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zer (Blue Album)
《Blue Album》으로도 알려진 《Weezer》는 미국의 록 밴드 위저가 1994년 5월 10일에 발매한 데뷔 스튜디오 음반이다. 더 카스의 선두주자 릭 오케이섹이 프로듀싱을 맡았으며, 1993년 8월부터 9월까지 뉴욕의 일렉트릭 레이디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였다. 기타리스트 제이슨 크로퍼는 녹음 도중 브라이언 벨이 대신하여 떠났다.
![]() | ||||
---|---|---|---|---|
![]() | ||||
위저의 정규 음반 | ||||
출시 | 1994년 5월 10일 | |||
녹음 | 1993년 8월~9월 | |||
장르 | 얼터너티브 록, 파워 팝, 이모, 팝 펑크, 팝 록 | |||
길이 | 41:26 | |||
언어 | 영어 | |||
레이블 | DGC | |||
프로듀서 | 릭 오케이섹 | |||
위저 연표 | ||||
|
전문가 평가 | |
---|---|
평가 점수 | |
출처 | 점수 |
AllMusic | ![]() ![]() ![]() ![]() ![]() |
Blender | ![]() ![]() ![]() ![]() ![]() |
Chicago Sun-Times | ![]() ![]() ![]() ![]() |
Entertainment Weekly | B (1994)[4] A+ (2014)[5] |
NME | 7/10[6] |
Pitchfork | 10/10[7] |
Q | ![]() ![]() ![]() ![]() ![]() |
Rolling Stone | ![]() ![]() ![]() ![]() ![]() |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 | ![]() ![]() ![]() ![]() ![]() |
Spin | A[11] |
이 음반은 미국 빌보드 200에서 16위에 올랐고, 트리플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이 음반은 싱글곡인 〈Undone – The Sweater Song〉, 〈Buddy Holly〉, 그리고 스파이크 존즈가 연출한 뮤직 비디오의 도움을 받아 위저에게 주류의 성공을 가져다 준 〈Say It Ain't So〉의 지원을 받았다. 2009년까지 이 음반은 미국에서 최소 330만 장, 전 세계적으로 1500만 장이 팔렸다.[12]
배경
편집위저는 1992년 2월 14일, 로스앤젤레스에서 보컬 겸 기타리스트 리버스 쿼모, 드러머 패트릭 윌슨, 베이시스트 맷 샵, 기타리스트 제이슨 크로퍼에 의해 결성되었다.[13] 비록 그들이 〈Undone – The Sweater Song〉과 〈Say It Ain't So〉를 포함한 미래의 히트곡을 공연했지만, 쿼모는 그들이 대신 그런지 밴드를 보기를 원하는 관객들을 참여시키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14]
위저는 LA 주변에서 소동을 일으키기 위해 《The Kitchen Tape》라는 데모 테이프를 녹음했다.[15] 이는 댓 독과 같은 어음에서 공연할 얼터너티브 록 밴드를 찾는 메이저 레이블 A&R 관계자들의 관심을 끌었다.[16] 위저는 1993년 6월 26일 게펀 레코드의 A&R 담당자 토드 설리번과 DGC 레코드에 계약을 맺었다.[17]
곡 목록
편집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리버스 쿼모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My Name Is Jonas | 리버스 쿼모, 패트릭 윌슨, 제이슨 크로퍼 | 3:23 |
2. | No One Else | 3:14 | |
3. | The World Has Turned and Left Me Here | 쿼모, 윌슨 | 4:26 |
4. | Buddy Holly | 2:04 | |
5. | Undone – The Sweater Song | 4:55 | |
6. | Surf Wax America | 쿼모, 윌슨 | 3:04 |
7. | Say It Ain't So | 4:18 | |
8. | In the Garage | 3:56 | |
9. | Holiday | 3:26 | |
10. | Only in Dreams | 7:59 |
인증
편집국가 | 인증 | 판매량/출하량 |
---|---|---|
캐나다 (뮤직 캐나다)[18] | 2× 플래티넘 | 200,000^ |
뉴질랜드 (RMNZ)[19] | 플래티넘 | 15,000^ |
영국 (BPI)[20] | 골드 | 100,000^ |
미국 (RIAA)[21] | 3× 플래티넘 | 3,000,000^ |
^출하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
각주
편집- ↑ Erlewine, Stephen Thomas. “Weezer [Blue Album] – Weezer”. AllMusic. 201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Greenwald, Andy. “Weezer: Weezer”. 《Blender》. 2004년 6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6일에 확인함.
- ↑ DeRogatis, Jim (1994년 7월 3일). “Weezer, 'Weezer' (DGC)”. 《Chicago Sun-Times》. 2017년 8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 Flaherty, Mike (1994년 10월 14일). “Weezer”. 《Entertainment Weekly》. 244호. 2011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Anderson, Kyle (2014년 5월 21일). “Weezer's Debut Turns 20”. 《Entertainment Weekly》. 2014년 5월 26일에 확인함.
- ↑ “Weezer: Weezer”. 《NME》. 1995년 2월 25일. 39쪽.
- ↑ Mapes, Jillian (2017년 2월 26일). “Weezer: Weezer (Blue Album)”. 《Pitchfork》. 2017년 2월 26일에 확인함.
- ↑ “Weezer: Weezer”. 《Q》. 102호. March 1995. 106쪽.
- ↑ Hoard, Christian (2004년 4월 29일). “Geek Deluxe”. 《Rolling Stone》. 947호. 82쪽. 2017년 8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27일에 확인함.
- ↑ Sheffield, Rob (2004). 〈Weezer〉. Brackett, Nathan; Hoard, Christian.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4판. Simon & Schuster. 865–66쪽. ISBN 0-7432-0169-8.
- ↑ Pappademas, Alex (April 2004). “Rhapsody in Blue”. 《Spin》. 20권 4호. 87–88쪽. 2015년 11월 16일에 확인함.
- ↑ Ayers, Michael D. (2009년 8월 21일). “Weezer Filled With 'Raditude' This Fall”. 《Billboard》. Los Angeles, California: Eldridge Industries. 2012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Weezer: Kings of the world | Interview | Upset” (미국 영어). 2016년 5월 6일. 2021년 9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Luerssen 2004, 67쪽
- ↑ Luerssen 2004, 69쪽
- ↑ Luerssen 2004, 76쪽
- ↑ Luerssen 2004, 82쪽
- ↑ “Canadian album certifications – Weezer – Weezer” (영어). 뮤직 캐나다.
- ↑ “New Zealand album certifications – Weezer – Weezer” (영어). Recorded Music NZ.
- ↑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Weezer – Weezer” (영어). 영국 축음기 협회.
- ↑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Weezer – Weezer” (영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