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36독거미 성운의 중심 부근에 있는 산개 성단이다.[1] 약 100만년에서 200만년 된 성단으로,[1] 거성초거성으로 구성되어있다. 대부분 분광형O3으로,[1] O3형 항성이 39개 확인되었다.[1][2] 또한 울프-레이에 별도 몇 개 확인되고 있다.[2][3]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R136
R136 성단의 폭주성

R136 성단은 몇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중앙부의 R136a는 한때 질량이 태양의 1500배에 광도가 3000만배, 온도는 55000K에서 60000K고 직경은 8000만km에 달하는 초거성이라고 여겨졌었다. 하지만 R136a의 진짜 모습은 스페클 영상화에 의해 해명되었는데,[4] 12개의 질량이 크고 광도가 높은 항성으로 구성된 성단인 것으로 밝혀졌다.[5] 이 항성들의 질량은 태양질량의 37배에서 76배로 계산된다.[5] 또한 3개의 아주 밝은 항성(R136a1, R136a2, R136a3)들이 각각 불과 0.1초, 0.48초 각도 차이로 떨어져 존재한다. 이 중 R136a1은 질량이 태양의 265배로 알려져, 현재까지 발견된 항성 중 가장 무겁다.[6] 또한 광도가 태양의 1000만배로 가장 밝은 항성이기도 하다.[7] R136은 독거미 성운이 방출하는 빛과 열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성단의 질량은 태양의 45만배로 여겨지고, 시간이 흐르면 구상성단이 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8]

구성

편집
이름 적경 적위 겉보기 등급(V) 분광형 데이터베이스
R136a 05h 38m 43.3s -69° 06′ 08″ 성단 SIMBAD
R136a1 (BAT99 108) 05h 38m 42.43s -69° 06′ 02.2″ 12.77 WN SIMBAD
R136a2 (BAT99 109) 05h 38m 42.45s -69° 06′ 02.2″ 13.38 Wolf-Rayet SIMBAD
R136a3 (BAT99 106) 05h 38m 42.291s -69° 06′ 03.45″ 12.93 WN SIMBAD
R136 Ab (SNR B0538-69.2) 05h 37m 51.6s -69° 10′ 23″ 9.59 SNR SIMBAD
R136 Ac (PSR J0537-6910) 05h 37m 47.6s -69° 10′ 20″ 펄사 SIMBAD
R136b (BAT99 111) 05h 38m 42.78s -69° 06′ 03.1″ 13.66 O4 SIMBAD
R136c (BAT99 112) 05h 38m 42.896s -69° 06′ 04.92″ 12.86 WN SIMBAD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Massey, P ; Hunter, D. (January 1998). “Star Formation in R136: A Cluster of O3 Stars Revealed by Hubble Space Telescope Spectroscopy”. 《The Astrophysical Journal》 493 (1): 180. doi:10.1086/306503. 
  2. Lebouteiller, V.; Bernard-Salas, J.; Brandl, B.; Whelan, D. G.; Wu, Yanling; Charmandaris, V.; Devost, D.; Houck, J. R. (June 2008). “Chemical Composition and Mixing in Giant H II Regions: NGC 3603, 30 Doradus, and N66”. 《The Astrophysical Journal》 680 (1): 398–419. doi:10.1086/587503. 
  3. Melnick, J. (December 1985,). “The 30 Doradus nebula. I - Spectral classification of 69 stars in the central cluster”. 《Astronomy and Astrophysics》 153 (1): 235–244. 
  4. Weigelt, G.; Baier, G. (September 1985). “R136a in the 30 Doradus nebula resolved by holographic speckle interferometry”. 《Astronomy and Astrophysics》 150: L18–L20. 
  5. Koter, Heap, and Hubeny, Alex; Heap, Sara R.; Hubeny, Ivan (1998). “An Empirical Isochrone of Very Massive Stars in R136A”. 《The Astrophysical Journal》 509: 879–896. doi:10.1086/306503. 2019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10일에 확인함. 
  6. Amos, Jonathan (2010년 7월 21일). “Astronomers detect 'monster star'. BBC News. 2010년 7월 21일에 확인함. 
  7. Chow, Denise (2010년 7월 21일). “Heftiest Star Discovery Shatters Cosmic Record”. SPACE.com. 2010년 7월 21일에 확인함. 
  8. Bosch, Guillermo; Terlevich, Elena; Terlevich, Roberto (2009). “Gemini/GMOS Search for Massive Binaries in the Ionizing Cluster of 30 Dor”. 《Astronomical Journal》 137 (2): 3437–3441. doi:10.1088/0004-6256/137/2/3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