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군의 지질

본 문서에서는 경상남도 거창군의 지질과 수승대, 건계정 등 지질유산에 대해 설명한다.

거창군 수승대관광지의 중생대 백악기 반상 화강암

개요

편집

경상남도 거창군은 영남 육괴의 한가운데에 위치하여 선캄브리아기 변성암류와 이를 관입한 중생대 백악기 화강암류로 구성된다. 1:5만 지질도폭 상으로 무풍 지질도폭(1969)[1]의 남부, 거창 지질도폭(1970)[2] 전역, 구정 지질도폭(1970)의 서부, 안의 지질도폭(1968)[3]의 북동부에 해당한다.[4]

덕유산층

편집

덕유산층은 덕유산 일대에 분포하는 변성퇴적암 지층으로 거창군의 덕유산층 편암류는 석영-운모편암, 석영-견운모편암, 반상변정편암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이 석영-견운모편암이며, 세립의 석영, 운모가 밀집된다. 편리는 대개 주향 북동 42°. 경사 북서 44~47° 방향으로 발달한다.[2]

조립질 화강편마암

편집

조립질 화강편마암은 북상면 산수리 시루봉에서 병곡리, 소정리, 신풍령에 걸쳐 북동-남서 방향으로 대상 분포하는 화강편마암이다. 이 암석은 대개 중립질이나 국부적으로 세립이고 장석이 편리에 따라 신장되어 있다. 또한 암석 중에 박층의 흑운모대상편마암이 협재되어 있다. 편리의 주향은 북동 44~52°, 경사는 북서 60~70°이다. 현미경 하에서 석영, 장석, 미사장석, 사장석, 흑운모와 소량의 각섬석, 백운모로 구성된다. 장석류는 대부분이 고령석화~견운모화 되었으며 석영은 파쇄되었고 재결정된 부분이 많다.[2]

세립질 화강편마암

편집

세립질 화강편마암(PCEgnf)은 거창군 고제면 궁항리 북부, 봉산리, 웅양면 군암리 지역에 분포한다. 이 지역의 본 암석은 흑운모의 세립이 50%정도 함유되는 것도 있는데 표면에 편리 방향에 평행한 절리가 많이 발달하고 보편적인 암상은 반화강암질(Aplitic)이다.[2]

반상변정편마암

편집

반상변정편마암(PCEpogn)은 거창군 북서부 고제면~북상면마리면 중부 지역에 북북동 방향으로 분포하는 편마암이다. 고제면-북상면의 편마암은 뚜렷한 편리를 가지며 북서측의 조립질 화강편마암 및 북동측(고제면 궁항리 지역)의 세립질 화강편마암과 점이적인 관계를 보인다. 석영과 미사장석, 사장석이 많고 정장석은 적다.[2]

흑운모대상편마암

편집

흑운모대상편마암은 거창군 가북면 중촌리와 거열산성국립공원~건계정(거창읍 송정리)~마리면 하고리 지역에 분포하는 편마암이다. 본 암석은 우흑대와 우백대가 교호하며 엽리가 잘 발달해 있다. 우백대는 세립질로 주로 장석으로 구성되며 국부적으로 장경 2 cm의 안구상 반정을 가진다. 우흑대는 흑운모, 석영, 장석으로 구성되며 중립 내지 조립질이다. 하고리-송정리 일대에서는 주입편마암, 세립질화강편마암, 반상변정편마암, 흑운모대상편마암등의 서로 불규칙한 양상을 띠우며 분포하는데 이는 중생대 백악기 흑운모 화강암의 관입당시에 변질, 교란된 것으로 보인다. 가북면 중촌리 일대의 본 편마암은 동쪽의 흑운모 편마암과 서쪽의 반상변정편마암과 점이적인 관계를 보인다.

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석영, 흑운모, 사장석과 미량의 각섬석으로 구성된다. 흑운모는 일정한 방향에 따라 신장되어 있으며, 석영은 압쇄상 구조를 보인다. 편리의 주향과 경사는 건계정 지역에서 북동 35~45°,남동 78~85° 및 북동 34~44°, 북서 70~80°, 가북면 중촌리 지역에서 북동 25~35°, 남동 62~72°이다.[2]

흑운모 화강암

편집

흑운모 화강암은 거창읍주상면, 웅양면, 가조면 일대에 넓게 분포하며 거대한 저반암체의 일부이다. 전체적으로 중~조립질의 흑운모 화강암으로 남쪽으로 갈수록 백운모가 많아지고 북쪽으로 갈수록 각섬석이 많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석영, 정장석, 사장석 미사장석, 흑운모와 소량의 각섬석으로 구성된다.[2]

반상 화강암

편집

반상 화강암은 거창군 위천면 수승대관광지와 위천면 상천리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 중립질 암상에 장경 2 cm의 반정을 가지며 상부로 갈수록 반정의 함량과 크기가 커지고 흑운모의 함유량도 많아진다. 현미경 하에서 석영, 사장석, 소량의 정장석흑운모로 구성되며, 정장석고령석화되어 있다.[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