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만 계량 을 갖춘 경계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위의 균등 비압축성 오일러 방정식 은 어떤 시간 의존 스칼라장
p
:
R
×
M
→
R
{\displaystyle p\colon \mathbb {R} \times M\to \mathbb {R} }
p
:
(
t
,
x
)
↦
p
(
t
,
x
)
{\displaystyle p\colon (t,x)\mapsto p(t,x)}
과 시간 의존 벡터장
u
:
R
×
M
→
T
M
{\displaystyle u\colon \mathbb {R} \times M\to \mathrm {T} M}
u
:
(
t
,
x
)
↦
u
(
t
,
x
)
∈
T
x
M
{\displaystyle u\colon (t,x)\mapsto u(t,x)\in \mathrm {T} _{x}M}
에 대한, 다음과 같은 1차 편미분 방정식 이다.[ 1] :Example 3 [ 2] :90, §3.2, (3.22)
(
∂
u
∂
t
+
∇
u
)
u
=
−
(
d
p
)
♯
{\displaystyle \left({\frac {\partial u}{\partial t}}+\nabla _{u}\right)u=-(\mathrm {d} p)^{\sharp }}
L
u
vol
=
0
{\displaystyle {\mathcal {L}}_{u}\operatorname {vol} =0}
u
↾
∂
M
∈
Γ
(
T
∂
M
)
{\displaystyle u\upharpoonright \partial M\in \Gamma (\mathrm {T} \partial _{M})}
여기서
(
−
)
♯
:
Ω
1
(
M
)
→
V
e
c
t
(
M
)
{\displaystyle (-)^{\sharp }\colon \Omega ^{1}(M)\to {\mathfrak {Vect}}(M)}
은 음악 동형 의 하나이며, 1차 미분 형식 을 벡터장 으로 대응시킨다. 즉,
(
d
p
)
♯
{\displaystyle (\mathrm {d} p)^{\sharp }}
는 스칼라장
p
{\displaystyle p}
의 기울기 벡터장 이다. 이 연산을 정의하려면 리만 계량 이 필요하다.
vol
{\displaystyle \operatorname {vol} }
은 리만 계량
g
{\displaystyle g}
로 정의된 부피 형식 이다. (만약
M
{\displaystyle M}
이 비가향 다양체 라도 이는 국소적으로 정의되며, 방향 은 중요하지 않다.)
L
u
{\displaystyle {\mathcal {L}}_{u}}
는 (국소적으로 정의된 미분 형식 의) 리 미분 이다.
방정식
∂
L
u
vol
=
0
{\displaystyle \partial L_{u}\operatorname {vol} =0}
은 벡터장
u
{\displaystyle u}
의 발산 이 0임을 뜻한다.
∂
M
{\displaystyle \partial M}
은 경계다양체
M
{\displaystyle M}
의 경계이다.
T
∂
M
{\displaystyle \mathrm {T} \partial M}
은 경계
∂
M
{\displaystyle \partial M}
의 접다발 이다.
Γ
(
T
∂
M
)
{\displaystyle \Gamma (\mathrm {T} \partial M)}
은 그 단면 의 집합이며, 이는
M
{\displaystyle M}
의 경계에 평행한 접벡터들로 구성된다.
u
↾
∂
M
∈
Γ
(
T
∂
M
)
{\displaystyle u\upharpoonright \partial M\in \Gamma (\mathrm {T} \partial M)}
은 경계다양체
M
{\displaystyle M}
위에 정의된 벡터장
u
{\displaystyle u}
가
M
{\displaystyle M}
의 경계
∂
M
{\displaystyle \partial M}
에서 경계와 평행함을 뜻한다.
p
{\displaystyle p}
는 보통 변수가 아니라 주어진 배경장으로 취급한다. 오일러 방정식에는
p
{\displaystyle p}
의 도함수 만이 등장하므로, 만약 어떤 상수
p
0
{\displaystyle p_{0}}
에 대하여
p
(
t
,
x
)
↦
p
(
t
,
x
)
+
p
0
{\displaystyle p(t,x)\mapsto p(t,x)+p_{0}}
와 같이 치환하더라도
v
{\displaystyle v}
의 해는 바뀌지 않는다. 또한, 만약 둘째 및 셋째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즉, 경계에 평행한 무발산 벡터장
v
{\displaystyle v}
가 주어지면),
p
{\displaystyle p}
는 상수항을 무시하면 유일하게 결정된다.
이 방정식은 물리학적으로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
기호
물리학적 해석
단위
M
{\displaystyle M}
유체가 존재하는 공간
[길이]
∂
M
{\displaystyle \partial M}
유체가 존재하는 공간의 벽
[길이]
R
{\displaystyle \mathbb {R} }
시간
[시간]
u
(
t
,
x
)
{\displaystyle u(t,x)}
시각
t
∈
R
{\displaystyle t\in \mathbb {R} }
에서, 위치
x
∈
M
{\displaystyle x\in M}
에서의 유체의 속도
[길이] [시간]−1
p
(
t
,
x
)
{\displaystyle p(t,x)}
압력 ÷ 밀도
[길이]2 [시간]−2
∂
∂
t
+
∇
v
{\displaystyle {\frac {\partial }{\partial t}}+\nabla _{v}}
물질 미분(영어 : material derivative )
D
{\displaystyle \mathrm {D} }
. 공간의 절대 좌표 대신, 공간 속을 움직이는 주어진 유체 입자에 대한 미분
[시간]−1
(
∂
∂
t
+
∇
v
)
=
−
(
d
p
)
♯
{\displaystyle \left({\frac {\partial }{\partial t}}+\nabla _{v}\right)=-(\mathrm {d} p)^{\sharp }}
유체의 입자에 대한 뉴턴의 제2법칙 . 즉, 단위 부피 속의 유체 입자의 가속도는 이에 가해진 힘 ÷ 질량에 비례함
L
u
vol
=
0
{\displaystyle {\mathcal {L}}_{u}\operatorname {vol} =0}
유체의 소용돌이도(와도, 渦度, 영어 : vorticity )가 0임. 즉, 소용돌이가 존재하지 않음
u
↾
∂
M
∈
Γ
(
T
∂
M
)
{\displaystyle u\upharpoonright \partial M\in \Gamma (\mathrm {T} \partial M)}
유체가 벽에 힘을 가하지 않음
물리학에서는 보통 압력
p
(
t
,
x
)
{\displaystyle p(t,x)}
를 중력 퍼텐셜
ϕ
{\displaystyle \phi }
와 질량당 일
w
{\displaystyle w}
로 구분한다.
p
(
t
,
x
)
=
ϕ
(
t
,
x
)
+
w
(
t
,
x
)
{\displaystyle p(t,x)=\phi (t,x)+w(t,x)}
즉,
−
(
d
p
)
♯
=
−
(
d
w
)
♯
+
g
{\displaystyle -(\mathrm {d} p)^{\sharp }=-(\mathrm {d} w)^{\sharp }+g}
이다. 여기서
g
=
−
(
d
ϕ
)
♯
{\displaystyle g=-(\mathrm {d} \phi )^{\sharp }}
는 중력 퍼텐셜
ϕ
{\displaystyle \phi }
에 대응하는 중력장 이다.
오일러 방정식은 어떤 무한 차원 다양체 위의 측지선 방정식 으로 표현될 수 있다.[ 2] :90, Remark Ⅱ.3.6
구체적으로,
(
M
,
g
)
{\displaystyle (M,g)}
이 콤팩트 리만 경계다양체 라고 하고,
M
{\displaystyle M}
의 자기 미분 동형
f
:
M
→
M
{\displaystyle f\colon M\to M}
f
(
∂
M
)
→
(
∂
M
)
{\displaystyle f(\partial M)\to (\partial M)}
들의 공간
Diff
(
M
)
=
C
∞
(
M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ff} (M)={\mathcal {C}}^{\infty }(M,M)}
을 생각하자. 이는 프레셰 다양체 를 이루는 리 군 이다. 그 실수 리 대수 는
M
{\displaystyle M}
위의 벡터장 의 리 대수
V
e
c
t
(
M
)
{\displaystyle {\mathfrak {Vect}}(M)}
이다. 이는 리만 계량 으로부터 양의 정부호 이차 리 대수 를 이룬다. 따라서, 이로부터
C
∞
(
M
,
M
)
{\displaystyle {\mathcal {C}}^{\infty }(M,M)}
위에 오른쪽 평행 이동 불변 리만 계량 을 부여할 수 있다.
Diff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ff} (M)}
가운데, 부피를 보존하는 미분 동형들로 구성된 부분군
SDiff
(
M
)
⊆
Diff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SDiff} (M)\subseteq \operatorname {Diff} (M)}
SDiff
(
M
)
=
{
f
∈
Diff
(
M
)
:
f
∗
|
vol
|
=
|
vol
|
}
{\displaystyle \operatorname {SDiff} (M)=\{f\in \operatorname {Diff} (M)\colon f^{*}\left|\operatorname {vol} \right|=\left|\operatorname {vol} \right|\}}
이다. 여기서
|
vol
|
=
det
g
d
dim
M
x
{\displaystyle \left|\operatorname {vol} \right|={\sqrt {\det g}}\,\mathrm {d} ^{\dim M}x}
은 리만 계량
g
{\displaystyle g}
로 주어지는 부피 밀도이다. 이에 대응되는 실수 리 대수 는
S
V
e
c
t
(
M
)
=
{
u
∈
V
e
c
t
(
M
)
:
L
u
|
vol
|
=
|
vol
|
,
u
↾
∂
M
∈
V
e
c
t
(
∂
M
)
}
{\displaystyle {\mathfrak {SVect}}(M)=\{u\in {\mathfrak {Vect}}(M)\colon {\mathcal {L}}_{u}\left|\operatorname {vol} \right|=\left|\operatorname {vol} \right|,\;u\upharpoonright \partial M\in {\mathfrak {Vect}}(\partial M)\}}
이며, 이는 발산 이 0인 벡터장 들의 부분 리 대수 이다. 그 연속 쌍대 공간의 매끄러운 부분 공간은 다음 공간과 표준적으로 동형이다.
S
V
e
c
t
(
M
)
∗
≅
Ω
1
(
M
)
/
d
Ω
0
(
M
)
{\displaystyle {\mathfrak {SVect}}(M)^{*}\cong \Omega ^{1}(M)/\mathrm {d} \Omega ^{0}(M)}
여기서
Ω
i
(
M
)
{\displaystyle \Omega ^{i}(M)}
는 미분 형식 의 공간이다. 사실, 리만 계량 의 음악 동형 을 사용하면, 동치류 공간
Ω
1
(
M
)
/
d
Ω
0
(
M
)
{\displaystyle \Omega ^{1}(M)/\mathrm {d} \Omega ^{0}(M)}
의 각 동치류 에서 표준적인 대표원을 고를 수 있다.
이제,
S
V
e
c
t
(
M
)
{\displaystyle {\mathfrak {SVect}}(M)}
위에 다음과 같은 불변 양의 정부호 이차 형식 을 부여할 수 있다.
⟨
v
|
v
⟩
=
1
2
∫
M
g
(
v
,
v
)
|
vol
|
{\displaystyle \langle v|v\rangle ={\frac {1}{2}}\int _{M}g(v,v)\,\left|\operatorname {vol} \right|}
이는 유체의 (밀도당) 운동 에너지 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프레셰 리 군
SDiff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SDiff} (M)}
위의 리만 계량 을 정의한다.
이 경우, 오일러 방정식은
SDiff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SDiff} (M)}
위의 측지선 방정식 과 같다. 구체적으로, 오일러 방정식의 해
u
{\displaystyle u}
가 주어졌을 때,
ϕ
(
0
,
x
)
=
x
{\displaystyle \phi (0,x)=x}
∂
∂
t
ϕ
(
t
,
x
)
=
u
(
t
,
x
)
{\displaystyle {\frac {\partial }{\partial t}}\phi (t,x)=u(t,x)}
를 정의하자. (물리학적으로, 이는 초기 위치가
x
{\displaystyle x}
였던 유체 입자의, 시각
t
{\displaystyle t}
에서의 위치를 뜻한다.) 그렇다면,
ϕ
:
R
→
Diff
(
M
)
{\displaystyle \phi \colon \mathbb {R} \to \operatorname {Diff} (M)}
이며, 둘째 및 셋째 오일러 방정식에 따라서
u
∈
S
V
e
c
t
(
M
)
{\displaystyle u\in {\mathfrak {SVect}}(M)}
이므로
ϕ
:
R
→
SDiff
(
M
)
{\displaystyle \phi \colon \mathbb {R} \to \operatorname {SDiff} (M)}
이다. 첫째 오일러 방정식은
∂
2
∂
t
2
ϕ
(
t
,
x
)
=
−
(
d
p
|
t
,
ϕ
(
t
,
x
)
)
♯
{\displaystyle {\frac {\partial ^{2}}{\partial t^{2}}}\phi (t,x)=-(\mathrm {d} p|_{t,\phi (t,x)})^{\sharp }}
인데, 항상 부분 적분 에 따라
∫
M
⟨
d
p
,
v
⟩
=
0
∀
v
∈
S
V
e
c
t
(
M
)
{\displaystyle \int _{M}\langle \mathrm {d} p,v\rangle =0\qquad \forall v\in {\mathfrak {SVect}}(M)}
이다. 다시 말하여, 첫째 오일러 방정식은
∇
u
u
=
0
{\displaystyle \nabla _{u}u=0}
을 함의한다. 여기서
∇
u
{\displaystyle \nabla _{u}}
는 프레셰 다양체
SDiff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SDiff} (M)}
위의,
u
{\displaystyle u}
방향의 공변 미분 이다.
오일러 방정식은 또한 무한 차원 선형 푸아송 다양체 위의 해밀턴 방정식 으로 간주할 수 있다.[ 2] :91–95, §Ⅱ.3.3
M
{\displaystyle M}
이 (경계가 없는) 콤팩트 매끄러운 다양체 라고 하자.
S
V
e
c
t
(
M
)
{\displaystyle {\mathfrak {SVect}}(M)}
의 연속 쌍대 공간(의 매끄러운 부분 공간)
S
V
e
c
t
(
M
)
∗
≅
Ω
1
(
M
)
/
d
Ω
0
(
M
)
{\displaystyle {\mathfrak {SVect}}(M)^{*}\cong \Omega ^{1}(M)/\mathrm {d} \Omega ^{0}(M)}
이 주어졌다고 하자. 이는 리 대수 의 연속 쌍대 공간 (의 부분 공간)이므로, 자연스럽게 선형 푸아송 다양체 를 이루며, 그 푸아송 괄호 는 다음과 같다.[ 1] :(1.95)
{
α
i
(
x
)
,
α
j
(
y
)
}
=
(
∂
j
α
i
−
∂
i
α
j
)
δ
(
x
−
y
)
{\displaystyle \{\alpha _{i}(x),\alpha _{j}(y)\}=(\partial _{j}\alpha _{i}-\partial _{i}\alpha _{j})\delta (x-y)}
그렇다면, 여기에는
S
V
e
c
t
(
M
)
{\displaystyle {\mathfrak {SVect}}(M)}
위의 양의 정부호 쌍선형 형식
⟨
u
,
u
′
⟩
=
∫
M
g
(
u
,
u
′
)
{\displaystyle \langle u,u'\rangle =\int _{M}g(u,u')}
으로부터 자연스러운 이차 형식 [ 2] :91, Lemma Ⅱ.3.7
H
:
Ω
1
(
M
)
/
d
Ω
0
(
M
)
→
R
{\displaystyle H\colon \Omega ^{1}(M)/\mathrm {d} \Omega ^{0}(M)\to \mathbb {R} }
H
(
[
α
]
)
=
∫
M
g
−
1
(
α
,
α
)
{\displaystyle H([\alpha ])=\int _{M}g^{-1}(\alpha ,\alpha )}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를 푸아송 다양체 위의 해밀토니언 으로 삼아, 다음과 같은 해밀턴 방정식 을 적을 수 있다.[ 2] :92, (Ⅱ.3.24) [ 1] :(1.93), Example 3
d
d
t
[
α
]
=
−
L
α
♯
[
α
]
{\displaystyle {\frac {\mathrm {d} }{\mathrm {d} t}}[\alpha ]=-{\mathcal {L}}_{\alpha ^{\sharp }}[\alpha ]}
여기서
[
α
]
∈
Ω
1
(
M
)
/
d
Ω
1
(
M
)
{\displaystyle [\alpha ]\in \Omega ^{1}(M)/\mathrm {d} \Omega ^{1}(M)}
은
M
{\displaystyle M}
위의 1차 미분 형식 의 동치류 이다.
α
∈
Ω
1
(
M
)
{\displaystyle \alpha \in \Omega ^{1}(M)}
은 (음악 동형 에 대한) 벡터장
α
♯
{\displaystyle \alpha ^{\sharp }}
의 발산 이 0인 (
L
α
♯
vol
=
0
{\displaystyle {\mathcal {L}}_{\alpha ^{\sharp }}\operatorname {vol} =0}
) 유일한 대표원
α
∈
[
α
]
{\displaystyle \alpha \in [\alpha ]}
이다.
L
α
♯
{\displaystyle {\mathcal {L}}_{\alpha ^{\sharp }}}
는 벡터장
α
♯
{\displaystyle \alpha ^{\sharp }}
에 대한 리 미분 이다.
구체적으로, 이 방정식은
Ω
1
(
M
)
/
d
Ω
0
(
M
)
{\displaystyle \Omega ^{1}(M)/\mathrm {d} \Omega ^{0}(M)}
에 정의된다. 이를
Ω
1
(
M
)
{\displaystyle \Omega ^{1}(M)}
위에 제약(영어 : constraint )을 가한 계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α
♯
∈
S
D
i
f
f
(
M
)
{\displaystyle \alpha ^{\sharp }\in {\mathfrak {SDiff}}(M)}
인 임의의 1차 미분 형식
α
∈
Ω
1
(
M
)
{\displaystyle \alpha \in \Omega ^{1}(M)}
에 대하여, 해밀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2] :92, (Ⅱ.3.25) [ 1] :(1.94), Example 3
∂
∂
t
α
(
t
,
x
)
=
−
L
α
♯
α
(
t
,
x
)
−
d
p
(
t
,
x
)
{\displaystyle {\frac {\partial }{\partial t}}\alpha (t,x)=-{\mathcal {L}}_{\alpha ^{\sharp }}\alpha (t,x)-\mathrm {d} p(t,x)}
여기서
p
∈
C
∞
(
R
×
M
,
R
)
{\displaystyle p\in {\mathcal {C}}^{\infty }(\mathbb {R} \times M,\mathbb {R} )}
은
u
{\displaystyle u}
의 제약을 위한 보정항이다.
이 방정식은 오일러 방정식과 동치 이다.[ 2] :92, Corollary Ⅱ.3.8 즉, 속도장
u
∈
S
V
e
c
t
(
M
)
{\displaystyle u\in {\mathfrak {SVect}}(M)}
에 대하여 음악 동형 으로
α
=
u
♭
{\displaystyle \alpha =u^{\flat }}
로 놓으면,
∂
∂
t
u
=
−
∇
u
u
−
(
d
p
)
♯
{\displaystyle {\frac {\partial }{\partial t}}u=-\nabla _{u}u-(\mathrm {d} p)^{\sharp }}
가 되어, 오일러 방정식을 얻는다.
M
{\displaystyle M}
이 (경계가 없는) 콤팩트 유향 매끄러운 다양체 라고 하자.
만약
M
{\displaystyle M}
이 홀수 차원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원소
u
∈
Ω
1
(
M
)
{\displaystyle u\in \Omega ^{1}(M)}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값을 정의할 수 있다.
I
(
u
)
=
∫
M
u
∧
(
d
u
)
(
dim
M
−
1
)
/
2
{\displaystyle I(u)=\int _{M}u\wedge (\mathrm {d} u)^{(\dim M-1)/2}}
그렇다면, 임의의
ϕ
∈
C
∞
(
M
,
R
)
{\displaystyle \phi \in {\mathcal {C}}^{\infty }(M,\mathbb {R} )}
에 대하여
I
(
u
)
=
I
(
u
+
d
ϕ
)
{\displaystyle I(u)=I(u+\mathrm {d} \phi )}
이므로, 이는 사실
Ω
1
(
M
)
/
d
Ω
0
(
M
)
{\displaystyle \Omega ^{1}(M)/\mathrm {d} \Omega ^{0}(M)}
위의 실수 값 함수를 정의한다.
I
:
Ω
1
(
M
)
d
Ω
0
(
M
)
→
R
{\displaystyle I\colon {\frac {\Omega ^{1}(M)}{\mathrm {d} \Omega ^{0}(M)}}\to \mathbb {R} }
마찬가지로, 만약
M
{\displaystyle M}
이 짝수 차원이라고 하고, 그 위에 부피 형식
ω
∈
Ω
dim
M
(
M
)
{\displaystyle \omega \in \Omega ^{\dim M}(M)}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원소
u
∈
Ω
1
(
M
)
{\displaystyle u\in \Omega ^{1}(M)}
및 임의의 다항식
P
∈
R
[
x
]
{\displaystyle P\in \mathbb {R} [x]}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값을 정의할 수 있다.
P
~
(
u
)
=
∫
M
P
(
(
d
u
)
(
dim
M
)
/
2
ω
)
ω
{\displaystyle {\tilde {P}}(u)=\int _{M}P\left({\frac {(\mathrm {d} u)^{(\dim M)/2}}{\omega }}\right)\omega }
이 역시 마찬가지로 실수 값 함수
P
~
:
Ω
1
(
M
)
d
Ω
0
(
M
)
→
R
{\displaystyle {\tilde {P}}\colon {\frac {\Omega ^{1}(M)}{\mathrm {d} \Omega ^{0}(M)}}\to \mathbb {R} }
를 정의한다.
공간
Ω
1
(
M
)
/
d
Ω
0
(
M
)
≅
S
V
e
c
t
(
M
)
∗
{\displaystyle \Omega ^{1}(M)/\mathrm {d} \Omega ^{0}(M)\cong {\mathfrak {SVect}}(M)^{*}}
은 리 대수 의 쌍대 공간이므로, 이를 선형 푸아송 다양체 로 여길 수 있으며, 특히 리 군
SDiff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SDiff} (M)}
의 쌍대딸림표현 을 갖는다.
I
{\displaystyle I}
와
P
~
{\displaystyle {\tilde {P}}}
는
SDiff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SDiff} (M)}
의 작용 에 대하여 불변량이며, 따라서 이 위의 해밀턴 방정식 인 오일러 방정식의 운동 상수 이다.[ 2] :92, Proposition Ⅱ.3.9 특히, 홀수 차원의 경우,
I
{\displaystyle I}
는
M
{\displaystyle M}
위의 리만 계량 이나 부피 형식 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이는 임의의 리만 계량에 대한 오일러 방정식의 운동 상수 를 이룬다. 짝수 차원의 경우,
P
~
{\displaystyle {\tilde {P}}}
는
M
{\displaystyle M}
의 부피 형식 에만 의존하므로, 이는 같은 부피 형식을 정의하는 서로 다른 리만 계량에 대한 오일러 방정식의 무한히 많은 운동 상수 들을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