방진 성능을 강화하고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도카이도 구간에는 진입하지 않기 때문에 차체 경사 장치는 탑재되지 않았으며 설치하기 위한 준비는 되어 있다.
내장·설비
편성은 그린차(6호차 반실은 정원 24명)·보통차 지정석(4 - 8호차 합계 282명)·자유석(1 - 3호차 합계 240명)로 구성되며 차내는 모두 목조 디자인이 이용되어 침착한 분위기의 내장이 되어 있다. 흡연룸의 설치나 6호차의 반실 그린차화에 의한 정원 감소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실내 기기 배치에 있어서 최적화가 실시되었다.
7호차는 휠체어 대응 좌석을 갖추고 있으며 화장실 설비도 넓다. 3·7호차에는 흡연룸이 있다. 5호차에는 여성 전용 화장실과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
좌석
좌석 비교[19]
항목 보통차 자유석 보통차 지정석 그린석
시트피치 1,040mm 1,040mm 1,160mm
시트폭 430mm(D·E석)
440mm(A·C석)
460mm(B석)
460mm 475mm
시트 배열 2열+3열 2열+2열 2열+2열
부대 설비 배면 테이블 배면 테이블
드링크 홀더
배면 테이블
인 암 테이블
레그 레스트
LED 독서등
오디오 설비
좌석은 그린차와 보통차 지정석은 통로를 사이에 두고 좌우 각 2열, 자유석은 2열+3열 배치다. 보통차의 시트피치는 1,040mm로 통일되어 있기 때문에 양 선두차의 좌석 열수가 Z·N편성에 비해 1열씩 줄어들어 있다.
보통차 자유석은 Z·N편성 보통석을 베이스로 하고 있다.

보유 현황

편집

도입 변천사

편집
신칸센 N700계 전동차의 도입 변천사(2021년 2월 7일 기준)[20]
회사 도카이 서일본 큐슈 비고
노선 도카이도 & 산요 산요 & 큐슈
년도 Z편성 G편성 X편성 N편성 F편성 K편성 S편성 R편성
2005년 1               N700계 데뷔
2006년 1                
2007년 5+1     1         N700계 0번대 (Z 편성), 3000번대 (N 편성) 최초 도입
2008년 17+1     8     1   7000번대 시제차 완료
2009년 33+1     9     1    
2010년 49+1     14     1   500계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 운행 종료[21]
2011년 65+1     16     9 10 큐슈신칸센 전 구간 개통 및 S편성 7000번대, R편성 8000번대 도입
2012년 80+1     16     19 10 100계, 300계 운행 종료
2013년 80+1 6   16     19 11 N700계 1000번대 (G 편성) 최초 도입
2014년 48 13 32+1 13 1 3 19 11 N700계 4000번대 (F 편성) 최초 도입
N700계 0번대 (Z 편성) → 2000번대 (X 편성) 개조 시작
N700계 3000번대 (N 편성) → 5000번대 (K 편성) 개조 시작
2015년 11 19 69+1 5 1 11 19 11  
2016년   25 80+1   5 16 19 11 N700계 0번대 (Z 편성) → 2000번대 (X 편성) 개조 완료
N700계 3000번대 (N 편성) → 5000번대 (K 편성) 개조 완료
2017년   31 80+1   9 16 19 11  
2018년   39 80+1   13 16 19 11  
2019년   46 80   17 16 19 11 X0편성(9000번대) 편성이 폐차
2020년   51 74   24 16 19 11 X12~X17편성이 폐차
2021년   51 69   24 16 19 11 X19,X22,X23,X24,X25,X27,X28 편성이 폐차

도입 현황

편집
년도 도카이 서일본 큐슈 합계
2005년 16 0 0 16
2006년 16 0 0 16
2007년 16 0 0 16
2008년 272 128 0 400
2009년 528 152 0 680
2010년 1,040 232 0 1,272
2011년 1,040 328 80 1,448
2012년 1,296 368 80 1,744
2013년 1,392 408 88 1,888
2014년 1,504 424 88 2,016
2015년 1,600 424 88 2,112
2016년 1,696 488 88 2,272

운행 노선

편집

과밀 다이어의 영향으로 지금까지 고속화에 의한 소요시간 단축 혜택은 이른 아침·심야 열차밖에 얻지 못하고 있었지만, 이 개정으로 하루 종일에 걸쳐 N700계 전용 다이어가 짜여져 약간이지만 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N700계에 의한 도쿄역 - 하카타 역간 직통 노조미는, 낮에도 도쿄역 - 신오사카 역 간을 4역 정차하면서도 종래의 3역 정차 노조미 일부 같은 2시간 33분에 주파하여, 낮의 노조미의 표준 소요시간을 연장시키지 않고 시나가와 역과 신요코하마 역 양역에 모든 열차를 정차시킬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운행 노선

편집

다이야 개정

편집
다이야 개정 노조미 히카리 고다마 도카이 서일본 비고
Z편성 X편성 G편성 N편성 K편성 F편성
2007년 7월 1일 8 0 0 Z1 - Z5     N1     N700계 데뷔
2008년 3월 15일 41 2 4 Z1 - Z16     N1 - N8    
2009년 3월 14일 81 5 2 Z1 - Z32     N1 - N9    
2010년 3월 13일[22] 120 7 7 Z1 - Z48     N1 - N14     500계 노조미에서 운행 종료
노조미 운행 시 N700계로 운행
2011년 3월 12일[23] 149 7 7 Z1 - Z64     N1 - N16    
2012년 3월 17일[24] 163 18 18 Z1 - Z80     N1 - N16     100계, 300계 운행 종료
2013년 3월 16일[25] 163 19 26 Z1 - Z80   G1 - G6 N1 - N16     N700계 1000번대 (G 편성) 최초 도입
2014년 3월 15일[26] 163 39 41 Z1 - Z5
Z15 - Z35, Z37
Z48 - Z64
Z66, Z67
Z79, Z80
X6 - X14
X36
X38 - X47
X65
X68 - X78
G1 - G13 N1 - N3
N6 - N12
N14 - N16
K4, K5, K13 F1 N700계 4000번대 (F 편성) 최초 도입
N700계 0번대 (Z 편성) → 2000번대 (X 편성) 개조 시작
N700계 3000번대 (N 편성) → 5000번대 (K 편성) 개조 시작
2015년 3월 14일 164 44 43 Z1 - Z5
Z33,Z35,Z37
Z64,Z66, Z67
X6 - X32
X34,X36
X38 - X63
X65,X68 - X80
G1 - G19 N6,N7, N9
N11, N16
K1 - K4
K5, K8, K10
K12 - K15
F1
2016년 3월 26일 164 48 45 X1 - X80 G1 - G25 K1 - K16 F1 - F5 N700계 0번대 (Z 편성) → 2000번대 (X 편성) 개조 완료
N700계 3000번대 (N 편성) → 5000번대 (K 편성) 개조 완료
2017년 3월 4일 164 65 50 X1 - X80 G1 - G31 K1 - K16 F1 - F9
2018년 3월 17일 164 65 63 X1 - X80 G1 - G39 K1 - K16 F1 - F12
2020년 3월 14일 X1 - X80 G1 - G51 K1 - K16 F1 - F22, F24 700계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에서 운행 종료

객차 구성

편집
  • F,G,K,X편성의 경우 6호차와 12호차에 R,S편성의 경우 2호차와 7호차에 팬터그래프가 존재한다.
호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명칭 Tc M2 M'w M1 M1w M' M2k M1s M1sw M2s M'h M1 M1w M' M2w T'c
번호 783-4000 787-4000 786-4500 785-4000 785-4300 786-4000 787-4400 775-4000 776-4000 777-4000 786-4700 785-4600 785-4500 786-4200 787-4500 784-4000
좌석 65 100 85 100 90 100 75 68 64 68 63 100 90 100 80 75
호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명칭 Tc M2 M'w M1 M1w M' M2k M1s M1sw M2s M'h M1 M1w M' M2w T'c
번호 783-1000 787-1000 786-1500 785-1000 785-1300 786-1000 787-1400 775-1000 776-1000 777-1000 786-1700 785-1600 785-1500 786-1200 787-1500 784-1000
좌석 65 100 85 100 90 100 75 68 64 68 63 100 90 100 80 75

K 편성 (구. N 편성 - 서일본여객철도 소속)

편집
호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명칭 Tc M2 M'w M1 M1w M' M2k M1s M's M2s M'h M1 M1w M' M2w T'c
번호 783-5000 787-5000 786-5500 785-5000 785-5300 786-5000 787-5400 775-5000 776-5000 777-5000 786-5700 785-5600 785-5500 786-5200 787-5500 784-5000
좌석 65 100 85 100 90 100 75 68 64 68 63 100 90 100 80 75

R 편성 (큐슈여객철도 소속 - 8량 편성)

편집
호차 1 2 3 4 5 6 7 8
명칭 Mc M1 M' M2 M2w M's M1h M'c
번호 781-8000 788-8000 786-8000 787-8000 787-8500 766-8000 788-8700 782-8000
좌석 60 100 80 80 72 36+24 38 56

S 편성 (서일본여객철도 소속 - 8량 편성)

편집
호차 1 2 3 4 5 6 7 8
명칭 Mc M1 M' M2 M2w M's M1h M'c
번호 781-7000 788-7000 786-7000 787-7000 787-7500 766-7000 788-7700 782-7000
좌석 60 100 80 80 72 36+24 38 56

X 편성 (구. Z 편성 - 도카이여객철도 소속)

편집
호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명칭 Tc M2 M'w M1 M1w M' M2k M1s M's M2s M'h M1 M1w M' M2w T'c
번호 783-2000 787-2000 786-2500 785-2000 785-2300 786-2000 787-2400 775-2000 776-2000 777-2000 786-2700 785-2600 785-2500 786-2200 787-2500 784-2000
좌석 65 100 85 100 90 100 75 68 64 68 63 100 90 100 80 75

현황

편집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F1호 2013년 운행 중
F2호 2015년 운행 중
F3호 운행 중
F4호 운행 중
F5호 2016년 운행 중
F6호 운행 중
F7호 운행 중
F8호 운행 중
F9호 운행 중
F10호 2017년 운행 중
F11호 운행 중
F12호 운행 중
F13호 2018년 운행 중
F14호 운행 중
F15호 운행 중
F16호 운행 중
F17호 운행 중
F18호 2019년 운행 중
F19호 운행 중
F20호 운행 중
F21호 운행 중
F22호 운행 중
F23호 2020년 운행 중
F24호 운행 중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G1호 2012년 운행 중
G2호 운행 중
G3호 운행 중
G4호 2013년 운행 중
G5호 운행 중
G6호 운행 중
G7호 운행 중
G8호 운행 중
G9호 운행 중
G10호 운행 중
G11호 운행 중
G12호 2014년 운행 중
G13호 운행 중
G14호 운행 중
G15호 운행 중
G16호 운행 중
G17호 운행 중
G18호 운행 중
G19호 2015년 운행 중
G20호 운행 중
G21호 운행 중
G22호 운행 중
G23호 운행 중
G24호 운행 중
G25호 2016년 운행 중
G26호 운행 중
G27호 운행 중
G28호 운행 중
G29호 운행 중
G30호 운행 중
G31호 운행 중
G32호 2017년 운행 중
G33호 운행 중
G34호 운행 중
G35호 운행 중
G36호 운행 중
G37호 운행 중
G38호 운행 중
G39호 2018년 운행 중
G40호 운행 중
G41호 운행 중
G42호 운행 중
G43호 운행 중
G44호 운행 중
G45호 2019년 운행 중
G46호 운행 중
G47호 운행 중
G48호 운행 중
G49호 운행 중
G50호 운행 중
G51호 2020년 운행 중

K 편성 (구. N 편성 - 서일본여객철도 소속)

편집
차호 도입 시기 개조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K1호 2007년 2014년 운행 중
K2호 2015년 운행 중
K3호 운행 중
K4호 2013년 운행 중
K5호 운행 중 2017년 12월 나고야역에서 신칸센 대차 균열 사건으로 인해 잠시 운행이 중단되었다.
K6호 2015년 운행 중
K7호 운행 중
K8호 2008년 2014년 운행 중
K9호 2016년 운행 중
K10호 2009년 2014년 운행 중
K11호 2015년 운행 중
K12호 2010년 2014년 운행 중
K13호 2009년 운행 중
K14호 2010년 운행 중
K15호 운행 중
K16호 2015년 운행 중

R 편성 (큐슈여객철도 소속 - 8량 편성)

편집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R1호 2010년 운행 중
R2호 운행 중
R3호 운행 중
R4호 운행 중
R5호 운행 중
R6호 2011년 운행 중
R7호 운행 중
R8호 운행 중
R9호 운행 중
R10호 운행 중
R11호 2012년 운행 중
R12호 운행 중

S 편성 (서일본여객철도 소속 - 8량 편성)

편집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S1호 2008년 운행 중
S2호 2010년 운행 중
S3호 운행 중
S4호 운행 중
S5호 운행 중
S6호 운행 중
S7호 운행 중
S8호 2011년 운행 중
S9호 운행 중
S10호 운행 중
S11호 운행 중
S12호 운행 중
S13호 운행 중
S14호 운행 중
S15호 운행 중
S16호 운행 중
S17호 운행 중
S18호 2012년 운행 중
S19호 운행 중
S20호 운행 중

X 편성 (구. Z 편성 - 도카이여객철도 소속)

편집
차호 도입 시기 개조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X0호 2005년 2014년 2019년 도입 초기 Z0호로 도입했다.
X1호 2007년 2015년 2021년
X2호
X3호
X4호 2022년
X5호
X6호
X7호 2013년
X8호
X9호
X10호
X11호
X12호 2008년 2014년 2020년
X13호
X14호
X15호
X16호
X17호
X18호 2023년
X19호 2021년
X20호 2023년
X21호
X22호 2021년
X23호
X24호
X25호
X26호
X27호
X28호
X29호 2015년
X30호 2009년 2014년 2023년
X31호 2024년
X32호 2015년 2024년
X33호 2024년
X34호 2024년
X35호 2024년
X36호 2013년 2024년
X37호 2015년 2024년
X38호 2013년 2024년
X39호 2022년
X40호 2024년
X41호 2022년
X42호 2024년
X43호 2022년
X44호 2014년
X45호 2010년
X46호 2023년
X47호
X48호
X49호
X50호 운행 중
X51호 운행 중
X52호 운행 중
X53호 운행 중
X54호 운행 중
X55호 운행 중
X56호 운행 중
X57호 운행 중
X58호 운행 중
X59호 운행 중 2015년 6월 30일 도카이도 신칸센 화재 사건으로 인해 1호차가 폐차 및 신조되었다.[27]
X60호 운행 중
X61호 2011년 2015년 운행 중
X62호 운행 중
X63호 운행 중
X64호 운행 중
X65호 2013년 운행 중
X66호 운행 중
X67호 운행 중
X68호 운행 중
X69호 운행 중
X70호 운행 중
X71호 운행 중
X72호 운행 중
X73호 운행 중
X74호 운행 중
X75호 운행 중
X76호 운행 중
X77호 2014년 운행 중
X78호 2012년 운행 중
X79호 운행 중
X80호 운행 중

파생형

편집

신칸센 N700S계 전동차

편집

신칸센 N700S계 전동차(일본어: 新幹線N700S系電車)는 도카이도 신칸센, 산요 신칸센용으로 개발된 신칸센 차량으로 S의 의미는 슈프림(영어: Supreme)을 의미한다. 2018년에 시제 차량 시범 운행을 시작으로, 2020년 7월 1일부터 정식 운행을 개시하였다.[28]

N700-I 볼리트

편집

N700-I 볼리트(영어: N700-I Bullet)는 신칸센 N700계 전동차의 수출형 모델로 2009년 11월 16일나고야에서 개최한 국제 고속철도 심포지엄에서 당시 도카이여객철도 대표인 요시우키 카사이가 발표했다. 최고 영업 속도는 시속 330km/h로[29] 신칸센 N700계 전동차 모델과 동일하게 적용해 6량 편성부터 16량 편성까지 세부 모델이 존재한다.[30] 마지막 B는 볼리트(영어: Bullet)를 의미한다.

최고 속도 기록 경신

편집

2009년 11월 16일, 도카이여객철도는 심야 시간에 N700계 Z0편성을 사용해 시범 운행을 하면서,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 중 교토 ~ 마이바라 구간에 최고 영업 속도 332km/h를 기록했다. 시범 운행 당시 나고야 고속철도 심포지엄에 참석한 160명의 승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31][32]

사건 및 사고

편집

신칸센 대차 균열 사건

편집
  • 2017년 12월 11일, 사고 열차는 노조미 34호서일본여객철도 소속 N700계 5000번대 K5편성의 대차 부품에 균열이 발생한 사고로[36] 운행 당시 고쿠라에서 타는 냄새와 이상한 소음이 발생에 불구하고 당시 서일본여객철도 소속 정비 관계자가 탑승하면서 지켜본 결과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리면서 운행을 계속하기로 결정했고 나고야까지 운행했다.[37][38] 그러나 교토 부근에서 타는 냄새와 소음을 감지했고 해당 열차는 나고야에서 운행을 중단 시킨 후 나고야 차량 사업소로 회송되었다. 점검 당시 13호차의 대차 중 하나의 기어박스에 균열로 인해 누유가 발생했다.[38]

보존 및 전시 차량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N700 Series Delivery Schedule” (PDF). 2007년 9월 26일. 2007년 10월 1일에 확인함. 
  2. “Winter 2008/2009 Train Schedule Update (JR Central)” (PDF). 2008년 10월 17일. 2008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0월 20일에 확인함. 
  3. Serkan Toto (2009년 3월 9일). “Shinkansen bullet trains get wireless LAN with 2Mbps”. 2010년 5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13일에 확인함. 
  4. N700Aのデザインについて [Details of N700A design] (pdf). 《News release》 (일본어). Japan: Central Japan Railway Company. 2012년 7월 25일. 2012년 7월 25일에 확인함. 
  5. 이동: 東海道・山陽新幹線車両 N700Aの概要及び投入計画について [Outline of N700A Tokaido/Sanyo Shinkansen trains] (pdf). 《News release》 (일본어). Japan: Central Japan Railway Company. 2011년 5월 30일. 2011년 5월 30일에 확인함. 
  6. JR電車編成表 2009夏 [JR EMU Formations - Summer 2009]. Japan: JRR. June 2009. ISBN 978-4-330-06909-8. 
  7. 이동: Ikeguchi, Eiji (December 2016). 700系新幹線の軌跡 [The 700 series trajectory]. 《Japan Railfan Magazine》 (일본어) 56 (Japan: Koyusha Co., Ltd.). 19, 26쪽. 
  8. 이동: N700系0・3000番台を「N700A」タイプに改造 [N700-0 and N700-3000 series to be modified as "N700A" type]. 《Japan Railfan Magazine》 (일본어) 54 (Japan: Koyusha Co., Ltd.). January 2014. 64–65쪽. 
  9. “東海道・山陽新幹線車両 N700Aの追加投入” [Additional N700A series trains to be introduced on Tokaido & Sanyo Shinkansen]. 《News release》 (일본어). Japan: West Japan Railway Company. 2014년 11월 19일. 2014년 11월 19일에 확인함. 
  10. JR西日本,N700Aを15編成導入へ [JR West to introduce 15 more N700A sets]. 《Japan Railfan Magazine Online》 (일본어). Japan: Koyusha Co., Ltd. 2016년 12월 22일. 2016년 1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24일에 확인함. 
  11. Japan Railfan Magazine, December 2008 issue: "山陽・九州新幹線直通用車両 量産先行車", p.64-67
  12. JR Kyushu: "新幹線の列車名決定!!" Archived 2009년 9월 19일 - 웨이백 머신 Retrieved on 26 February 2009. (일본어)
  13. 九州新幹線,熊本—筑後船小屋間で試運転 [Test-running on Kyushu Shinkansen Between Kumamoto and Chikugo-Funagoya]. 《Japan Railfan Magazine Online》 (일본어). Koyusha Co., Ltd. 2010년 9월 1일. 2010년 9월 1일에 확인함. 
  14. “N700系8000番台が熊本総合車両基地に搬入される” [N700-8000 series set delivered to Kumamoto Depot]. 《Japan Railfan Magazine Online》 (일본어). Koyusha Co., Ltd. 2010년 7월 5일. 2010년 7월 14일에 확인함. 
  15. N700系Z80編成が搬入される [N700 series set Z80 delivered]. 《Japan Railfan Magazine Online》 (일본어). Japan: Koyusha Co., Ltd. 2012년 2월 9일. 2012년 2월 10일에 확인함. 
  16. 최고 기동가속도는 500계가 1.92km/h/s, 700계가 2.0km/h/s, 800계가 2.5km/h/s이다.
  17. 대한민국의 고속열차 HEMU-430X의 제동장치도 중앙체결식이다
  18. 700계에는 여기에 좌우동 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19. 이동: 鉄道ジャーナル, 九州直通用新幹線電車(量産先行車)車両概要, 2009년 1월
  20. ジェー・アール・アール, 편집. (2016). 《JR電車編成表 2016夏》. 交通新聞社. pp.110–112, 128–129쪽. ISBN 9784330682167.  다음 글자 무시됨: ‘和書’ (도움말)
  21. ジェー・アール・アール, 편집. (2010). 《JR電車編成表 2010夏》. 交通新聞社. pp.106, 107, 126쪽. ISBN 9784330143101.  다음 글자 무시됨: ‘和書’ (도움말)
  22. “平成2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PDF). 東海旅客鉄道. 2009년 12월 18일. 2014년 12월 11일에 확인함. 
  23. “平成23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PDF). 東海旅客鉄道. 2010년 12월 17일. 2014년 12월 11일에 확인함. 
  24. “平成24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PDF). 東海旅客鉄道. 2011년 12월 16일. 2014년 12월 11일에 확인함. 
  25. “平成25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PDF). 東海旅客鉄道. 2012년 12월 21일. 2014년 12월 11일에 확인함. 
  26. “平成26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PDF). 東海旅客鉄道. 2013년 12월 20일. 2014년 12월 11일에 확인함. 
  27. N700系X59編成 試運転 [N700 series set X59 test run] (일본어). Japan. 2016년 7월 26일. 2016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19일에 확인함. 
  28. “東海道新幹線 次期軌道状態監視システムの開発について” (PDF) (일본어). 도카이여객철도. 2018년 5월 30일. 2018년 5월 3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2일에 확인함. 
  29. “보관된 사본”. 2016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25일에 확인함. 
  30. “보관된 사본” (PDF). 2016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25일에 확인함. 
  31. 東海道新幹線、332キロで試験運転 各国関係者にPR. 《아사히신문》 (일본어). Japan. 2009년 11월 17일. 2009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18일에 확인함. 
  32. “Foreign rail interests given high-speed run”. 《재팬 타임스》. Japan. 2009년 11월 18일. 2009년 11월 18일에 확인함. 
  33. 東海道新幹線の車内で火災 男女2人死亡 Archived 2015년 6월 30일 - 웨이백 머신 - NHK, 2015년 6월 30일
  34. “平成27年6月30日に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東海道新幹線で発生した列車火災事故”. 運輸安全委員会. 2015년 7월 1일. 2015년 1월 3일에 확인함. 
  35. “東海道新幹線火災:71歳男、焼身自殺 女性、巻き添え死亡 重軽傷26人に”. 《마이니치신문》. 2015년 7월 1일. 1쪽. 
  36. “Shinkansen halted in Nagoya after oil leak and cracked frame found”. 《Japan Times》. 2017년 12월 13일. 2017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30일에 확인함. 
  37. Peter Wells and Leo Lewis. “Japan bullet train safety scare embroils manufacturers”. 《20 December 2017》. 2017년 12월 30일에 확인함. 
  38. 이동: “Outer frame under running bullet train was close to breaking”. 《아사히신문》. 2017년 12월 20일. 2017년 12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30일에 확인함. 
  39. リニア・鉄道館 N700系車両の展示について [N700 series shinkansen exhibit at SCMaglev and Railway Park] (PDF). 《News release》 (일본어). Japan: Central Japan Railway Company. 2019년 5월 17일. 2019년 7월 1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