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 102ka
WR 102ka는 작약 별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우리 은하에서 알려진 가장 광도가 높은 별의 여러 후보 중 하나인 빗금표 항성이다.[5]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분점 J2000. | |
---|---|
별자리 | 궁수자리 |
적경 | 17h 46m 18.12s[1] |
적위 | -29° 01′ 36.5″[1] |
특성 | |
진화 단계 | 빗금표 항성 |
스펙트럼 종류 | Ofpe/WN9[2] |
겉보기등급 (J) | 13.0[1] |
겉보기등급 (H) | 10.3[1] |
겉보기등급 (K) | 8.8[1] |
J−H 색지수 | 2.7[1] |
J−K 색지수 | 4.2[1] |
변광 종류 | |
위치천문학 | |
거리 | 26,000[2] ly (8,000[2] pc) |
상세 | |
질량 | ~100[3] M☉ |
반지름 | 92[2] R☉ |
광도 | 2,950,000[3] L☉ |
유효온도 | 25,100[2][3] K |
나이 | ~2[3] Myr |
천체 명칭 | |
데이터베이스 자료 | |
SIMBAD | 데이터 |
발견
편집WR 102ka는 은하중심 근처에 존재하며 본질적으로 가시 영역에서 완전히 가려져 있어 먼지를 투과할 수 있는 더 긴 파장의 적외선으로 관찰해야 한다. WR 102ka는 2002년과 2003년에 적외선 조사를 통해 분류되었는데 이는 각각 1.2 μm, 1.58 μm, 2.2 μm의 근적외선 J, H 및 Ks 대역에서의 2MASS와[1] 7 μm, 15 μm의 젊은 항성체 후보에 대한 ISOGAL 측량에서 관찰되었다.[6]
2 μm 부근의 여러 스펙트럼 특징에 대한 협대역 적외선 관측 결과 WR 102ka는 분광형 WN10으로 분류되는 볼프-레이에별인 것으로 추정 되었으며[7] 밝은 청색변광성으로 제안되기도 했다.[8]
스피처 우주망원경은 2005년 4월 20일에 파장 3.6 μm, 8 μm, 24 μm에서 WR 102ka를 관측했으며 이 관측을 통해 이 극도로 빛나는 물체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최초의 신뢰할 수 있는 계산이 가능해졌다.[2]
우리 은하의 다른 밝은 항성들
편집더 가까운 별 WR 25는 WR 102ka보다 더 밝을 수 있으며[9] 19세기에 몇 년 동안 하늘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었던 또 다른 가까운 별인 용골자리 에타는 WR 102ka보다 약간 더 밝은 것으로 보이지만 쌍성계로 알려져 있다. 또한 더 최근에 발견된 피스톨별도 있는데 이는 작약 별과 마찬가지로 속해있는 성운의 모양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성운은 아마도 강한 항성풍을 통한 막대한 질량 손실을 통해 생성되었을 것이고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관찰한 돌출부를 생성한 1830년대–1840년대의 용골자리 에타의 폭발과 같은 유사 초신성이 일어났을 수도 있다.[10]
피스톨별, 용골자리 에타, WR 102ka의 광도는 전면의 은하 먼지에 의한 심한 가려짐으로 인해 모두 다소 불확실해지며 총 복사 전력을 또는 복사 광도를 추정하기 위해 겉보기 밝기를 줄이기 전에 그 영향이 보정되어야 한다.[11] 용골자리 에타와 WR 102ka는 모두 향후 수백만 년 내에 초신성 또는 극초신성으로 폭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믿어지며[12][9] 극도로 거대하고 빛나는 별의 전형적인 경우처럼 두 별 모두 원래 형성되었을 때의 초기 질량의 상당 부분을 밀도가 높고 거대한 항성풍으로 방출했다.[13][9]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Skrutskie, Michael F.; Cutri, Roc M.; Stiening, Rae; Weinberg, Martin D.; Schneider, Stephen E.; Carpenter, John M.; 외. (2006년 2월 1일). “The Two Micron All Sky Survey (2MASS)”. 《The Astronomical Journal》 131 (2): 1163–1183. Bibcode:2006AJ....131.1163S. doi:10.1086/498708. ISSN 0004-6256. S2CID 18913331.
- ↑ 가 나 다 라 마 바 Barniske, A.; Oskinova, L. M.; Hamann, W. -R. (2008). “Two extremely luminous WN stars in the Galactic center with circumstellar emission from dust and ga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86 (3): 971. arXiv:0807.2476. Bibcode:2008A&A...486..971B. doi:10.1051/0004-6361:200809568. S2CID 8074261.
- ↑ 가 나 다 라 Oskinova, L. M.; Steinke, M.; Hamann, W. - R.; Sander, A.; Todt, H.; Liermann, A. (2013). “One of the most massive stars in the Galaxy may have formed in isolatio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36 (4): 3357. arXiv:1309.7651. Bibcode:2013MNRAS.436.3357O. doi:10.1093/mnras/stt1817. S2CID 118513968.
- ↑ Hamann, Wolf-Rainer; Barniske, Andreas; Liermann, Adriane; Oskinova, Lidia M.; Pasemann, Diana; Ruehling, Ute (2011). “The most luminous stars in the Galaxy and the Magellanic Clouds”. 《Société Royale des Sciences de Liège》 80: 98. arXiv:1012.1875v1. Bibcode:2011BSRSL..80...98H.
- ↑ Steinke, M.; Oskinova, L. M.; Hamann, W. -R.; Sander, A. (2015년 1월 1일). “The Wolf-Rayet stars WR102c and 102ka and their isolation”. 《Wolf-Rayet Stars》: 365. Bibcode:2015wrs..conf..365S.
- ↑ Felli, M.; Testi, L.; Schuller, F.; Omont, A. (2002). “Young massive stars in the ISOGAL survey. II. The catalogue of bright YSO candidate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92 (3): 971–990. arXiv:astro-ph/9905296. Bibcode:2002A&A...392..971F. doi:10.1051/0004-6361:20020973. S2CID 18314394.
- ↑ Homeier, N. L.; Blum, R. D.; Pasquali, A.; Conti, P. S.; Damineli, A. (2003). “Results from a near infrared search for emission-line stars in the Inner Galaxy: Spectra of new Wolf-Rayet stars”. 《Astronomy & Astrophysics》 408: 153–159. arXiv:astro-ph/0306578. Bibcode:2003A&A...408..153H. doi:10.1051/0004-6361:20030989. S2CID 11814077.
- ↑ Clark, J. S.; Larionov, V. M.; Arkharov, A. (2005). “On the population of galactic Luminous Blue Variables” (PDF). 《Astronomy & Astrophysics》 435 (1): 239–246. Bibcode:2005A&A...435..239C. doi:10.1051/0004-6361:20042563.
- ↑ 가 나 다 “WR 102ka – a Blue Supergiant Star - Assignment Point” (미국 영어). 2022년 3월 8일에 확인함.
- ↑ Garner, Rob (2019년 7월 1일). “Hubble Captures the Galaxy's Biggest Ongoing Stellar Fireworks Show”. 《NASA》. 2022년 3월 8일에 확인함.
- ↑ Zwicky, F. (1962). “1962IAUS...15..347Z Page 347”. 《Problems of Extra-Galactic Research》 15: 347. Bibcode:1962IAUS...15..347Z. 2022년 3월 8일에 확인함.
- ↑ Elizabeth Howell (2022년 1월 26일). “Eta Carinae's epic supernova explosion comes to life in new visualization”. 《Space.com》 (영어). 2022년 3월 8일에 확인함.
- ↑ “The turbulent heart of Eta Carinae”. 《www.mpg.de》 (영어). 2022년 3월 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