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
{\displaystyle n}
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위의 공변접다발
T
∗
M
{\displaystyle \mathrm {T} ^{*}M}
은
n
{\displaystyle n}
차원 벡터 다발 이다. 여기에, 각 올에 대하여 외대수 를 취하면
2
n
{\displaystyle 2^{n}}
차원 벡터 다발
⋀
T
∗
M
{\displaystyle \bigwedge \mathrm {T} ^{*}M}
을 얻는다. 그 단면을
M
{\displaystyle M}
위의 미분 형식 이라고 한다. 미분 형식의 공간을 다음과 같이 표기하자.
Ω
(
M
)
=
Γ
(
⋀
T
∗
M
)
{\displaystyle \Omega (M)=\Gamma \left(\bigwedge \mathrm {T} ^{*}M\right)}
외대수 연산에 따라, 이 다발은 자연스럽게 차수로 분해된다.
⋀
T
∗
M
=
⨁
k
=
0
n
⋀
k
T
∗
M
{\displaystyle \bigwedge \mathrm {T} ^{*}M=\bigoplus _{k=0}^{n}\bigwedge ^{k}\mathrm {T} ^{*}M}
Ω
(
M
)
=
⨁
k
=
0
n
Ω
n
(
M
)
=
⨁
Γ
(
⋀
k
T
∗
M
)
{\displaystyle \Omega (M)=\bigoplus _{k=0}^{n}\Omega ^{n}(M)=\bigoplus \Gamma \left(\bigwedge ^{k}\mathrm {T} ^{*}M\right)}
k
{\displaystyle k}
차 미분 형식은
Ω
k
(
M
)
{\displaystyle \Omega ^{k}(M)}
의 매끄러운 단면이다.
미분 형식은 추상적으로 나타낼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 지표를 가지고 나타낼 수도 있다.
n
{\displaystyle n}
차원 다양체에 국소적 좌표계
{
x
i
}
i
=
1
,
…
,
n
{\displaystyle \{x^{i}\}_{i=1,\dots ,n}}
를 잡으면,
{
d
x
i
}
i
=
1
,
…
,
n
{\displaystyle \{dx^{i}\}_{i=1,\dots ,n}}
는 1차 미분 형식들의 기저 를 이룬다. 따라서, 임의의
k
{\displaystyle k}
차 미분 형식은 다음과 같이 성분으로 전개할 수 있다. (아인슈타인 표기법 을 사용하자.)
A
=
1
k
!
A
i
1
…
i
k
d
x
i
1
∧
d
x
i
2
∧
⋯
∧
d
x
i
k
{\displaystyle A={\frac {1}{k!}}A_{i_{1}\dots i_{k}}dx^{i_{1}}\wedge dx^{i_{2}}\wedge \cdots \wedge dx^{i_{k}}}
이에 따라서, 예를 들어 리만 계량
g
{\displaystyle g}
에 의한 부피 형식은
ω
=
det
(
g
i
j
)
d
x
1
∧
⋯
∧
d
x
n
=
1
k
!
ϵ
i
1
…
i
n
det
(
g
i
j
)
d
x
1
∧
⋯
∧
d
x
n
{\displaystyle \omega ={\sqrt {\det(g_{ij})}}dx^{1}\wedge \cdots \wedge dx^{n}={\frac {1}{k!}}\epsilon _{i_{1}\dots i_{n}}{\sqrt {\det(g_{ij})}}dx^{1}\wedge \cdots \wedge dx^{n}}
이므로,
ω
i
1
…
i
n
=
det
(
g
i
j
)
ϵ
i
1
…
i
n
{\displaystyle \omega _{i_{1}\dots i_{n}}={\sqrt {\det(g_{ij})}}\epsilon _{i_{1}\dots i_{n}}}
이 된다.
국소 볼록 공간
E
{\displaystyle E}
가 주어졌을 때, 국소적으로
E
{\displaystyle E}
와 위상 동형 이며, 매끄러운 전이 함수를 갖는 국소 좌표계를 갖춘 하우스도르프 공간 을
E
{\displaystyle E}
-다양체 라고 하자.
이 경우 마찬가지로 미분 형식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상 벡터 공간 의 위상 쌍대 공간 이 복잡하기 때문에, 접다발 은 잘 정의되지만 일반적으로 공변접다발을 잘 정의하기 힘들며, 일반적으로 미분 형식을 어떤 매끄러운 벡터 다발의 매끄러운 단면으로 정의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미분 형식의 개념을 직접적으로 정의해야만 한다.
E
{\displaystyle E}
-다양체
M
{\displaystyle M}
위의
k
{\displaystyle k}
차 미분 형식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3] :Definition Ⅰ.4.1
각
x
∈
M
{\displaystyle x\in M}
에 대하여, 완전 반대칭
k
{\displaystyle k}
-선형 변환
ω
x
:
⋀
k
T
x
M
→
R
{\displaystyle \omega _{x}\colon \textstyle \bigwedge ^{k}\mathrm {T} _{x}M\to \mathbb {R} }
이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열린집합
U
⊆
M
{\displaystyle U\subseteq M}
위의 국소 좌표
ϕ
:
U
→
E
{\displaystyle \phi \colon U\to E}
에 대하여,
ω
∘
U
−
1
:
U
×
⋀
k
E
→
R
{\displaystyle \omega \circ U^{-1}\colon U\times \textstyle \bigwedge ^{k}E\to \mathbb {R} }
는 매끄러운 함수 이다.
이 경우 쐐기곱 과 외미분 이 잘 정의된다.
미분 형식들의 집합 위에는 여러 자연스러운 연산들이 정의되는데, 쐐기곱 과 내부곱 , 외미분 , 적분 , 당김 등이 있다. 또한, 만약 다양체에 리만 계량 을 추가한다면, 미분 형식의 내적과 호지 쌍대 를 정의할 수 있다.
미분 형식의 쐐기곱 (영어 : wedge product )은 각 위치마다 외대수 로서의 쐐기곱 이다. 이는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킨다. 임의의
α
∈
Ω
k
(
M
)
{\displaystyle \alpha \in \Omega ^{k}(M)}
과
β
,
β
′
∈
Ω
l
(
M
)
{\displaystyle \beta ,\beta '\in \Omega ^{l}(M)}
,
f
∈
Ω
0
(
M
)
{\displaystyle f\in \Omega ^{0}(M)}
에 대하여,
f
∧
α
=
f
α
{\displaystyle f\wedge \alpha =f\alpha }
(분배법칙 )
α
∧
(
β
+
β
′
)
=
α
∧
β
+
α
∧
β
′
{\displaystyle \alpha \wedge (\beta +\beta ')=\alpha \wedge \beta +\alpha \wedge \beta '}
(반대칭성)
α
∧
β
=
(
−
1
)
k
l
β
∧
α
{\displaystyle \alpha \wedge \beta =(-1)^{kl}\beta \wedge \alpha }
성분으로 적으면 다음과 같다.
(
1
k
!
A
i
1
…
i
k
d
x
i
1
∧
⋯
∧
d
x
i
k
)
∧
(
1
l
!
B
j
1
…
j
l
d
x
j
1
∧
⋯
∧
d
x
j
l
)
=
1
(
k
+
l
)
!
1
k
!
l
!
A
[
i
1
…
i
k
B
j
1
…
j
l
]
d
x
i
1
∧
⋯
d
x
i
k
∧
d
x
j
1
∧
d
x
j
l
{\displaystyle \left({\frac {1}{k!}}A_{i_{1}\dots i_{k}}dx^{i_{1}}\wedge \cdots \wedge dx^{i_{k}}\right)\wedge \left({\frac {1}{l!}}B_{j_{1}\dots j_{l}}dx^{j_{1}}\wedge \cdots \wedge dx^{j_{l}}\right)={\frac {1}{(k+l)!}}{\frac {1}{k!l!}}A_{[i_{1}\dots i_{k}}B_{j_{1}\dots j_{l}]}dx^{i_{1}}\wedge \cdots dx^{i_{k}}\wedge dx^{j_{1}}\wedge dx^{j_{l}}}
(
A
∧
B
)
i
1
…
i
k
j
1
…
j
l
=
1
k
!
l
!
A
[
i
1
…
i
k
B
j
1
…
j
l
]
{\displaystyle (A\wedge B)_{i_{1}\dots i_{k}j_{1}\dots j_{l}}={\frac {1}{k!l!}}A_{[i_{1}\dots i_{k}}B_{j_{1}\dots j_{l}]}}
여기서
[
…
]
{\displaystyle [\dots ]}
는 지표의 (규칙화하지 않은) 완전 반대칭화를 뜻한다. 예를 들어, 두 2차 형식
A
{\displaystyle A}
,
B
{\displaystyle B}
의 쐐기곱은
(
A
∧
B
)
i
j
k
l
=
A
i
j
B
k
l
−
A
j
k
B
l
i
+
A
k
l
B
i
j
−
A
l
i
B
j
k
−
A
i
k
B
j
l
−
A
j
l
B
i
k
{\displaystyle (A\wedge B)_{ijkl}=A_{ij}B_{kl}-A_{jk}B_{li}+A_{kl}B_{ij}-A_{li}B_{jk}-A_{ik}B_{jl}-A_{jl}B_{ik}}
이다.
미분 형식의 외미분 (外微分, 영어 : Exterior derivative )은
d
:
Ω
∙
(
M
)
→
Ω
∙
+
1
(
M
)
{\displaystyle d\colon \Omega ^{\bullet }(M)\to \Omega ^{\bullet +1}(M)}
은 다음 세 조건에 의하여 유일하게 정의된다.
외미분은 (상수 계수에 대한) 선형변환 이다.
0차 형식(함수)에 대해, 외미분은 일반 기울기 다. 즉,
f
∈
Ω
0
(
M
)
{\displaystyle f\in \Omega ^{0}(M)}
에 대하여,
d
f
=
∑
i
=
1
n
(
∂
f
/
∂
x
i
)
d
x
i
{\displaystyle df=\sum _{i=1}^{n}(\partial f/\partial x^{i})dx^{i}}
이다.
모든 0차 형식에 대해,
d
2
f
=
0
{\displaystyle d^{2}f=0}
이다.
임의의
α
∈
Ω
k
(
M
)
{\displaystyle \alpha \in \Omega ^{k}(M)}
,
β
∈
Ω
∙
(
M
)
{\displaystyle \beta \in \Omega ^{\bullet }(M)}
에 대하여
d
(
α
∧
β
)
=
d
α
∧
β
+
(
−
1
)
k
α
∧
d
β
{\displaystyle d(\alpha \wedge \beta )=d\alpha \wedge \beta +(-1)^{k}\alpha \wedge d\beta }
이다.
성분으로 쓰면,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아인슈타인 표기법 을 사용하자.) 임의의
k
{\displaystyle k}
차 미분 형식
A
=
1
k
!
A
i
1
…
i
k
d
x
i
1
∧
⋯
∧
d
x
i
k
{\displaystyle A={\frac {1}{k!}}A_{i_{1}\dots i_{k}}dx^{i_{1}}\wedge \cdots \wedge dx^{i_{k}}}
에 대하여,
d
A
=
1
k
!
(
∂
i
0
A
i
1
…
i
k
)
d
x
i
0
∧
d
x
i
1
∧
⋯
∧
d
x
i
k
=
1
(
k
+
1
)
!
k
!
(
∂
[
i
0
A
i
1
…
i
k
]
)
d
x
i
0
∧
d
x
i
1
∧
⋯
∧
d
x
i
k
{\displaystyle dA={\frac {1}{k!}}(\partial _{i_{0}}A_{i_{1}\dots i_{k}})dx^{i_{0}}\wedge dx^{i_{1}}\wedge \cdots \wedge dx^{i_{k}}={\frac {1}{(k+1)!k!}}(\partial _{[i_{0}}A_{i_{1}\dots i_{k}]})dx^{i_{0}}\wedge dx^{i_{1}}\wedge \cdots \wedge dx^{i_{k}}}
이다. 즉,
(
d
A
)
i
0
…
i
k
=
1
k
!
∂
[
i
0
A
i
1
…
i
k
]
=
∂
i
0
A
i
1
…
i
k
−
∂
i
1
A
i
0
i
2
…
i
k
+
∂
i
2
A
i
1
i
0
i
3
…
i
k
+
⋯
+
(
−
1
)
p
∂
i
p
A
i
1
i
2
…
i
p
−
1
i
0
i
p
+
1
…
i
k
+
⋯
+
(
−
)
k
∂
i
k
A
i
1
…
i
k
−
1
i
0
{\displaystyle (dA)_{i_{0}\dots i_{k}}={\frac {1}{k!}}\partial _{[i_{0}}A_{i_{1}\dots i_{k}]}=\partial _{i_{0}}A_{i_{1}\dots i_{k}}-\partial _{i_{1}}A_{i_{0}i_{2}\dots i_{k}}+\partial _{i_{2}}A_{i_{1}i_{0}i_{3}\dots i_{k}}+\cdots +(-1)^{p}\partial _{i_{p}}A_{i_{1}i_{2}\dots i_{p-1}i_{0}i_{p+1}\dots i_{k}}+\cdots +(-)^{k}\partial _{i_{k}}A_{i_{1}\dots i_{k-1}i_{0}}}
이다. 여기서
[
⋯
]
{\displaystyle [\cdots ]}
는 (규격화하지 않은) 완전 반대칭화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차 형식의 경우
A
=
A
i
d
x
i
{\displaystyle A=A_{i}dx^{i}}
d
A
=
1
2
(
∂
i
A
j
−
∂
j
A
i
)
d
x
i
∧
d
x
j
=
1
2
(
d
A
)
i
j
d
x
i
∧
d
x
j
{\displaystyle dA={\frac {1}{2}}(\partial _{i}A_{j}-\partial _{j}A_{i})dx^{i}\wedge dx^{j}={\frac {1}{2}}(dA)_{ij}dx^{i}\wedge dx^{j}}
(
d
A
)
i
j
=
∂
i
A
j
−
∂
j
A
i
{\displaystyle (dA)_{ij}=\partial _{i}A_{j}-\partial _{j}A_{i}}
이고, 2차 형식의 경우
A
=
1
2
A
i
j
d
x
i
∧
d
x
j
{\displaystyle A={\frac {1}{2}}A_{ij}dx^{i}\wedge dx^{j}}
d
A
=
1
6
(
∂
i
A
j
k
+
∂
j
A
k
i
+
∂
k
A
i
j
)
d
x
i
∧
d
x
j
∧
d
x
k
=
1
6
(
d
A
)
i
j
k
d
x
i
∧
d
x
j
∧
d
x
k
{\displaystyle dA={\frac {1}{6}}(\partial _{i}A_{jk}+\partial _{j}A_{ki}+\partial _{k}A_{ij})dx^{i}\wedge dx^{j}\wedge dx^{k}={\frac {1}{6}}(dA)_{ijk}dx^{i}\wedge dx^{j}\wedge dx^{k}}
(
d
A
)
i
j
k
=
∂
i
A
j
k
+
∂
j
A
k
i
+
∂
k
A
i
j
{\displaystyle (dA)_{ijk}=\partial _{i}A_{jk}+\partial _{j}A_{ki}+\partial _{k}A_{ij}}
이다.
n
{\displaystyle n}
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위에 방향 및
n
{\displaystyle n}
차 미분 형식
α
{\displaystyle \alpha }
가 주어졌다면,
α
{\displaystyle \alpha }
의 적분
∫
M
α
∈
R
∪
{
−
∞
,
∞
}
{\displaystyle \int _{M}\alpha \in \mathbb {R} \cup \{-\infty ,\infty \}}
을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
{\displaystyle M}
의 좌표근방계
{
(
U
i
,
ϕ
i
)
}
i
∈
I
{\displaystyle \{(U_{i},\phi _{i})\}_{i\in I}}
및 이에 종속되는 단위 분할
{
f
i
}
i
∈
I
{\displaystyle \{f_{i}\}_{i\in I}}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당김
(
ϕ
i
−
1
)
∗
{\displaystyle (\phi _{i}^{-1})^{*}}
으로서 각
ϕ
i
(
U
i
)
⊂
R
n
{\displaystyle \phi _{i}(U_{i})\subset \mathbb {R} ^{n}}
에 방향 을 줄 수 있으며, 이 방향을 통해 유클리드 공간 위의
n
{\displaystyle n}
차 미분 형식의 공간과 매끄러운 함수 공간 사이의 동형
Ω
n
(
ϕ
i
(
U
i
)
)
→
ι
Ω
0
(
ϕ
i
(
U
i
)
)
=
C
∞
(
ϕ
i
(
U
i
)
,
R
)
{\displaystyle \Omega ^{n}(\phi _{i}(U_{i})){\xrightarrow {\iota }}\Omega ^{0}(\phi _{i}(U_{i}))={\mathcal {C}}^{\infty }(\phi _{i}(U_{i}),\mathbb {R} )}
을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
M
=
∑
i
∈
I
∫
ϕ
i
(
U
i
)
ι
(
(
ϕ
i
−
1
)
∗
α
)
d
n
λ
{\displaystyle \int _{M}=\sum _{i\in I}\int _{\phi _{i}(U_{i})}\iota \left((\phi _{i}^{-1})^{*}\alpha \right)\,d^{n}\lambda }
이다. 여기서
∫
d
n
λ
{\displaystyle \int d^{n}\lambda }
는
n
{\displaystyle n}
차원 유클리드 공간 위의 르베그 측도 에 대한 적분 이다. 이 연산은 좌표근방계 및 단위 분할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음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다양체에 주어진 방향이 반대가 되면, 미분 형식의 적분은
−
1
{\displaystyle -1}
배가 된다. 즉, 연결 다양체 위의 미분 형식의 적분의 절댓값 은 방향에 의존하지 않는다.
만약
n
{\displaystyle n}
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위에 (유사) 리만 계량
g
{\displaystyle g}
가 주어졌다면, 이를 사용하여 두 미분 형식의 내적
⟨
⋅
,
⋅
⟩
:
Ω
∙
(
M
)
×
Ω
∙
(
M
)
→
Ω
0
(
M
)
{\displaystyle \langle \cdot ,\cdot \rangle \colon \Omega ^{\bullet }(M)\times \Omega ^{\bullet }(M)\to \Omega ^{0}(M)}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킨다.
서로 차수가 다른 두 미분 형식의 내적은 항상 0이다.
내적은 쌍선형이다.
임의의
k
{\displaystyle k}
개의 1차 형식
η
i
{\displaystyle \eta _{i}}
,
η
j
′
{\displaystyle \eta '_{j}}
에 대하여,
⟨
η
1
∧
⋯
∧
η
k
,
η
1
′
∧
⋯
∧
η
k
′
⟩
=
det
(
g
(
η
i
,
η
j
)
)
i
j
{\displaystyle \langle \eta _{1}\wedge \dots \wedge \eta _{k},\eta '_{1}\wedge \dots \wedge \eta '_{k}\rangle =\det(g(\eta _{i},\eta _{j}))_{ij}}
이다.
즉, 성분으로 쓰면 (아인슈타인 표기법 을 가정하자)
⟨
1
k
!
A
i
1
…
i
k
d
x
i
1
∧
⋯
∧
d
x
i
n
,
1
k
!
B
j
1
…
j
k
d
x
j
1
∧
⋯
∧
d
x
j
k
⟩
=
1
k
!
A
i
1
…
i
k
B
j
1
…
j
k
g
i
1
j
1
…
g
i
k
j
k
{\displaystyle \left\langle {\frac {1}{k!}}A_{i_{1}\dots i_{k}}dx^{i_{1}}\wedge \cdots \wedge dx^{i_{n}},{\frac {1}{k!}}B_{j_{1}\dots j_{k}}dx^{j_{1}}\wedge \cdots \wedge dx^{j_{k}}\right\rangle ={\frac {1}{k!}}A_{i_{1}\dots i_{k}}B_{j_{1}\dots j_{k}}g^{i_{1}j_{1}}\dots g^{i_{k}j_{k}}}
이다. 이에 따라 부피 형식의 노름은 1이다.
⟨
ω
,
ω
⟩
=
1
n
!
(
det
g
)
ϵ
i
1
…
i
n
ϵ
j
1
…
j
n
g
i
1
j
1
…
g
i
n
j
n
=
1
{\displaystyle \langle \omega ,\omega \rangle ={\frac {1}{n!}}(\det g)\epsilon _{i_{1}\dots i_{n}}\epsilon _{j_{1}\dots j_{n}}g^{i_{1}j_{1}}\dots g^{i_{n}j_{n}}=1}
.
n
{\displaystyle n}
차원 유향 (유사) 리만 다양체
(
M
,
g
,
ω
)
{\displaystyle (M,g,\omega )}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호지 쌍대 연산자를 정의할 수 있다.
∗
:
Ω
∙
(
M
)
→
Ω
n
−
∙
(
M
)
{\displaystyle *\colon \Omega ^{\bullet }(M)\to \Omega ^{n-\bullet }(M)}
이는 다음 항등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α
∧
∗
β
=
⟨
α
,
β
⟩
ω
{\displaystyle \alpha \wedge *\beta =\langle \alpha ,\beta \rangle \omega }
성분으로 쓰면 다음과 같다.
(
∗
A
)
j
k
+
1
…
j
n
=
1
k
!
|
det
g
|
α
i
1
…
i
k
ϵ
j
1
…
j
n
g
i
1
j
1
⋯
g
i
k
j
k
{\displaystyle (*A)_{j_{k+1}\dots j_{n}}={\frac {1}{k!}}{\sqrt {|\det g|}}\alpha _{i_{1}\dots i_{k}}\epsilon _{j_{1}\dots j_{n}}g^{i_{1}j_{1}}\cdots g^{i_{k}j_{k}}}
예를 들어, 4차원 공간에서 2차 미분 형식의 호지 쌍대는
(
∗
A
)
k
l
=
1
2
|
det
g
|
ϵ
i
j
k
l
A
i
′
j
′
g
i
i
′
g
j
j
′
{\displaystyle (*A)_{kl}={\frac {1}{2}}{\sqrt {|\det g|}}\epsilon _{ijkl}A_{i'j'}g^{ii'}g^{jj'}}
이다.